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우2016중국학본고에서는 杜甫의 愁와 復愁十二首를 중심으로 하여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근심(‘愁’) 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필자는 정상에서 벗어난 비정상적이고 異常한 상황이 두보의 근심의 원인이라고 생각하였다. 두보의 주요 근심은 전란으로 인한 조정과 국가의 불안이라는 비정 상의 상황아래 經世濟民과 修身·齊家·治國·平天下를 하지 못한다는 불안에서 오는 근심이다. 편벽된 기주에서 지내며 어쩔 수 없이 시간을 보내고 …
-
김일환2015동아시아 문화연구이 논문은 한 외국인 화가의 삶이 조선 후기 지식인들에게 다양한 기억으로 남는 과정을 살폈다. 명청교체기 關外에서 활동하던 명나라[漢族] 화가 孟永光은 조선의 마지막 對明使行이된 金堉을 만나 초상화를 그려준다. 그후 명나라 장수가 청에 항복하면서 孟永光은 포로가 되어 瀋陽으로 끌려간다. 그는 그곳에서 인질로 끌려온 조선의 왕자들과 만나게 되고, 왕자를 보필하기 위해 파견된 관리들, 그리고 청나라에 적…
-
임준철2015한국시가문화연구도연명의 〈擬挽歌辭三首〉는 주로 조선시대 간행되거나 通行本으로 유통된 도연명 문집을 통해 조선시대 문인들에게 수용되었다. 중국본의 유입상황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조선시대 간행된 도연명집의 판본은 전기가 5종, 후기가 2종으로 파악된다. 이밖에 유형원 개인이 편찬한 필사본이 1종 전한다. 또 도연명의 문집은 아니지만, 그의 시와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는 『精刊補註 東坡和陶詩話』가 전기 〈擬挽歌辭〉…
-
송희경2009한국문화연구18세기 전반에 활약한 겸재 정선은 조선후기 회화의 새로운 흐름을 주도한 거장이었다. 그는 고전을 형식적으로 모방하던 기존의 정형산수화를 뛰어 넘어 진경산수화의 창시자로 평가받는 것 못지않게 참신한 고사인물화 역시 많이 제작하였다. 실존했던 역사적 인물을 화폭에 환생시키기도 하고, 존경하고 좋아했던 고사적 소재를 보편화하여 자신의 산수화에 이입하기도 하였다. 또한 문학작품의 내용을 도해하면서 그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