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구2022韓國漢文學硏究This paper studied to understand how the word “春王正月”, which implies the meaning of 尊周大一統, was understood in the Joseon dynasty era. “元年春王正月” is...
-
신두환2016남명학연구이 논문은 조선의 16세기 『朱子大全』 刊行과 그 이후의 學問的 動向에 대해서 연구한 논문이다. 조선의 한문학은 주자의 영향을 받은 것이 크다. 그러나 『朱子大全』의 간행보급은 16세기에 와서 이루어 진다. 이 책을 바탕으로 16세기 퇴계와 율곡을 거치면서 조선 성리학은 최고의 절정기를 맞이하였다. 『朱子大全』 간행이후 조선 선비들의 학풍은 변하였다. 『朱子大 全』의 간행은 성리학을 『性理大全』 ...
-
김수경2015한국문학과 예술본연구는『詩經』 해석과 관련된 美刺의 성격 및 역사 변천을 살펴보는 과정을 통해 美刺觀의 문화사적 의의를 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학자들의 『시경』 美刺에 대한 논의를 고찰함으로써 그에 반영된 사유양상을 추적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먼저 『시경』 美刺觀의 성격 측면에 있어서는, 그것이 詩本義에 대한 일차적 내용해석이기보다는 해석자의 이차해석으로서의 성격을 지니며, 그러한 까...
-
황금중2014한국교육사학주희와 듀이는 동서양의 교육사상사에서 가장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철학적 사유를 펼친 인물들로 서 이 사실 자체가 양자가 만나는 학술적 가치를 보여준다. 그런데 양자의 만남은, 한국교육사의 흐름에서 볼 때 한국교육의 ‘과거’와 ‘현재’의 대화라는 의미도 지닌다. 주희를 중심으로 형성된 주자학적 교육패러 다임은 한국 전통 교육의 핵심을 형성해 왔고, 듀이의 교육철학은 한국의 교육현대화의 과정에서 특...
-
신현승2013儒學硏究이 논고에서는 「신유학의 대학 텍스트와 유종주劉宗周의 대학관」이라는 주제 하에 중국송명대(宋明代)에 신유학으로 등장하는 주자학과 양명학의 핵심 문제를 사서(四書)와 『대학』해석의 차이에서 인식하고, 명대 말기 대표적 유학자인 劉宗周(1578-1645)의 대학관(大學觀)의 양상이 어떠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송명대의 주요한 사상적 담론에 대해『大學』해석을 둘러싼 문제로 인식하고, 그 해석의 ...
-
임종진2011퇴계학과 유교문화본 논문은 근대 시기 영남의 성리학자인 심재 조긍섭의 성리학적 입장을 살펴보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성리학에 대한 조긍섭의 입장은 그의 문집 속에 들어 있는 소논문들과 다른 성리학자들과 주고받은 편지 둥을 통해서 잘 알 수 있다. 이러한 글 속에서 조긍섭...
-
Deng, Xiaozheng2010本論文的研究目的是中國宋代性理學集大成者——朱熹,和韓國朝鮮后期實學的集大成者——丁若鏞,兩者關於《中庸》註釋的比較分析。通過兩者的中庸思想的比較,從而闡明兩人思想上的特徵和異同點。 《中庸》一書,在朱熹和丁若鏞兩人的經學...
-
홍원식2005退溪學과 韓國文化『孟子』와 맹자 사상은 맹자 사후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맹자는 그가 죽은 뒤 1,000여 년이 지나 정이나 朱熹와 같은 朱子學者들에 의해서 '발견'된다. 정이는 맹자의 性善說과 養氣說에 주목했으며, 주희는 정이의 관점을 이어받아 자신...
-
김기선2003退溪學과 韓國文化우리들은 흔히 '人傑는 地靈'이라는 말을 들어왔다. 오랜 세월 風水地理 工夫를 하면서 필자는 有名人士의 先祖 山所에는 반드시 明堂이 있었음을 확인한 바가 있다. 따라서 筆者는 '東方의 朱子'라고 불리고 있는 退溪 李滉先生(1501-1570)처럼 大儒學者의 ...
-
김기선2003退溪學과 韓國文化우리들은 흔히 '人傑는 地靈'이라는 말을 들어왔다. 오랜 세월 風水地理 工夫를 하면서 필자는 有名人士의 先祖 山所에는 반드시 明堂이 있었음을 확인한 바가 있다. 따라서 筆者는 '東方의 朱子'라고 불리고 있는 退溪 李滉先生(1501-1570)처럼 大儒學者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風水界에 잘 알려져 있는 眞城李氏 始祖산소, 퇴계선생 胎室, 그 옆의 祖父母와 父母山所 등을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