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진만2017본 논문은 朱子의 ‘靜坐工夫’에 관한 연구이다. ‘靜坐’라는 용어는 戰國時代부터 쓰였고, 儒敎뿐만 아니라 道敎와 佛敎에서도 부분적으로 사용되는 개념이다. 宋代 이후로는 유교의 공부법으로 정립되어 주자 전후 많은 道學者들이 관심을 가지고 실천하였다. 특히 性理學이 한국에 전래된 이후 조선에서는 道學者가 되기 위한 필수코스가 되었을 정도로 유교의 대표적인 공부법이다. 유교는 자신을 수양하고 도덕…
-
송치욱2016남명학연구이 글은 조선 중기 남명(南冥) 조식(曺植, 1501~1572)의 ‘하학론(下學論)’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남명 조식은 당대 퇴계 등 다른 유학자들에 비해 ‘하학 (下學)’을 강조했다. 그는 하학이 유학의 본질을 담고 있다고 보았으며, 이런 측 면에서 하학을 경시했던 당시의 학자들을 비판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남명 의 ‘하학론’을 이해하기 위해서, 우선 유학에 있어 하학이 가지는 위치를 먼저 …
-
이정민2013조선은 성리학을 국학으로 삼아 성립된 사회로, 통치의 방향은 文治로 요약되며, 그 방식 역시 法보다 德과 禮를 우선시하는 王道를 지향하였다. 왕도정치는 통치 주체의 도덕적 자율성을 전제한 것이어서, 조선의 국왕과 지식인들은 철저한 修己의 과정을 통해 도덕적 권위를 확보해야 하였다. 본 논문에서 다룬 『소학』은, ‘쇄소응대’와 같은 구체적 예절의 습득이 심성의 수양에 직결된다고 판단한 주희가, 인간…
-
장윤수2011퇴계학과 유교문화葛庵 李玄逸(l627~1704)은 l7세기 영남학파의 최고 학자로서, 栗谷學을 비판하고 退溪學을 변증하며 嶺南 士林의 宗匠 역할을 한 사람이다. 그가 남긴 文集은 이러한 사상사적 지위에 걸맞게 양적으로 풍부하고 질적으로도 수준 높은 성리이론을 포함하고 있다. …
-
장윤수2011퇴계학과 유교문화葛庵 李玄逸(l627~1704)은 l7세기 영남학파의 최고 학자로서, 栗谷學을 비판하고 退溪學을 변증하며 嶺南 士林의 宗匠 역할을 한 사람이다. 그가 남긴 文集은 이러한 사상사적 지위에 걸맞게 양적으로 풍부하고 질적으로도 수준 높은 성리이론을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그의 철학사상에 대한 연구는 거의 理氣四七論에 한정되고, 수양론에 대해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것은 배움과 실천을 함께 강조하…
-
손기원2007숙명리더십연구21C 글로벌 경영환경에서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인적자원 개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서구적 경영 패러다임의 한계를 극복할 한국형 리더십 과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형 리더십 과정의 개발과 적용 및 성과 측정에 관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크다. 한국이라는 지역이 갖는 문화적 특수성과 경영 패러다임이 급속하게 변하는 상황을 고려할 때 한국형 리더십 과정의 개발이 시급히 …
-
금장태2006퇴계학과 유교문화
-
엄연석2005退溪學과 韓國文化본 논문은 주희의 『中庸章句』의 관점을 계승한 퇴계의 『中庸』 해석이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가 하는 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퇴계의 『중용』 해석의 내용과 특징은 『中庸釋疑』를 통하여 그리고 문인들과 문답한 내용 등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 퇴계는 대체로 주희의…
-
엄연석2005퇴계학과 유교문화본 논문은 주희의『中庸章句』의 관점을 계승한 퇴계의『中庸』해석이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가 하는 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퇴계의『중용』해석의 내용과 특징은 『中庸釋疑』를 통하여 그리고 문인들과 문답한 내용 등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 퇴계는 대체로 주희의 『중용장…
-
엄연석2005退溪學과 韓國文化본 논문은 주희의 『中庸章句』의 관점을 계승한 퇴계의 『中庸』 해석이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가 하는 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퇴계의 『중용』 해석의 내용과 특징은 『中庸釋疑』를 통하여 그리고 문인들과 문답한 내용 등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 퇴계는 대체로 주희의 『중용장구』의 성리학적 해석 관점을 계승하면서도, 자신의 理氣心性論의 시각을 관철하는 입장에서 『중용』을 해석하고 있다. 퇴계는 박세당이나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