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정민2013조선은 성리학을 국학으로 삼아 성립된 사회로, 통치의 방향은 文治로 요약되며, 그 방식 역시 法보다 德과 禮를 우선시하는 王道를 지향하였다. 왕도정치는 통치 주체의 도덕적 자율성을 전제한 것이어서, 조선의 국왕과 지식인들은 철저한 修己의 과정을 통해 도덕적 권위를 확보해야 하였다. 본 논문에서 다룬 『소학』은, ‘쇄소응대’와 같은 구체적 예절의 습득이 심성의 수양에 직결된다고 판단한 주희가, 인간…
-
심경호2005退溪學과 韓國文化퇴계는 『사서』와 『역경』의 연찬에 주력하되, 번쇄한 훈고를 第一義로 삼지 않았다. 하지만 퇴계는 경학 연구에서 기초학으로서의 小學(philology)을 결코 소홀히 하지 않았다. 퇴계가 경학 연구에서 소학을 중시한 사실은 『四書三經釋義』 곧 『經書釋義』에 잘…
-
심경호2005退溪學과 韓國文化퇴계는 『사서』와 『역경』의 연찬에 주력하되, 번쇄한 훈고를 第一義로 삼지 않았다. 하지만 퇴계는 경학 연구에서 기초학으로서의 小學(philology)을 결코 소홀히 하지 않았다. 퇴계가 경학 연구에서 소학을 중시한 사실은 『四書三經釋義』 곧 『經書釋義』에 잘 나타나 있다. 퇴계는 『시집전』과 『시전대전』의 小註를 참고로 하여 시편의 義理를 해석하였다. 대전본 小註가 『시집전』과 모순되는 경우나 小…
-
조혜란2005한국문화연구이 논문은 자신의 문집을 남긴 여성만이 아니라 자신의 글을 남기지 않은 다수의 조선 여성들의 독서 문화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한다. 독서가 가능한 사람들은 일단 글을 읽을 줄 알고, 동시에 글을 읽을 수 있는 여가가 있는 사람들이다. 조선시대의 문맹률 및 대다수 여성들의 생활 환경을 고려해 볼 때, 대다수의 조선시대 여성들은 구비 전승을 통해 여성적 경험, 여성적 지식을 전수 하였다. 이렇듯 조선시대 …
-
韓亨祚2003南冥學硏究주자학은 天人合一이라는 우주인간론적 비전을 골격으로 한다. 이 테제는 근대적 심성에는 매우 비의적이고 난해하다. 이 사고는 인간이 본성을 우주적 전체 속에서 읽으며, 이는 인간을 우리가 욕망하는 것과는 다른 지평에서 읽을 것을 요구 한다. 주자학은 우리가 역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