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사가 방백으로 도망한 유영립의 삭직과 늙은 병사 이세호의 파직 등을 청하다.
양사가 아뢰기를,
“유영립(柳永立)은 방백(方伯)의 신분으로 적왜가 영(嶺)을 넘자 겁을 집어먹고 어찌 할 바를 모르다가 자신의 먼저 도망침으로써 한 도를 궤멸시켰습니다. 그리고 적에게 잡혀 구금되었다가 간신히 도망해 왔으니 국...
-
신경행 ․ 유자신 ․ 나급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신경행(辛景行)을 한산군수(韓山郡守)에, 유자신(柳自新)을 동지돈령부사에, 나급(羅級)을 공주목사(公州牧使)에 제수하였다.
-
영의정 최흥원 등이 동궁에게 재결받으라는 전교를 거두어 달라고 청하다.
영의정 최흥원(崔興源), 형조판서 이헌국(李憲國), 아천군 이증(李增), 병조판서 이항복(李恒福), 이조판서 이산보(李山甫), 행이조참판 구사맹(具思孟), 병조참판 신잡(申磼), 호조참판 윤자신(尹自新), 우참찬 성혼(成渾), 형조참판 이희득(李希得), 한...
-
영의정 최흥원 등이 동궁을 해주로 진주하라는 전교를 거두기를 청하다.
영의정 최흥원(崔興源), 청천군 한준(韓準), 아천군 이증(李增), 병조판서 이항복(李恒福), 이조판서 이산보(李山甫), 행이조참판 구사맹(具思孟), 행호조참판 윤자신(尹自新), 우참찬 성혼(成渾), 형조참판 이희득(李希得), 한성부좌윤 정언지(鄭彦智), ...
-
영의정 최흥원 등이 대가를 삼현으로 전진할 것을 아뢰다.
영의정 최흥원(崔興源), 겸호조판서 홍성민(洪聖民), 아천군(鵝川君) 이증(李增), 병조판서 이항복(李恒福), 이조판서 이산보(李山甫), 행이조참판 구사맹(具思孟), 행호조참판 윤자신(尹自新), 우참찬 성혼(成渾), 형조참판 이희득(李希得), 한성부좌윤 정...
-
심유경이 보낸 자문에 대하여 2품 이상의 관리들에게 헌의하게 하다.
심유격(沈遊擊)이 보내온 자문을 의논하여 조처할 일로 2품 이상에게 헌의하게 하니, 유성룡(柳成龍)은 의논드리기를,
“신은 병중에 있어 정신이 혼미하고 생각이 착란하므로 군국의 중대사를 의논하지 못하겠고, 또 심무시(沈懋時)가 입국한 후에 무슨 말을...
-
사헌부가 가족을 피난시킨 관원들의 징계 등을 건의하다.
사헌부가 아뢰기를,
“호군 유영경(柳永慶)·박응복(朴應福), 우윤 유자신(柳自新), 호조참판 심우승(沈友勝), 지평 장만(張晩), 부수찬 윤의립(尹義立)은 모두 재상과 시종으로서 국가의 위급함은 생각하지 않고 먼저 자기 가속들을...
-
대마도 관시 허가에 대해 유자신이 헌의하다.
유자신(柳自新)이 헌의하였다.
“신은 한낱 수행하는 사람이라서 일찍이 군국의 계책을 듣지 못하였으므로 지금에 이르러서 망령되게 의견을 아뢸 수 없으나 생각하면 우리나라는 왜노에 대하여 불공대천의 원수이므로 결코 통화할 의리가 없습니다. 다만 대치한 ...
-
위성공신의 인원를 정하다.
공신은 무릇 네 가지 호칭이다. 첫번째는 ‘갈충진성동덕찬모좌운위성공신(竭忠盡誠同德贊謨佐運衛聖功臣)’이다.【2등은 ‘좌운’ 2자를 줄이고, 3등은 ‘동덕찬모좌운’ 6자를 줄였다.】1등이 10인, 2등이 17인, 3등이 53인이다. 최흥원(崔興源)·정탁(鄭琢)...
-
한성우윤 유자신이 사신을 보낼 수 없다는 것으로 의논드리다.
한성우윤 유자신(柳自新)이 의논드렸다.
“저 적은 우리나라에게는 천지에 사무치는 원수이므로 와신상담의 애통함을 잠시도 잊을 수 없습니다마는, 양책사(楊冊使)가 적중에 오래 머물러 있으면서 반드시 우리 배신과 함께 가려 하여 설관(舌官)을 위임하여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