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은숙2019본 논문은 묵재(默齋) 이문건(李文楗, 1496~1567)이 33년 동안 쓴 『묵재일기(默齋日記)』를 통해 개인적 글쓰기의 특징 및 그 의의를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사람들은 각각 다양한 문화와 시대 속에서 자신의 삶을 글로 써 왔다. 그 삶의 다양성과 다층성을 이해하기 위해 조선 시대 쓴 수많은 일기류를 텍스트의 종류로 확장하여 글쓰기의 양상을 살피는 것은 유용하다. 이것은 문학 연구의 영역을 ...
-
이연순2018이화어문논집본고에서는 미암 유희춘이 자신의 일기인 미암일기에 ‘불천노’라 기록한 점에 주목하고, 미암의 주자학적 이해에 따른 ‘노’의 인식과 실천 지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에 본문에서는 미암이 ‘노’에 대해 인식하고 실천 지향을 보인 양상에 대해 크게 공적 언행...
-
노관범2016한국문화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ormation of the modern studies o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focusing on Jang JiYeon(張志淵)’s JoseonYukyoY...
-
후미흔2016본 논문의 목적은 여말선초麗末鮮初 시기의 주자학朱子學이 퇴계退溪 심성론心性論에 미친 영향을 토대로 하여, 퇴계의 심성론의 이론적 특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특히 퇴계 심성론이 형성의 이론 기초와 학문적 연원, 심성론의 특징, 학문의 본질 및 목표에 대해 명확...
-
성해준2016退溪學論叢우리나라의 『맹자』사상 인식과 실효적인 수용은 일부 혁신적인 정치사상가가 주목한 고려시대 후기부터이다. 그 후 조선시대에는 『孟子』가본격적으로 수용되어 정치와 사회전반에 적용되었다. 특히 주자학 수용과 함께 『』맹자..도 유가사상 학습을 위한 필수교재가 되었다. 退溪의 『孟子釋義』을 시작으로 李瀷의 聖人의 의지를 이해하려고 하면 반드시 『맹자』로부터 시작하여야 한다는 주장은 『맹자』가 보다 널리 ...
-
임태홍2015동양문화연구이 연구는 최한기가 주자학과 실학적인 전통위에 자신의 학문세계를 구축한 점을 주목하고 니시 아마네의 경우는 일본 고문사학파의 학문, 즉 소라이학적인 전통 위에 학문을 구축하였다는 점을 주목하여 두 사람의 학문세계를 비교, 고찰하였다. 조선의 실학과 일본 에도시대의 소라이학은 모두 주자학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학문으로, 실학은 주자학의 큰 틀과 사상체계를 거부하지 않았으나, 소라이학은...
-
황금중2014한국교육사학주희와 듀이는 동서양의 교육사상사에서 가장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철학적 사유를 펼친 인물들로 서 이 사실 자체가 양자가 만나는 학술적 가치를 보여준다. 그런데 양자의 만남은, 한국교육사의 흐름에서 볼 때 한국교육의 ‘과거’와 ‘현재’의 대화라는 의미도 지닌다. 주희를 중심으로 형성된 주자학적 교육패러 다임은 한국 전통 교육의 핵심을 형성해 왔고, 듀이의 교육철학은 한국의 교육현대화의 과정에서 특...
-
김우종20132007년 개정 교육과정 이후 현재 초등학교에서의 한국사 학습은 5학년 사회 교과를 통해 1년간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학년 사회 교과서와 보조교과서에 서술된 조선 후기의 실학 서술 내용을 재검토하는데 있다. 7차 교육과정에서 서술되...
-
장원철2012남명학연구이 논문의 목적은 1980년대 이후 최근까지 이루어진 남명 및 남명학에 대한 외국 연구자의 업적과 성과들을 회고하고 정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연구사의 검토와 정리에 앞서 외국 연구자의 연구는 방법론적으로 자국의 연구 동향을 일정 정도 반영하기 마련이라는 전제에 입각해 외국인 연구자의 대다수를 점하는 중국과 일본에 있어서의 유교 내지 유학에 대한 인식과 연구 동향에 대해 개략적으로 검토해보았다...
-
송인창2010人文科學論文集이 글은 「인산의학총서」와 「인산 김일훈선생 일대기」를 주 자료로 하여 독립 운동가이며 사상가이자 「神樂」의 저자이기도 한 仁山 金日勳(1909-1992)의 철학사상을 儒學的관점에서 검토하는 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그의 저서는 ‘의학의 혁명’이자 ‘혁명의 의학’을 담았다고 일컬어지지만, 아직껏 이에 대한 학술적 접근이 시도된 바가 없다. 일제 강점기나 그 이후의 삶에서 인산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