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조에서 중국인 양길의 거취에 대해 아뢰다.
도성에 머물러 있던 예조에서 아뢰기를,
“일본국 비전주(肥前州) 상송포(上松浦) 뇌영(賴永)이 보낸 중국인 양길(楊吉)이 말하기를, ‘나는 본디 중국 절강성(浙江省) 항주(杭州)의 영파부(寧波府)사람인데, 어릴 때에 부모가 모두...
-
비변사에서 군사 훈련 방안을 아뢰다.
비변사가 아뢰기를,
“황해의 전 병사 조인득(趙仁得)의 말을 들으니, 그가 본도에 있을 적에 정용한 병사를 선발하였는데 그 수가 4천 명이어서 급할 때에 충분히 사용할 만하며 그 중에는 재주를 완전히 익힌 포수도 수백 명이라고 ...
-
양군의 연락 체계와 남원성 축조에 관한 비변사의 건의를 재가하다.
비변사가 아뢰기를,
“중국군이 오지 않았다면 모르되 이미 나왔으니 전수에 관한 모든 일을 두 나라가 상의하여 힘을 합해 해야만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니, 이는 곧 같은 배를 타고 항해하는 격입니다. 만약 각자 진퇴를 하고 ...
-
제독 마귀를 접견하고 전략을 의논하다.
마제독(麻提督)이 뒤이어 오자, 상이 별전에 나아가 접견하였다. 상이 말하기를,
“중국의 대인으로서 일찍이 이렇게 예방한 적이 없었습니다. 오늘 양대인(楊大人)이 누추한 곳에 왕림하시는 것도 감히 만류하지 못하였는데, 오늘 또 대인께서 왕림해 주시니...
-
경리접대도감이 행장이 보낸 주은례의 동정과 왜적에 대한 대책 등을 아뢰다.
경리접대도감 낭청이 우의정의 뜻으로 아뢰기를,
“어제 저녁에 황응양(黃應陽)이 서울로 들어왔습니다. 신이 오늘 아침에 만나보았는데, 그의 말에, ‘행장(行長)이 보낸 왜노 7명은 임실(任實)에 구류시켜 두고 주원례(朱元禮) 혼자...
-
중국 조정에서 왜의 전영에 사자로 보낸 유격 심유경이 돌아오다.
중국 조정에서 왜의 진영에 사자로 보낸 유격 심유경(沈惟敬)이 돌아왔다. 당초 조승훈(祖承訓)이 패하고 나자 적이 더욱 교만해져 우리 군대에 글을 보내어 장차 서쪽으로 올라가겠다고 큰소리치므로 행조에서 두려워하였다. 심유경은 본래 절강성(浙江省) 사람으로 ...
-
중국 황제가 행인사 행인 설번을 파견하여 조칙을 내리고 위로하다.
중국 황제가 행인사(行人司) 행인 설번(薛藩)을 파견하여 조칙을 내리고 위로하며 유시하기를,
“그대 나라는 대대로 동번을 지키며 평소 공손히 순종하였고, 의관문물이 성해 낙토라고 불리워졌다. 그런데 요즈음 듣건대 왜노가 창궐하여 대거 침입해서 왕성을...
-
일본에 가서 장사하고 돌아가던 복건성 등지의 중국인이 진도의 도포에 표착하다.
표착한 중국 사람들은 북경(北京)에 압송하게 하였다. 이보다 앞서 이국 사람의 무리가 진도(珍島)의 도포에 표착하였는데, 물어 보니 곧 복건성(福建省)·강소성(江蘇省)·절강성(浙江省) 등지의 사람으로 일본에 가서 장사하고 돌아가다가 침몰한 자들이었으며, 무...
-
찬성사 강인유 등이 명나라 서울로부터 돌아오다.
찬성사 강인유(姜仁裕), 동지밀직사사 김서, 성원규(成元揆), 판도 판서 임완(林完), 서장관 정몽주(鄭夢周) 등이 명나라 서울로부터 돌아왔다. 강인유 등이 홍무 5년 12월 7일에 본국의 위엄한 사업으로 인하여 절강성(浙江省) 땅에 있었는데 중서성이 예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