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조참판 이명덕이 일본 구주 전 도원수 원도진 ․ 대내전 다다량공에게 답서하다.
예조 참판 이명덕이 일본 구주전도원수(九州前都元帥) 원도진(源道鎭)에게 답서하기를,
“서간을 받아 체기가 평안함을 알게 되니 위로되는 바이오. 진헌한 예물은 삼가 이미 계하여 수납하였고, 귀국 전하가 전위하여 사신을 보내어 좋게 지내기를 강수하므로,...
-
황해도 순위량의 병선 정박지 선정에 대해 의논하다.
황해도 순위량(巡威梁)의 선군들이 상언하기를,
“본량(本梁)의 병선은 처음에는 해주(海州)의 추관(槌串)에 정박하여 매우 편리하였었는데 을사년에 무지관(無知串)으로 옮겼습니다. 본관(本串)은 땅이 모두 모래와 돌이며 또 사면으로 바람을 받기 때문에,...
-
일본에 사신을 보내는 일을 의논하다.
예문대제학(藝文大提學) 조말생(趙末生)․호조판서 박종우(朴從愚)․동지중추원사 이명덕(李明德)․병조판서 정연(鄭淵)․판한성부사 한확(韓確)․이조판서 박안신(朴安臣)․예조판서 김종서(金宗瑞)․형조판서 안숭선(安崇善)․병조참판 신인손(辛引孫)․한성부윤 황치신(黃...
-
명나라에서 왜구를 잡아오라 칙지를 내리기 전에 잡아온 왜구를 보내는 것의 가부를 논의하다.
왕세자가 예조판서 김종서와 도승지 이승손(李承孫), 좌부승지 황수신(黃守身)을 불러 보고 임금의 교지를 전하였는데, 이에 이르기를,
“이제 사로잡은 왜적(倭賊)을 명나라로 잡아 보내는 것은 사세가 어려울 듯하나, 지금 풀어 보내는 잡혀 갔던 명나라 ...
-
조용조법과 큰 성 ․ 소보 쌓는 것을 의논하다.
의정부에 글을 내리기를, ……
“성(城)을 쌓는 영은 오로지 후세를 위한 것이니, 일없는 때에 하고자 하는 것이다. 지금 말하는 자가 많으니, 내가 들으면 마음에 미안하다. 지난 가을에 충청도의 성 쌓는 것을 파하고자 하는 자가...
-
황해도 감사가 왜선과의 대치 상황을 보고하니 김효성 ․ 장우량 등을 더 파견하다.
황해도 감사가 급보하기를,
“본월 11일에 조전절제사(助戰節制使) 이사검이 만호 이덕생과 함께 병선 5척으로써 적을 해주의 연평곶이[延平串]에서 엿보고 있을 때, 적선 38척이 짙은 안개 속으로 갑자기 와서, 우리의 배를 에워싸고 협박...
-
상왕의 탄신일이므로 임금이 내전에서 하례하는 예식을 행하다.
상왕의 탄신일이므로, 임금이 내전에서 하례하는 예식을 행하고, 안팎 의복과 안장 갖춘 말을 헌상하고, 공비(恭妃)와 명빈(明嬪)과 의화 궁주는 각각 체수박(遞手帕)을 헌상하고, 각도 관찰사는 각기 그 지방 산물과 말 1필씩을 헌상하였다. 임금이 낙천정에서 ...
-
거제에 병선을 모으는 일과 구류한 왜사를 돌려보낼 지에 대해 의논하다.
임금이 장차 낙천정에 나아가려고 견여(肩輿)가 이미 들어왔을 때에, 허조를 불러 보니, 허조가 거제도에 병선을 모으는 것이 부당함과 왜사(倭使)를 구류함이 불가하였다는 뜻을 극진히 말하고, 다시 일본에 사신을 보내어 정탐하기를 청하였다. 임금이 곧 낙천정에...
-
상왕이 양화도에 거둥하여 전함을 관람하다.
상왕이 양화도(楊花渡)에 거둥하여 전함을 관람하였다. 이에 앞서 여러 도의 전함이 왜선을 쫓아가다가, 왜선이 빨라서 미쳐 따라가지 못하였다. 상왕이 한스럽게 여겨, 대호군 윤득민(尹得民)을 명하여 빠른 배 3척을 만들게 하였다. 귀화한 왜인을 시켜 왜선을 ...
-
병조판서 이명덕이 수군의 세납감량과 병기준비를 청하다.
병조참판 이명덕이 계하기를,
“여러 도의 수군들이 세납 바치는 데에 준비하느라고 병기 준비에는 겨를이 없게 되니, 만약 적왜를 만나게 되면, 반드시 기회에 대응하지 못할 것이니, 엎드려 바라건대, 세납을 감면하여 주고, 병기를 정리시켜서 뜻밖에 일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