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분 등이 성보 기지의 시찰을 위해 최윤덕을 충청도에 파견하는 것이 부당하다고 아뢰다.
집의 정분(鄭苯) 등이 상소하기를,
“나라를 보전하는 도는 의당 안위를 생각함에 있고, 백성을 부리는 도는 반드시 풍흉을 살핌에 있사온데, 이는 만대를 통하여 언제나 변함없는 법칙입니다. 전하께옵서 연변의 성곽이 갖추어지지 않음을 깊이 우려 하시와,...
-
이예 ․ 김구경의 추핵 문제를 논의하다.
임금이 우승지 정분(鄭蓬)에게 명하여 영의정 황희 등에게 의논하게 하기를,
“이제 이예(李藝)·김구경(金久冏)을 가두어 두고 추핵하고 있으나, 일이 사전(赦前)에 있었는지라 그만두고 추핵하지 아니함이 어떻겠는가.”
하니, 황희 등이 아뢰기를,...
-
잡아온 왜인들을 근경의 양주부에 두게하다.
의금부제조(義禁府提調) 이숙치(李叔畤)․김종서(金宗瑞)․한확(韓確)․정분(鄭苯) 등이 아뢰기를,
“이제 왜인의 공초한 것으로 보면, 본디 다른 지경에서 노략질하려던 것이 바람에 밀려 온 것이요, 실로 우리나라를 침략하려고 온 것은 아닙니다.” ...
-
강권선과 금구랑을 일기주에 사신으로 보내고 등구랑으로 하여금 소오예 등을 만나보게 하다.
조서강(趙瑞康)․이승손(李承孫)이 아뢰기를,
“이제 등금구랑(藤金九郞)의 말에 의해서 장차 초무관(招撫官) 강권선(康勸善)을 보내어 등구랑(藤九郞)과 함께 일기도(一岐島)에 가서 적왜(賊倭)를 체포하고, 또 포로 되어 간 인물을 수색하게 하려고 하는...
-
북경에 주문사 공조참판 정분을 보내어 왜구의 침략행위에 대해 알리다.
주문사(奏聞使) 공조참판 정분(鄭苯)을 보내어 북경에 갔다. 그 주본에 말하기를,
“공경히 배신 이주판관(義州判官) 홍유강(洪有江)이, 요동천호(遼東千戶) 혁연(赫連)이 받들고 온 칙유(勅諭)를 전해 받아 가지고 온 것을 받잡고, 신이 감격함을 이기...
-
주문사 공조참판 정분이 가지고 온 칙서에서 표류한 사람이 본국사람이라는 것을 알리고 돌려보내다.
주문사(奏聞使) 공조참판 정분(鄭苯) 이 칙서를 싸 가지고 북경으로 부터 돌아오니, 왕세자(王世子)가 백관을 거느리고 모화관(慕華館)에 나가 맞이하였다. 그 칙서에 이르기를,
“왕의 아룀을 얻으니, 명령에 의하여 ‘변장으로 하여금 순수(巡守)를 엄하...
-
우의정 신개 등이 최완이 왜인을 살해한 것 등을 아뢰다.
우의정 신개(申槩)․좌찬성 하연(河演)․우찬성 황보인(皇甫仁)․좌참찬 권제(權踶)․우참찬 이숙치(李叔畤)․이조판서 박안신(朴安臣)․예조판서 김종서(金宗瑞)․병조판서 한확(韓確)․공조판서 최부(崔府)․형조판서 안숭선(安崇善)․이조참판 민신(閔伸). 예조참판 ...
-
상호군 윤인보가 대마도에 은전을 베풀고 일본국왕에게 회례하자고 상서하였다.
상호군(上護軍) 윤인보(尹仁甫)가 글을 올리기를,
“신(臣)이 사신이 되어 일찍이 대마도(對馬島)에 이르니 추장(酋長) 종정성(宗貞盛)과 그 관할 구역의 백성들이 모두 말하기를, ‘의식은 오로지 임금의 은덕을 입게 되었으니, 몸은 일본 땅에 있지마는...
-
상이 하연에게 온천을 찾고, 수차를 사용할 것을 이르다.
의정부와 육조가 문안을 드리었다. 우의정 하연(河演)․좌찬성 황보인(皇甫仁)․우찬성 김종서(金宗瑞)․좌참찬(左參贊) 정분(鄭苯) 이 아뢰기를,
…… 임금이 그대로 따르기로 하고, 인하여 연(演) 등에게 이르기를,
“태종(太宗)께서 평강(平康)...
-
예조에서 중국인 관음보를 돌려 보내는 문제로 의논하다.
예조에서 아뢰기를,
“종금(宗金)이 데리고 온 중국인 관음보(觀音保)가 말하기를, ‘본디 금산위(金山衛)에 살았었는데 14세 때에 사로잡히어 화가도(花加島)에 이르러 머물러 있는 지가 30여 년이 되옵는데, 고향이 그리워서 종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