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호군 윤인보가 대마도에 은전을 베풀고 일본국왕에게 회례하자고 상서하였다.
상호군(上護軍) 윤인보(尹仁甫)가 글을 올리기를,
“신(臣)이 사신이 되어 일찍이 대마도(對馬島)에 이르니 추장(酋長) 종정성(宗貞盛)과 그 관할 구역의 백성들이 모두 말하기를, ‘의식은 오로지 임금의 은덕을 입게 되었으니, 몸은 일본 땅에 있지마는...
-
일본국 정사 정우가 복종을 많이 데리고 서울로 수운하는 것을 말리도록 하다.
선위사(宣慰使) 강맹경(姜孟卿)이 치계하기를,
“일본국 정사(正使) 정우(正祐) 등이 복종(僕從)을 많이 거느리고 서울에 가려하고, 장삿배에 실은 물건도 모두 서울로 수운하고자 하므로, 신이 반복하여 타이르기를, ‘20인으로 정하고 단목(丹木)·동(...
-
일본국 사신 정우 등이 오다.
일본국 사신 중 정우(正祐) 등이 왔음을 선위사 강맹경(姜孟卿)이 복명(復命)하였다.
-
감호관과 일본국 사신 정우의 사사로운 행동을 논책하다.
향통사(鄕通事) 김귀선(金貴善)이 일본국 사신 정우(正祐)를 따라와서 왜인과 서로 친압하였는데, 감호관(監護官) 원상부(元尙孚)․이계수(李桂遂) 등이 그 죄를 다스리고자 하여 결박하여 뜰 가운데로 끌고 왔으므로, 정우 등이 분이 나서 먼저 종자로 하여금 감...
-
일본국 사신 정우의 진향을 받을 것인가 여부를 논란하다.
세자가 계조당에서 조참을 받으니, 일본국 사신 중 정우 등이 반열에 따랐다. 당 안에서 인견하고 임금의 뜻을 선유하여 위로하고, 조계청(朝啓廳)에 사연(賜宴)하였다. 이날 이른 아침에 정우(正祐) 등이 먼저 근정전 뜰에 나아가 국서(國書)를 드리고, 예를 ...
-
일본 국사 정우 등이 휘덕전에서 진향하다.
일본국사 정우(正祐) 등이 휘덕전(輝德殿)에 진향하였는데, 찬품(饌品)이 속절(俗節)의 별제(別祭)와 같았다. 봉상시(奉常寺)가 사신이 드리는 찬물(饌物)을 공진(供進)하여 전영(前楹) 밖의 안상(案上)에 놓았다.
-
맹경으로 하여금 일본 사신 정우에게 국가의 뜻을 전하게 하다.
의정부와 예조가 함께 의논하여 아뢰기를,
“피상의(皮尙宜)가 말하기를, ‘종정성(宗貞盛)이 보여 준 일본국왕의 교서 가운데에는 사신의 배가 한 척이라.’ 하는데, 이번에 온 배는 세 척이니, 그 두 척은 일본에서 보낸 것이 아님...
-
일본국 사신 정우 등이 돌아가면서 국왕에게 회답하는 글을 보내다.
일본국(日本國) 사신 정우(正祐) 등이 돌아감에 있어 국왕에게 회답하는 글에 말하기를,
“조선국왕(朝鮮國王)은 일본국왕(日本國王) 전하에게 받들어 회답한다. 이번에 글을 보내고 다음으로 물건을 주었으니 참으로 위로되고 만족한다. 사자가 또 후한 뜻으...
-
구주의 사자를 조말생과 허조에게 접대하게 하다.
조말생과 허조에게 명하여, 일본국 구주에서 사자로 보내 온 정우(正祐) 등 네 사람을 제군(諸君)의 처소에서 대접하게 하고, 따라온 사람들은 배가 머물러 있는 곳으로 보내라고 이르고, 우리 나라에서 대마도를 토벌할 뜻을 말하되, 너무 놀라게 하지는 말라고 ...
-
구주절도사의 사신으로 온 중 정우가 머물러 있고자 하다.
일본국 구주절도사가 사신으로 보내온 중 정우(正祐)가 의를 사모하여 머물러 있고자 하므로, 임금이 이를 허락하여, 그가 원하는 대로 좇고 후히 대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