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변에 대비해 전라도 내의 낙안군의 토성을 넓혀 쌓게 하다.
전라도감사가 보고하기를,
“도 내의 낙안군(樂安郡)의 토성(土城)이 낮고 작아서, 만약 왜변이 있다면 보존해 지키기 어려우니, 돌을 섞어서 옛터를 좀 넓혀서 성을 쌓게 하소서.”
하니, 그대로 허락하였다.
-
황해도 순위량의 병선 정박지 선정에 대해 의논하다.
황해도 순위량(巡威梁)의 선군들이 상언하기를,
“본량(本梁)의 병선은 처음에는 해주(海州)의 추관(槌串)에 정박하여 매우 편리하였었는데 을사년에 무지관(無知串)으로 옮겼습니다. 본관(本串)은 땅이 모두 모래와 돌이며 또 사면으로 바람을 받기 때문에,...
-
강희려가 남해도의 남쪽, 이조항 ․ 장항 등에 병선을 정박시켜야 한다는 상서를 올리다.
전 광양현감(光陽縣監) 강희려(姜希呂)가 상서하기를,
“남해도(南海島)의 남쪽, 미조항(彌助項) ․ 장항(獐項) ․ 동모포(冬毛浦) 등과 같은 곳은 병선을 정박시켜야 할 곳입니다. 그러나 일찍이 방어의 시설을 하지 않아서 왜변을 당하여 막을 때에는 ...
-
외구의 제어책을 평안도 도절제사에게 보내다.
전일에 4품 이상이 올린 외구(外寇)의 제어책(制禦策) 2질(秩)을 초출 등사하여 평안도도절제사 이천에게 보내고, 인하여 유시하기를,
“서방(西方)의 제어의 일을 경에게 전위하였고, 경도 또한 이미 나의 마음을 다 알 것이다. 그러나 군사란 멀리서 ...
-
의정부에서 중국으로 도둑질하러 가고 오는 왜인의 변을 미리 대비하게 할 것을 아뢰다.
의정부에서 아뢰기를,
“정대랑(井大郞)이 와서 말하기를, ‘왜인이 장차 중국으로 도둑질하러 간다.’ 고 하옵고, 또 왜적의 만호 구라시라(仇羅時羅)도 윤인소(尹仁紹)에게 이를 말하였사오니, 이 왜적이 우리 국경을 지나가다가 좀도...
-
평안도 도절제사가 왜적에 대비하여 선군을 연습시키고 성을 쌓게 하기를 치계하다.
평안도도절제사가 치계(馳啓)하기를,
“야인이 때를 타고서 가만히 발동하는 것은, 쥐가 훔치는 것이나 개가 도적질하는 것과 같지만, 근자에 왜적이 원망을 품고 있사오니, 혹시 적선 수십여 척이 빈틈을 타고 돌연히 들어오면, 비록 ...
-
경상도 관찰사가 왜인들이 침입에 대비토록 각도에 유시하다.
경상도관찰사가 치계하기를,
“지금 대마도 육랑차랑(六郞次郞)이 보낸 오라이라(吾羅而羅)가 와서 말하기를, ‘왜인들이 고기잡이한다고 거짓 핑계하고 선척(船隻)을 수리하여 조선에 입구하려 한다.’ 고 하였으므로, 신이 이미 본도(本...
-
의정부에서 경상우도의 방패와 근장은 변란이 없을 때에는 징집하지 말 것을 건의하다.
의정부에서 경상우도도절제사가 올린 정문에 의거하여 아뢰기를,
“하번(下番)인 별시위와 방패(防牌)·근장(近仗) 등은 갑사(甲士)의 예에 의하여 다 본도의 영과 진에 군적(軍籍)을 두고 있으니, 만약 왜변이 있게 되면 곧 소집하여...
-
경연에서 적왜를 잡는 문제를 논하다.
경연에 나아갔다. 강하기를 마치자, ……
임금이 동지사 이승소(李承召)에게 이르기를,
“이제 왜변이 있어 버려두고 묻지 않을 수 없으므로 도주에게 유시하려고 하는데, 경의 뜻에는 어떠한가?”
하니, 이승소가 대답기...
-
한명회가 왜변을 염려하다.
경연에 나아갔다. 강하기를 마치자, …… 한명회(韓明澮)가 문득 일어나 앞에 나오며 말하기를,
“하삼도(下三道)는 나라의 복심입니다. 그러기에 조종조에서 왜선이 정박할 만한 곳에는 모두 진을 두어 방수하여서 절도사와 만호를 파견하여 방어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