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종정종 6년(1040) 경신년정종 6년(1040) 경신년6년 봄 정월 초하루 병진일. 일식(日食)이 발생했다. ○ 최연하(崔延嘏)를 서경부유수(西京副留守)로 임명했다. 신유일. 동여진의 봉국대장군(奉國大將軍) 요어(傜漁) 등 50명이 와서 특산물을 바쳤다. 임신일. 우산기상시(右…#일식 #최연하 #서경부유수 #봉국대장군 #요어 #우산기상시 #진현석 #거란 #안산군대군 #이공협 #수원장군 #파걸 #귀덕장군 #고두 #승평문 #어사대 #이부원외랑 #김정준 #권지승선 #회화장군 #요두 #도량형 #태묘 #봉국장군 #아골 #영새장군 #잉보 #추장 #고사문 #내사시랑평장사 #유징필 #유작 #공부서령사 #동경 #무의로 #오지걸 #영남 #진주방어사 #마세장 #횡선사 #임해원 #기우제 #오타 #도령장군 #아이화 #북악 #회경전 #초제 #큰 비 #이영간 #사관수찬 #이상선 #감찰어사 #상서우승 #유백인 #사은사 #모이라 #해가 #적을구 #의춘루 #벼락 #숭화궁 #하주관찰사 #조안인 #상서좌복야 #양진 #형부상서 #판어사대사 #이주좌 #공부시랑 #유창 #고도달 #이회 #상서우복야 #원영 #공부상서 #야반 #이자연 #지중추원사 #왕총지 #중추원지주사 #도지휘사 #고유한 #동경회례사 #니우화골보 #잉화로 #과호 #정조 #부거 #김원충 #장군 #사이라 #동화로 #대식국 #보나합 #수은 #용치 #점성향 #몰약 #대소목 #이인정 #원윤 #아두간
-
정종정종 6년(1040) 경신년정종 6년(1040) 경신년六年 春正月 丙辰朔 日食. 以崔延嘏爲西京副留守. 辛酉 東女眞奉國大將軍傜漁等五十人來, 獻土物. 壬申 遣右散騎常侍秦玄錫如契丹, 獻方物. 丙子 安山郡大君金氏, 告其子李公叶不孝, 棄市. 庚辰 東女眞綏遠將軍巴桀等四十人來, 獻駿馬. 甲申 西北女眞歸德將軍高竇等四十六人來, …#일식 #최연하 #서경부유수 #봉국대장군 #요어 #우산기상시 #진현석 #거란 #안산군대군 #이공협 #수원장군 #파걸 #귀덕장군 #고두 #승평문 #어사대 #이부원외랑 #김정준 #권지승선 #회화장군 #요두 #도량형 #태묘 #봉국장군 #아골 #영새장군 #잉보 #추장 #고사문 #내사시랑평장사 #유징필 #유작 #공부서령사 #동경 #무의로 #오지걸 #영남 #진주방어사 #마세장 #횡선사 #임해원 #기우제 #오타 #도령장군 #아이화 #북악 #회경전 #초제 #큰 비 #이영간 #사관수찬 #이상선 #감찰어사 #상서우승 #유백인 #사은사 #모이라 #해가 #적을구 #의춘루 #벼락 #숭화궁 #하주관찰사 #조안인 #상서좌복야 #양진 #형부상서 #판어사대사 #이주좌 #공부시랑 #유창 #고도달 #이회 #상서우복야 #원영 #공부상서 #야반 #이자연 #지중추원사 #왕총지 #중추원지주사 #도지휘사 #고유한 #동경회례사 #니우화골보 #잉화로 #과호 #정조 #부거 #김원충 #장군 #사이라 #동화로 #대식국 #보나합 #수은 #용치 #점성향 #몰약 #대소목 #이인정 #원윤 #아두간
-
恒雨현종(顯宗) 3년 10월 기해일. 세찬 천둥이 치고 비가 쏟아졌다. 5년 11월 을사일. 천둥이 치고 비가 쏟아졌다. 6년 10월 계사일. 천둥이 치고 비가 쏟아졌다. 13년 10월 경술일. 큰 비가 내리고 폭풍이 불어 나무…
-
恒暘태조(太祖) 17년(934). 서경(西京)에 가뭄과 누리[蝗蟲]의 피해가 있었다. 성종(成宗) 10년(991) 7월. 날이 가물자 왕이 다음과 같이 지시했다. “늦여름은 이미 다 가고 초가을도 중순에 이르고 …#서경 #가뭄 #누리 #정전 #옹희 #개경 #종묘 #우산 #부채 #송악 #기우제 #신사 #토룡 #남성 #봉은사 #중광사 #초제 #문덕전 #임해원 #북악 #회경전 #금강명경도량 #금강도량 #예부 #광주목 #동신당 #신묘 #박연 #광주 #태사 #사직 #흥국사 #건덕전 #금강경도량 #보제사 #법가 #칠릉 #태묘 #오해신 #팔능 #동신사 #태일 #용왕도량 #남경 #상자원 #시어사 #최위 #삼각산 #법운사 #왕사 #덕창 #양부 #대성 #양제 #호천상제 #태조 #구요당 #사우 #구월산 #원구 #전염병 #덕연 #산호정 #순복전 #왕륜사 #일월사 #나한재 #내전 #동신묘 #율포 #양경 #도성청 #영통사 #금경도량 #금명전 #외제석원 #정주 #상춘정 #재추 #신중원 #현호문 #망제 #묘통사 #현성사 #교수형 #참수형 #운우도량 #일산 #공덕천도량 #청주 #경기도 #양산 #삿갓 #숙주 #강안전 #사심첩 #천둥 #승려 #백운 #삼사 #감찰사 #기우도량 #복령사 #선원사 #흥왕사 #백련당 #어사대 #양광도 #전라도 #경상도 #구정 #형인추정도감 #영전 #임진 #도당 #김속명 #단오제 #개성 #대정 #연복사 #밀직제학 #장하 #판사 #양종진 #보원고 #도우단 #우왕
-
三陟縣본래 실직국(悉直國) 실직국 강원도 삼척 지역에 있던 소국으로 실직곡국(悉直谷國)으로 나오기도 한다. 자신과 영역을 다투던 음즙벌국이 사로국의 파사이사금에 의해 병합되는 것을 보고 내항하였다. 뒤에 반란을 일으켰다가 진압되고 주민도 강제 이주되었다. 으로 신라…
-
恒雨顯宗三年十月己亥 大雷雨. 五年十一月乙巳 雷雨. 六年十月癸巳 雷雨. 十三年十月庚戌 大雨, 暴風折木. 是日, 以霖雨不止, 祈晴于群望. 十五年五月癸巳 雨. 自春暵甚, 民有團聚籲天祈禱, 王晨起, 聞其聲, 因輟膳. 齋沐焚香, 立于殿庭, 仰天祝曰, “寡人有過, 請卽降罰,…
-
恒暘太祖十七年 西京, 旱․蝗. 成宗十年七月 旱, 敎曰, “季夏已闌, 孟秋將半, 尙愆時雨, 心軫憂懷. 未知政化之陵夷歟, 刑賞之不中歟? 啓牢獄, 放囚徒, 避正殿, 減常膳, 祈天禱佛, 望祀山川, 未觀石燕之飛, 轉見金烏之赫. 由予凉德, 致此亢陽, 欲推養老之恩, …#서경 #가뭄 #누리 #정전 #옹희 #개경 #종묘 #우산 #부채 #송악 #기우제 #신사 #토룡 #남성 #봉은사 #중광사 #초제 #문덕전 #임해원 #북악 #회경전 #금강명경도량 #금강도량 #예부 #광주목 #동신당 #신묘 #박연 #광주 #태사 #사직 #흥국사 #건덕전 #금강경도량 #보제사 #법가 #칠릉 #태묘 #오해신 #팔능 #동신사 #태일 #용왕도량 #남경 #상자원 #시어사 #최위 #삼각산 #법운사 #왕사 #덕창 #양부 #대성 #양제 #호천상제 #태조 #구요당 #사우 #구월산 #원구 #전염병 #덕연 #산호정 #순복전 #왕륜사 #일월사 #나한재 #내전 #동신묘 #율포 #양경 #도성청 #영통사 #금경도량 #금명전 #외제석원 #정주 #상춘정 #재추 #신중원 #현호문 #망제 #묘통사 #현성사 #교수형 #참수형 #운우도량 #일산 #공덕천도량 #청주 #경기도 #양산 #삿갓 #숙주 #강안전 #사심첩 #천둥 #승려 #백운 #삼사 #감찰사 #기우도량 #복령사 #선원사 #흥왕사 #백련당 #어사대 #양광도 #전라도 #경상도 #구정 #형인추정도감 #영전 #임진 #도당 #김속명 #단오제 #개성 #대정 #연복사 #밀직제학 #장하 #판사 #양종진 #보원고 #도우단 #우왕
-
三陟縣本悉直國, 新羅婆娑王時, 來降. 智證王六年, 爲州, 置軍主. 景德王, 更今名, 爲郡. 成宗十四年, 改陟州團練使. 顯宗九年, 降爲縣令. 辛禑三年, 陞知郡事. 別號眞珠. 有太白山【新羅擬五岳, 爲北岳.】. 有黃池【卽洛東江之源】.
-
정종 6년(1040) 경신년6년 봄 정월 초하루 병진일. 일식(日食)이 발생했다. ○ 최연하(崔延嘏)를 서경부유수(西京副留守)로 임명했다. 신유일. 동여진의 봉국대장군(奉國大將軍) 요어(傜漁) 등 50명이 와서 특산물을 바쳤다. 임신일. 우산기상시(右…
-
정종 6년(1040) 경신년六年 春正月 丙辰朔 日食. 以崔延嘏爲西京副留守. 辛酉 東女眞奉國大將軍傜漁等五十人來, 獻土物. 壬申 遣右散騎常侍秦玄錫如契丹, 獻方物. 丙子 安山郡大君金氏, 告其子李公叶不孝, 棄市. 庚辰 東女眞綏遠將軍巴桀等四十人來, 獻駿馬. 甲申 西北女眞歸德將軍高竇等四十六人來, …
-
恒雨현종(顯宗) 3년 10월 기해일. 세찬 천둥이 치고 비가 쏟아졌다. 5년 11월 을사일. 천둥이 치고 비가 쏟아졌다. 6년 10월 계사일. 천둥이 치고 비가 쏟아졌다. 13년 10월 경술일. 큰 비가 내리고 폭풍이 불어 나무…
-
恒暘태조(太祖) 17년(934). 서경(西京)에 가뭄과 누리[蝗蟲]의 피해가 있었다. 성종(成宗) 10년(991) 7월. 날이 가물자 왕이 다음과 같이 지시했다. “늦여름은 이미 다 가고 초가을도 중순에 이르고 …
-
三陟縣본래 실직국(悉直國) 실직국 강원도 삼척 지역에 있던 소국으로 실직곡국(悉直谷國)으로 나오기도 한다. 자신과 영역을 다투던 음즙벌국이 사로국의 파사이사금에 의해 병합되는 것을 보고 내항하였다. 뒤에 반란을 일으켰다가 진압되고 주민도 강제 이주되었다. 으로 신라…
-
恒雨顯宗三年十月己亥 大雷雨. 五年十一月乙巳 雷雨. 六年十月癸巳 雷雨. 十三年十月庚戌 大雨, 暴風折木. 是日, 以霖雨不止, 祈晴于群望. 十五年五月癸巳 雨. 自春暵甚, 民有團聚籲天祈禱, 王晨起, 聞其聲, 因輟膳. 齋沐焚香, 立于殿庭, 仰天祝曰, “寡人有過, 請卽降罰,…
-
恒暘太祖十七年 西京, 旱․蝗. 成宗十年七月 旱, 敎曰, “季夏已闌, 孟秋將半, 尙愆時雨, 心軫憂懷. 未知政化之陵夷歟, 刑賞之不中歟? 啓牢獄, 放囚徒, 避正殿, 減常膳, 祈天禱佛, 望祀山川, 未觀石燕之飛, 轉見金烏之赫. 由予凉德, 致此亢陽, 欲推養老之恩, …
-
三陟縣本悉直國, 新羅婆娑王時, 來降. 智證王六年, 爲州, 置軍主. 景德王, 更今名, 爲郡. 成宗十四年, 改陟州團練使. 顯宗九年, 降爲縣令. 辛禑三年, 陞知郡事. 別號眞珠. 有太白山【新羅擬五岳, 爲北岳.】. 有黃池【卽洛東江之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