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남식2016차문화ㆍ산업학Hanjae’s thoughts on the Dao of tea essentially embraces the theme of “mind” (心), emphasizing the unity between tea and mind(茶心一如) and spontaneous joy in mysterious subtleness(神妙自樂) in his spirit of enjoying the Dao. His emph…
-
최배영2016차문화ㆍ산업학본 논문은 조선말 근기실학자이자 예학자였던 성재 허전(1797-1886)의 예서(禮書) 『사의(士儀)』를 토대로 그에 기록된 혼례문화의 역사성을 재고하여 잊혀져가고 있는 문화유산의 일환인 전통혼례문화를 우리의 것으로 재조명하였다. 나아가 현 시대에 적합한 문화…
-
최배영2016차문화ㆍ산업학본 논문은 대학에 있는 청년기 학생들을 위한 인성교육의 시의적 현안에 주목하여 우리 고유의 문화 가운데 ‘성년 됨의 의례’인 관례(冠禮) 속에서 인성교육의 원형적 내용을 탐구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인성교육진흥법에 명시된 핵심 가치․덕목에 의거…
-
유현재2016충무공 이순신과 한국 해양
-
신윤호2016충무공 이순신과 한국 해양
-
송은일2016충무공 이순신과 한국 해양
-
유성운2016한중인문학회 국제학술대회
-
윤진영2016산림문화전집
-
송은석2016泰東古典硏究중국, 일본과 달리 한국 고려시대의 보타락가산 신앙은 관음신앙과 함께 정취신앙도 그 한 축을 이루고 있었다. 양양 낙산사에 대한 『삼국유사』 기록을 비롯하여 진주 용암사의 관음보살상과 정취보살상 조성 기록은 고려 보타락가산 신앙의 경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관…
-
김승환2016한국문화연구885년 최치원이 서유(西遊)를 마치고 귀국할 때, 친구 고운(顧雲)이 썼다는 송별시 <유선가(儒仙歌)>가 『삼국사기』, 『백운소설』, 『전당시보편(全唐詩補篇)』에 실려 있다. <유선가>와 귀향을 신선의 유람으로 묘사한 오율 <범해(泛海)>와 귀향의 결과를 자긍심으로 표현한 <자서(自敍)>는 귀향모티브라는 공통점이 있다. 이 세 귀향모티브 텍스트는 ‘귀향하는 최치원’이라는 제재를 통하여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의 관계를 형성한다. 그런데 <유선가>가 중국에 전하지 않기 때문에 고운이 쓴 것인지 고증하기 어렵고 <자서>역시 최치원의 글이므로 과장된 표현의 여지를 부정할 수 없다. 이렇게 볼 때 ‘귀향하는 최치원’ 모티브이지만 위작의 가능성이 제기되어 있는 <유선가>의 작가는 당의 시인…유선가(儒仙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