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정빈2021역사와 교육현행 역사교과서의 한국사 체계를 검토하고 그 계보를 추적하였다. 특히 고대사 체계에 주목하였다. 현행 역사교과서는 「고대사-중세사-근대사-현대 사」의 시대구분 속에서 「고조선-여러 나라-삼국-남북국」의 고대사 체계를 공 유하고 있다. 이 중에서 고조선과 여러 나라는 선후 계통으로 설명된다. 청동 기시대 고조선을 철기시대의 여러 나라가 계승하였다고 하였다. 청동기시대 여러 나라의 국가형성과 다양한 경로…
-
정동준2019중국고중세사연구
-
오명원2016집단정체성은 공동체의 특성이다. 인간은 사회화를 통해 문화나 사회적 규범을 습득 또는 학습함으로써 공동체의 집단 기억을 공유한다. 공유된 집단 기억은 공동체의 고유한 집단정체성을 형성하는 기제로 작용한다. 집단정체성은 주로 교육과 미디어의 영향으로 형성된다. …
-
장채옥2015한국 사회도 다문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단일 민족’에 대한 인식 변화가 불가피하게 되고, 다문화가정 자녀의 증가로 인하여 다문화 시대에 알맞은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요청되고 있다. 사회과는 민주시민의 자질을 갖추도록 하는 교과라는 점에서 다문화교육의 목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우리와는 생활환경과 문화가 다른 사람들의 삶이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문화주의적인 역사교육이 도움을 줄 수 있다.…
-
허미애2015This article discuss about specificity of Japanese imperialism’s censor system for an history textbook and Korean history education in the first …
-
김인현2015日本語敎育The Japanese government should urge that controversies of historical awareness, in their history textbooks, such as territorial sovereignty over …
-
이규수2013韓國史學史學報이 글에서는 일본의 근대 학제의 성립과 역사 지식의 제도화 과정을 개괄하고, 그 의의와 특성을 일본의 국민국가 형성과정과 관련하여 고찰했다. 본문에서는 일본 교육이념의 변천과정을 ‘학제’와 이를 개정한 ‘교육령’을 중심으로 개관하고, 소위 ‘교육개정령’ 공포 이후의 역사교육의 의의와 실체를 당시의 역사교과서를 살펴봄으로써 근대 일본의 역사인식이 어떤 방식으로 제도화되었는지 검토했다. 이것은 메이지 신…
-
이화준2012한일관계는 양국간의 우호관계와 지속적인 협력 증진에도 불구하고 불신과 반감이 존재하며, 양국관계의 역사문제에 의해 불신과 반감이 조장된다. 이는 양국관계의 변동과 기복으로 연결된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에 걸쳐 나타난 본 논문은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달리 한일관계에서의 역사문제의 패턴을 행위자라는 함수를 놓고 분석하여 현재의 한일 양국관계의 역사문제가 어떻게 진행되며 지속성을 갖는지에 대한…
-
신주백2011한일관계사연구이 글은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에서 동아시아의 역사에 관해 어떻게 기술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연계성의 측면에서 『동아시아사』교과서와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사』교과서에서 동아시아의 역사는 한국사를 이해하기 위한 간접적인 ‘배경’에 머무르고 있어 한국근현대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 않다. 동아시아라는 공간 범주도 한중일 삼국 곧, 동북아를 동아시아로 기술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
-
최영호2011한일관계사연구본 논문은 2011년 검정을 통과한 일본의 중학교 역사교과서 7종 내용을 현행본과 비교하여 살펴보고 전반적인 변화를 포착하고 있다. 근대사 부분에서도 한일관계 관련한 서술 내용을 분석한다. 최근 일본사회의 변화 과정을 어떻게 설명해 낼 수 있을까 하는 문제의식에 대답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일본의 역사교과서 서술 내용이라고 하는 하나의 거울을 통해 일본사회 변화 양상을 논하고 있다. 일본의 역사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