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연에서 북쪽 선우와 시장을 합설하는 문제를 의논하다.
왕이 경연에 납시어 ≪강목(綱目)≫을 강했는데, 명제기(明帝紀)에 ‘왕낙산(王雒山)에서 보정(寶鼎)이 나왔다.’ 라는 대문에 이르자, 시강관 이수공(李守恭)이 아뢰기를, …… 또 강하여 ‘북쪽 선우(單于)가 시장 합설을 요구하니 허락하다.’ 라는 대문에 이...
-
헌납 손중돈 등이 북방 지역의 인구 문제 등에 대해 논하다.
왕이 경연에 납시니, 헌납 손중돈(孫仲暾), 시강관 장순손(張順孫), 지평 손번(孫蕃), 검토관 권민수(權敏手)가 함께 도승·선승에 대한 그른 점에 논했다. …… 특진관 성준(成俊)은 아뢰기를, ……
…… 성준은 아뢰기를,
“연대를 설치한 것...
-
홍문관 직제학 홍한 등을 각 요새지로 보내 방어 태세를 살피게 하다.
홍문관 직제학 홍한(洪瀚)을 경상도 부산포로, 응교 장순손(張順孫)을 전라도 마도(馬島)로, 부교리 이과(李顆)를 평안도 추파(楸坡)로, 부수찬 권민수(權敏手)를 영안도 안포(安浦)로 보내어 방어를 살피게 하였다.
-
경차관 권민수가 왜인들을 고문한 차사원을 고발하다.
정원이 아뢰기를,
“왜인의 추고를 맡은 경차관(敬差官) 권민수(權敏手)가 아뢰기를, ‘차사원(差使員)이 왜놈들을 추고할 때에 압슬(壓膝)독서당(讀書堂)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선 젊고 유능한 문신들을 위한 수양 ·연구 시설.과...
-
대사헌 윤금손 등이 왜인 접대 등에 대해 의견을 내다.
조강에 나아갔다. …… 시강관(侍講官) 이자화(李自華)가 아뢰기를,
“왜인 접대는 국가의 큰일이니, 재상들이 모두 이해를 의논하여 옳다고 생각한 다음에는 즉시 시행해야 하는데, 지금 널리 의논하였으나 의논이 각각 다르고 삼정승의 의논도 한결같지 못하...
-
병조가 창원의 일곱 왜인과 전에 가둔 왜인들의 자백이 같지 않음을 보고하다.
병조가 아뢰기를,
“경차관(敬差官) 권민수(權敏手)가 추문한 창원(昌原)에 가둔 일곱 왜인과 전에 가두었던 왜인들의 공초가 같지 아니한데, 그 중 여섯 사람은 대마도에 살고 그 중 하나는 부산포에 살아 삼포의 반란에 간여하지 아...
-
직제학 권민수가 왜인을 추문하는 경차관으로 갔다 와서 보고하다.
직제학 권민수(權敏手)가 왜인을 추문하는 경차관(敬差官)으로 갔다가 돌아와서 복명하여 아뢰기를,
“신이 추문한 왜인들을 가을까지 기다렸다가 형을 집행한다는 병조의 관자를 신이 그 도에 있으면서 보았습니다. 왜인들은 성질이 본래 조급하여, 의령현(宜寧...
-
부제학 권민수 등이 나라를 다스리는 임금의 도리를 열거하며 상소하다.
부제학 권민수(權敏手) 등이 상소하였는데, 그 대략에,
“신 등이 듣건대, 천하의 걱정은 일이 없는 데 있고 일이 있는 것은 걱정되지 않는다 하였습니다. 대개 인정이란 수고로우면 생각하고 안일하면 나태해지기 때문에, 일이 있으면 부지런하고 조심하여 ...
-
부제학 권민수 등이 변방을 방비하고 오랑캐를 대우하는 방책에 대해 상소하다.
부제학 권민수 등이 상소하였는데, 그 대략에,
“자사(子思)가 말하기를, ‘모든 일을 예정하면 성립되고 예정하지 않으면 폐기된다.’ 하였습니다. 천하의 사변이 무궁한데, 우리가 그 무궁함에 대비하는 것은 예정에 있기 때문에, 나타나기 전에 익히 헤아...
-
일본국왕이 붕중을 시켜 화친을 청하게 하다.
일본국왕이 대마도주에게 신칙하여 경오년 반란 때의 왜적(倭賊)을 베어, 붕중(弸中)을 시켜 머리를 함에 담아 와서 바치고 화친을 청하게 하였다. 처음에 홍문관(弘文館)이 상소하기를,
“웅천(熊川) 제포(薺浦)의 치욕을 아직 통쾌하게 씻지 못하였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