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정민2013조선은 성리학을 국학으로 삼아 성립된 사회로, 통치의 방향은 文治로 요약되며, 그 방식 역시 法보다 德과 禮를 우선시하는 王道를 지향하였다. 왕도정치는 통치 주체의 도덕적 자율성을 전제한 것이어서, 조선의 국왕과 지식인들은 철저한 修己의 과정을 통해 도덕적 권위를 확보해야 하였다. 본 논문에서 다룬 『소학』은, ‘쇄소응대’와 같은 구체적 예절의 습득이 심성의 수양에 직결된다고 판단한 주희가, 인간…
-
정무곤2007한국교육사학가훈서는 중요한 교육사학적 연구대상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간과되어 왔다. 이 연구는 조선시대의 가훈서를 폭넓게 검토하면서 그 분류 체계를 규명한 것이다. 앞으로 가훈서의 본격적인 연구를 위한 사료적 토대를 마련해 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하겠다.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가훈서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 기초 작업으로써 내용과 형식에 따라 분류하였다. 먼저 조선시대 가훈서를 내용에 따라 강목과 조목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