-
전라감사 이정암이 화친을 약속하여 적을 물러가게 할 것을 치계하다.
전라감사 이정암(李廷馣)이 치계하였다.
“신이 경략이 우리나라 신료들에게 선유한 차문을 보건대, 걱정스럽고 답답한 마음을 견디지 못하겠습니다. 중국군을 다시 청할 수도 없고 양식을 다시 바랄 수도 없는 것은 물론, 유정(劉綎)의 대군도 오래지 않아 ...
-
사헌부가 이정암을 파직할 것을 아뢰다.
사헌부가 아뢰기를, ……
“국가의 대계는 마땅히 대의의 소재를 보아서 처리해야 합니다. 지금 원수인 왜적과는 같은 하늘 아래서 함께 살 수 없는 처지이니 그들과 강화해서는 안 된다는 것은 대의가 너무도 분명하여 다시 말할 것이 ...
-
홍문관 부수찬 정엽이 화친을 청한 전라감사 이정암을 비판하다.
홍문관 부수찬(副修撰) 정엽(鄭曄)이 차자를 올리기를,
“신이 삼가 전라감사 이정암(李廷馣)의 장계 내용을 보고 경악을 금치 못했습니다. 이런 말을 어떻게 우리나라의 신자로서 차마 입 밖에 낼 수 있단 말입니까. 신은 종사가 폐허가 되고 화가 원릉에...
-
사헌부에서 사치 ․ 부세 번중 ․ 관직 남발 ․ 수성 등에 관하여 차자하다.
사헌부가 차자를 올리기를,
“삼가 아룁니다. 국운이 중간에 비색하여 섬 오랑캐가 독을 부려 우리의 종묘사직을 불태우고 우리의 능침을 파헤쳤습니다. 하늘이 우리를 뒤흔들기를 마치 우리를 이기지 못할까 온갖 힘을 다 쓰는 듯이 하였...
-
유격장군 이화룡이 상에게 감사하는 서첨을 보내다.
유격장군(遊擊將軍) 이화룡(李化龍)이 상에게 첩을 보냈는데, 다음과 같다.
“옛날 진문공(晉文公)이 조최(趙衰) 등 여러 신하와 함께 우방에 나그네로 있을 때 근엄하고 공경하여 문채가 있으므로 초자(楚子)가 말하기를 ‘위와 아래에 예의가 있으니 진나...
-
대마도 관시 허가에 대해 이노가 헌의하다.
이노(李輅)가 헌의하였다.
“우리나라와 왜적은 불공대천의 원수이니, 우리의 튼튼한 갑옷과 예리한 병기가 그들을 제압할만 하다면 의리상 화호를 허락할 수 없습니다마는, 지금은 그렇지 않아서 우리에게는 당당한 기개가 없고 저들에게는 능멸할 능력이 있으니...
-
대마도 관시 허가에 대해 윤형이 헌의하다.
윤형(尹洞)이 헌의하였다.
“예전부터 제왕이 이적을 대비하는 것은 싸우거나 지키거나 화친하는 세 가지에 지나지 않습니다. 태왕(太王)이 훈육을 섬기고 선왕(宣王)이 험윤을 치고 위강(魏絳)이 헌의하고 누경(婁敬)이 청화한 것은 다 먼저 우리의 형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