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기환2016역사교육연구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사회과교육과정 역사영역 (초등역사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검토하여 생활사, 인물사, 문화사 서술의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2015 교육과정에서는 3학년에 생활사, 4~5학년에 문화사를 나누어 배치하고, 5학년 2학기에 정치...
-
김지영2014한민족문화연구만화, 소설, 청소년 드라마 등 다양한 매체 사이에서 유쾌하고 건전한 내용을 다루는 장르 코드로 활용되고 있는 어휘 ‘명랑’은 한국, 일본 등지에서만 사용되는 독특한 의미장을 지닌 개념이다. ‘명랑’은 또한 일제강점기 총독부의 군국주의적 총동원 체제가 표방하는 체제 선전의 슬로건이자, 1960년대 군사정권이 국가주의적 규율담론을 습속화하기 위해 실시한 사회 운동의 기표이기도 했다. 한국 역사에서 ...
-
배정미2012Education on cultural history has been subject to various criticisms including merely enumerating cultural content in each period in a comprehe...
-
서철원2012韓國 詩歌硏究본고는 『백팔번뇌』에 드러난 최남선의 국가관, 국토관, 문화관에 신라의 統三 과정과 비견할 요소가 散見됨을 지적하여 그의 문화사관을 재평가할 단서를 마련하고자 한다. 『백팔번뇌』 1부의 ``님``은 감각을 통해 규정할 수 없는 종교적 대상이며, 쇠락 또는 소멸을 앞두고 있지만 그 자취는 화자 자신을 통해 영속적인 것으로 거듭날 수 있는 존재로 표현되었다. 이는 『불함문화론』 11장에서 단군을 정치...
-
최서영2010'문화'란 그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좁게는 '사상·문학·예술·종교'등과 같은 인간의 정신적 소산물'에 국한되지만, 넓게는 '인간의 창조적 활동의 결과로 형성된 정신적·물질적 소산물 전체'를 말한다. 역사학에서는 후자의 정의에 따라 문화사를 서술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이렇게 볼 때 문화사가 다른 어떤 분야보다 인간 생활과 폭넓은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에서 '문화사' 학습의 중요성이 부각될 ...
-
연동원2010한민족문화연구역사소설과 같은 문학작품 독서를 역사학 강의에 활용하면 학습효과가 높다. 실제 역사와 허구적인 요소를 결합하여 역사학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현대적인 관점에서 과거의 역사를 재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은 신윤복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에도 해당되는 바, 실존인물인 신윤복을 통해서 조선 후기 회화사와 그 당시의 사회상을 조명할 수 있다. 공교롭게도 2007년 신윤복을 소재로 한 역사소...
-
이민주2009역사민속학본 연구는 조선후기 신분을 초월하여 유행한 새로운 스타일인 ‘하후상박’형의 노출형의 복식구조를 통해 각각의 신분에서 표출하고자 한 내면의 욕망을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하후상박형의 복식구조는 상체를 긴박하게 줄이고 하체를 풍성하게 부풀리면서 치마를 걷어 올려 입는 스타일이다. 특히 상의인 저고리를 아주 작고 짧게 만들어 저고리 밑으로 가슴이 드러나 보이게 하고, 심지어는 피가 통하지 않을 정도로 소...
-
김지운2008사회의 변화와 발전에 따라 교육의 모습도 바뀌어가고 있다. 한 반의 학생 수가 줄고, 교육 기자재가 늘어나고, 학습관련 자료들이 풍부해지는 좋은 여건 속에서 교육은 한걸음씩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 역사 교육에서도 진전이 있었다. 시대사에서 분류사로 교과서...
-
李春梅2008한중인문학연구본고는 역사적ㆍ문화사적 시각에서 김사량의 장편르포 〈노마만리〉를 고찰하였다. 〈노마만리〉는 태항산 항일근거지를 위주로 중공과 팔로군 및 국민당을 포함한 중국의 혁명 상황, 중국인의 세태와 풍속 등을 진실하게 기록한 작품이다. 그렇기 때문에 섬감녕 항일근거지를 위주로 한 에드거 스노의 『서행만기』와 쌍벽을 이루면서 중국혁명 실상을 여실히 반영한 역작(力作)으로 평가될 수 있다. 특히 이 작품은 역사...
-
하영휘2003본 논문은 19세기 충청도 남포현 삼계리에 살았던 뛰어난 유학자 조병덕(趙秉悳, 1800~1870)이 남기 편지 자료로 하여 19세기 호서(湖西) 지방의 사회사를 문화사적인 시각으로 살펴 본 것이다. 그 동안 19세기 조선시대 사회에 대한 연구는 크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