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金若鍊, 1836, 斗庵集
    조선 시대 두암(斗庵) 김약련(金若鍊, 1730~1802)의 문집이다. 본집은 손자 낙재(樂在)가 수집ㆍ편차하여 황용한(黃龍漢)ㆍ유치명(柳致明) 등의 교감을 거쳐 사림의 협조(協助)를 받아 1836년 영주(榮州) 두암본가(斗庵本家)에서 활자로 인행한 초간본(初刊本)이다. 본집은 원집 10권, 부록 합 5책으로 구성되어 …

  • 金養根, 1845, 東埜集
    조선 시대 동야(東埜) 김양근(金養根, 1734~1799)의 문집이다. 저자의 손자 도균(度均)과 하균(夏均)에 의해 정리 편차한 뒤 1841년에 김이양(金履陽)에게 서문을 받고, 1845년에는 홍직필(洪直弼)에게 서문을 받고 강태중(姜泰重)의 교정과 발문을 받아 활자로 인행되었다. 본집은 14권 6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 金如萬, 1905, 秋潭集
    조선 시대 추담(秋潭) 김여만(金如萬, 1625~1711)의 문집이다. 본집은 7대손 윤재(潤在)ㆍ영재(泳在) 등이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유도헌(柳道獻)의 교감을 거쳐 1905년 목판으로 간행한 초간본이다. 본집은 원집 5권, 부록 합 2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에 1905년에 유도헌(柳道獻)이 쓴 서(序)가…

  • 金緣, 1783, 雲巖逸稿
    조선 시대 운암(雲巖) 김연(金緣, 1487~1544)의 문집이다. 본집은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8세손 김영(金瑩)이 채제공(蔡濟恭)에게서 서문을, 정범조(丁範祖)에게서 발문을 받고, 연보와 관계 기록을 수집 편차하여 1783년경에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본집은 연보, 원집 2권 합 1책으로 되어 있다. 권1은 시(詩)와 …

  • 金永壽, 1916, 荷亭集
    Korean Empire
    한국문집총간 제322집

  • 金永爵, 1891, 卲亭稿
    조선 시대 소정(卲亭) 김영작(金永爵, 1802~1868)의 문집이다. 저자의 유문으로 시고(詩稿) 2권 1책, 문고(文稿) 4권 2책으로 이루어진 전사자(全史字) 인본(印本)이 전하고 있는데, 간행과 관련된 서발문 등의 기록이 없어 명확한 편간 경위를 알 수는 없다. 다만 시고의 표제지에 간기(刊記)가 있어 저자의 아…

  • 金榮祖, 간행년도 미상, 忘窩集
    조선 시대 망와(忘窩) 김영조(金榮祖, 1577~1648)의 문집이다. 본집은 저자의 5대손 김행원(金行源)과 종손 김택원(金宅源)이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1775년 외5대손 이세택(李世澤)의 교감을 거친 후, 19세기 중반에 목판으로 간행된 초간본의 추각후쇄본이다. 본집은 목록, 원집 5권, 부록 합 4책…

  • 金令行, 1747, 弼雲稿
    조선 시대 필운옹(弼雲翁) 김영행(金令行, 1673~1745)의 문집이다. 본집은 장남 이건(履健)이 1747년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한 정사본(淨寫本)으로서, 저자의 아우 정행(正行)의 《송창유고(松牕遺稿)》가 부집되어 있다. 본집은 시고(詩稿) 4책, 문고(詩稿) 5책 합 9책으로 되어 있다. 책1~4는 시고…

  • 金涌, 1694, 雲川集
    한국문집총간 제63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현손(玄孫) 창석(昌錫)이 1694년에 수집, 편차한 정고본(定稿本)을 바탕으로 하여, 1720년경 간행된 초간본(初刊本)으로, 원집5권 연보 부록 합4책(262판)의 목판본이다. 권5에는 학봉선생언행록(鶴峯先生言行錄)이 실려 있다.

  • 金宇宏, 1772, 開巖集
    조선 시대 개암(開巖) 김우굉(金宇宏, 1524~1590)의 문집이다. 본집은 6대손 경렴(景濂)이 1729년 산일(散佚)되고 남은 시문(詩文)을 수집ㆍ편차하여 눌은(訥隱) 이광정(李光庭)의 정정(訂正)을 받은 후, 행장(行狀)과 복향문(復享文), 연보(年譜) 등 부록(附錄)을 증보하여 1772년경에 목판(木板)으로 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