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대장과 왜적에 대한 대응을 논의하다.
상이 양대장(楊大將) 사처에 행행하여 읍례를 행하였다. 상이 말하기를,
“대인이 오랫동안 이곳에서 수고를 하니 미안하오.”
하니, 답하기를,
“거느리고 있는 하인들이 반드시 폐를 끼친 일이 있...
-
왕통판이 경략의 생각은 강화 쪽으로 기울었다고 전하다.
대가가 다시 청천강(淸川江)을 건너 5리쯤에서 왕통판(王通判)을 만났다. 상이 통사를 시켜 전달하기를,
“내가 안흥(安興)에서 대인이 오기를 기다렸으나 대인이 오래도록 오지 않았소. 내가 경략을 만날 일이 급하기 때문에 광통원(廣通院)에서 서로 보고...
-
유성룡 등이 경략의 패문과 왜적을 치자고 쟁변한 내용을 아뢰다.
도체찰사인 풍원부원군 유성룡(柳成龍)과 도원수인 좌참찬 김명원(金命元)이 치계 하였다.
“금일 총병 이녕(李寧)과 유격장 척금(戚金) · 전세정(錢世禎)이 동파(東坡)에 와서 총병 사대수(査大受)와 한곳에 있으면서 신들과 순찰사 이정형(李廷馨)을 불...
-
이시언 등이 언로 ․ 기강 ․ 상벌 ․ 검약 ․ 내치 ․ 수령 임명 등을 아뢴 차자.
사간 이시언(李時彦), 헌납 황낙(黃洛), 정언 이상신(李尙信) 등이 차자를 올렸는데, 그 내용에,
“삼가 생각하건대 나라의 일이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 무슨 말을 할 수 있겠습니까. 지극한 정성은 신명을 감동시켜서 아무리 먼 곳이라도 이르지 못하는 ...
-
봉공을 허락할 것을 요청하는 요동도사의 자문.
고시랑(顧侍郞)의 접반사(接伴使)인 지중추부사 심희수(沈喜壽)와 부사인 상호군(上護軍) 허성(許筬)이 의주에서 치계하기를,
“오늘 이정형(李廷馨)이 강을 건너왔는데 그가 받아온 요동도사의 자문을 보니, 고총독(顧總督)의 마음과 생각이 송경략(宋經略)...
-
전라감사 이정암이 화친을 약속하여 적을 물러가게 할 것을 치계하다.
전라감사 이정암(李廷馣)이 치계하였다.
“신이 경략이 우리나라 신료들에게 선유한 차문을 보건대, 걱정스럽고 답답한 마음을 견디지 못하겠습니다. 중국군을 다시 청할 수도 없고 양식을 다시 바랄 수도 없는 것은 물론, 유정(劉綎)의 대군도 오래지 않아 ...
-
사헌부가 이정암을 파직할 것을 아뢰다.
사헌부가 아뢰기를, ……
“국가의 대계는 마땅히 대의의 소재를 보아서 처리해야 합니다. 지금 원수인 왜적과는 같은 하늘 아래서 함께 살 수 없는 처지이니 그들과 강화해서는 안 된다는 것은 대의가 너무도 분명하여 다시 말할 것이 ...
-
홍문관 부수찬 정엽이 화친을 청한 전라감사 이정암을 비판하다.
홍문관 부수찬(副修撰) 정엽(鄭曄)이 차자를 올리기를,
“신이 삼가 전라감사 이정암(李廷馣)의 장계 내용을 보고 경악을 금치 못했습니다. 이런 말을 어떻게 우리나라의 신자로서 차마 입 밖에 낼 수 있단 말입니까. 신은 종사가 폐허가 되고 화가 원릉에...
-
홍문관 부제학 이정형 등이 언로를 여는 일, 백성을 보호 하는 일, 군졸을 훈련시키는 일 등을 아뢰다.
홍문관 부제학 이정형(李廷馨), 수찬 정엽(鄭曄) 등이 아뢰었다.
“삼가 신들이 오늘날의 일을 살펴보건대, 천심은 아직 돌아오지 않았는데 민력은 이미 탕갈되었으며 밖에는 흉칙한 왜적이 변방에 주둔하고 있고 안에는 뭇도적이 산마다 퍼져 있어서 상망의 ...
-
요동 도지휘사사가 왜의 봉공을 허락해야 한다는 자문을 보내오다.
요동도지휘사사(遼東都指揮使司)가 황제의 명지를 받들어 속국에 선유하여 일찍이 사기를 살펴 스스로 생존을 도모하게 하라는 일에 대해서 자문을 보내었는데, 자문은 다음과 같다.
“흠차총독계요보정등처군무겸리양향급방해어왜사무병부좌시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