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주희2019한일관계사연구Fujiwara Huhito was the son of Japan's most powerful man, Kamatari Nakatomi. There, he received a higher education and grew up to be the best int…
-
정성일2016한일관계사연구조선 정부는 공무역(公貿易)에서 일본이 가져온 물품에 대하여 15세기 초부터 면포 즉 공목(公木)으로 결제해 주기 시작했다. 17세기 중엽~19세기 중엽에는 공목의 일부를 쌀로 바꾸어 지급했는데 그것을 공작미(公作米)라 불렀다. 왜관을 통해 대마도로 건너간 조선의 공목과 공작미는 일본 대마도 경제의 기초를 이루었다. 이 글에서는 1860년대 공목과 공작미 문제를 분석하였다. 1862년에는 조선의 공무…
-
한문종2015한일관계사연구조선에서는 건국 직후부터 해양의 방어 및 외교적인 교섭, 왜구 회유책 등 다양한 왜구대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선에 투항하는 向化倭人은 급증하였고 왜구의 침입은 감소하였다. 皮尙宜의 아버지 皮沙古는 태조대에 向化하여 受職倭人이 되었다. 피상의는 태종 말에 侍衛하기 시작하였다. 조선에서는 향화왜인에게 정치?경제?사회적인 우대책을 실시하였는데, 피상의는 향화왜인 우대책에 의해서 과거가 아닌 取才나 遞…
-
李泰勳2014한일관계사연구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소재 熊川陶窯址는 15세기 후반~16세기에 주로 粉?沙器를 생산하였던 登窯관련 遺構이다. 같은 시기에 조선 정부가 일본인 도항처로 지정했던 齊浦(乃而浦)에 근접한 곳으로 당시의 朝日 교류를 이해하는데 상당히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한편 당시 일본에서 조선 통교를 가장 활발히 하였던 곳이 對馬島였는데, 특히 대마도 중앙부의 淺茅灣(아소만)서남쪽 부근에는 왜구의 두목 早田…
-
유채연2012한일관계사연구본 논문은 통신사행에 참여한 사행원들 가운데 사절의 책임자로서 사행을 이끄는 三使에 주목하고, 삼사의 선발을 통해 조선후기 대일정책의 일환으로서 통신사가 능동적으로 파견된 외교사절임을 밝히고자 한다. 삼사는 통신사와 동격으로 간주될 만큼 사절의 책임자로서 막중한 임무를 맡고 있었다. 그래서 사행 준비에서도 가장 먼저 선발되었으며, 사행을 준비하는 모든 과정에 참여하여 대일외교의 분위기를 익혔다.…
-
鄭孝雲2010일어일문학
-
한문종2009한일관계사연구조선초기부터 다양한 왜구대책을 실시한 결과 태종 9년을 전후하여 왜구의 침입은 감소한 반면 통교왜인은 증가하였다. 조선에서는 통교자의 증가에 따른 치안?경제상의 부담과 왜구문제에 대한 자신감, 일본의 국내 정세에 대한 지식의 확대 등을 배경으로 조선에서는 서계?도서?문인 등의 왜인통제책을 실시하였다. 이와 더불어서 통교왜인이 포소에 도착한 이후부터 일본으로 돌아갈 때까지의 왜인접대에 관한 규정을 정비…
-
方琪喆2008한일관계사연구이 글은 조선 중기 사상계를 대표했던 인물인 栗谷 李珥의 대일인식을 조선과 쓰시마 섬(對馬島)간의 통상에 관한 입장, 대일국방강화론 등을 통해 구명한 것이다. 당시 조선은 일본인의 거듭된 소요사태에도 불구하고 쓰시마와의 통상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율곡은 반대의 뜻을 분명히 하였다. 그 이유는 당시 조선 정부와 백성들이 공식적으로는 쓰시마와의 무역을 통해, 비공식적으로는 왜구의 침입…
-
장순순2008한일관계사연구본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통신사에 참여하였던 三使에는 어떤 인물들이 파견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1682년 통신사 정사 윤지완을 통하여 조선후기 통신사에 삼사로 참여했던 대일경험이 사행 이후 조선의 대일교섭에 있어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신사행에 참가한 삼사 35명을 분석한 결과 그들은 모두 문과급 제자들이며, 대부분 통신사행에 참가하기 전 이미 …
-
池內敏2007한일관계사연구본 연구는 朝鮮의 通信使가 일본에 가서 준 禮單을 통해 朝日外交의 성격과 그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예단이란 다른 나라와 외교를 펼칠 때 의례적으로 교환하는 외교적 선물 즉 예물을 말하는데, 예단을 주고받는 것은 근대 이전 외교의 관행이었다. 예단의 규모는 朝鮮前期에는 변동 폭이 커서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지 못했다. 그러나 17세기 이후인 朝鮮後期에 들어오면 예단 규모가 一定線을 유지하고 있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