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숙종숙종 원년(1096) 병자년숙종 원년(1096) 병자년원년 봄 정월 무술일. 동여진(東女眞) 동여진 여진족은 시기에 따라 숙신(肅愼) 또는 말갈(靺鞨) 등으로 불린 퉁구스계의 종족으로, 크게 만주의 길림성 동북지방에 산거하는 생여진(生女眞)과 그 서남에 산거하는 숙여진(熟女眞)의 두 갈래로 나뉘어져 전자는…#동여진 #아부한 #고란곤 #두문 #공부상서 #삼사사 #유석 #서북면병마사 #상서좌승 #최저 #동북면병마사 #어사대 #황유현 #응양군 #호부상서 #최적 #신호위 #형부상서 #왕유열 #금오위 #오맹 #전중감 #대원절 #사은사 #고주사 #우원령 #요나라 #태주관내 관찰사 #유직 #조서 #별록 #관복 #은 그릇 #비단필 #활과 화살 #안장 갖춘 말 #흥성궁 #선종 #연등회 #봉은사 #서여진 #아라화 #하부환 #지례사 #고민익 #동경 #건덕전 #복시 #김보신 #선정전 #중서성 #홍범오행전 #경방 #역전 #상서형부 #현릉 #경릉 #회경전 #초제 #금강경도량 #요 #동경지례사 #예빈부사 #고양정 #경종 #신주 #영릉 #부제 #경성왕후 #질릉 #덕종 #묘실 #진명도부서사 #이순혜 #영손 #연덕궁주 #동지 #시중 #소태보 #복야 #황중보 #지추밀원사 #황영 #지주사 #최홍사 #직문하성 #이오 #우승선 #급사중 #유신 #문덕전 #장령전 #어서방 #비서각 #재신 #고원 #사한 #내시 #문신 #문종 #기신도량 #흥왕사 #소재도량 #동합 #동락정 #의복 #비단 #솜 #차 #와돌 #을고 #마요 #중광전 #황종각 #교서 #뇌서 #개숙 #우복야 #참지정사 #박인량 #인예태후 #국청사 #진전 #송나라 #승려 #혜진 #한림원 #성총 #명오삼중대사 #인왕경 #반야경 #도량 #홍보 #오연총 #천안절 #팔관회 #법왕사 #소충 #백가신 #이유신
-
숙종숙종 원년(1096) 병자년숙종 원년(1096) 병자년元年 春正月 戊戌 東女眞阿夫漢․高闌昆․豆門等一百七十九人來, 獻土物. 己酉 以工部尙書三司使庾晳爲西北面兵馬使, 尙書左丞崔翥爲東北面兵馬使. 甲寅 敎 敎 『고려사절요』에는 ‘詔’로 되어 있다.曰, “朕仰法先王, 欲行儉德, 減省飮食, 不縱嗜欲. 近聞內外時俗, 好行奢侈,…#동여진 #아부한 #고란곤 #두문 #공부상서 #삼사사 #유석 #서북면병마사 #상서좌승 #최저 #동북면병마사 #어사대 #황유현 #응양군 #호부상서 #최적 #신호위 #형부상서 #왕유열 #금오위 #오맹 #전중감 #대원절 #사은사 #고주사 #우원령 #요나라 #태주관내 관찰사 #유직 #조서 #별록 #관복 #은 그릇 #비단필 #활과 화살 #안장 갖춘 말 #흥성궁 #선종 #연등회 #봉은사 #서여진 #아라화 #하부환 #지례사 #고민익 #동경 #건덕전 #복시 #김보신 #선정전 #중서성 #홍범오행전 #경방 #역전 #상서형부 #현릉 #경릉 #회경전 #초제 #금강경도량 #요 #동경지례사 #예빈부사 #고양정 #경종 #신주 #영릉 #부제 #경성왕후 #질릉 #덕종 #묘실 #진명도부서사 #이순혜 #영손 #연덕궁주 #동지 #시중 #소태보 #복야 #황중보 #지추밀원사 #황영 #지주사 #최홍사 #직문하성 #이오 #우승선 #급사중 #유신 #문덕전 #장령전 #어서방 #비서각 #재신 #고원 #사한 #내시 #문신 #문종 #기신도량 #흥왕사 #소재도량 #동합 #동락정 #의복 #비단 #솜 #차 #와돌 #을고 #마요 #중광전 #황종각 #교서 #뇌서 #개숙 #우복야 #참지정사 #박인량 #인예태후 #국청사 #진전 #송나라 #승려 #혜진 #한림원 #성총 #명오삼중대사 #인왕경 #반야경 #도량 #홍보 #오연총 #천안절 #팔관회 #법왕사 #소충 #백가신 #이유신
-
老人賜設儀하루 전날 상사국(尙舍局)에서는 국왕이 머물 악차(幄次)를 의봉문(儀鳳門) 안에 설치하고 또 합문청(閤門廳) 위에도 악차를 설치한다. 여든 살 이상인 재추들과 문무 3품 관리들 및 명부(命婦) 명부 국가에서 작위를 받은 부인들을 말한다. 왕궁과 세자궁에 달린 …
-
仲冬八關會儀소회(小會) 행사에 앞서 도교서(都校署)에서는 3단으로 된 부계(浮階)를 의봉문(儀鳳門)의 동쪽 궁전 계단 아래에 설치한다. 상사국(尙舍局)에서는 그 속료들을 데리고 악차(幄次)를 궁전 위 중앙에 남향으로 설치하고 평상시의 격식대로 어좌를 준비하며 편차…#도교서 #의봉문 #상사국 #상의국 #다방 #추밀 #협률랑 #내고사 #대준 #대뢰 #예부 #합문 #공 #후 #백 #재신 #좌추밀 #좌봉례 #찬자 #합문부사 #통사사인 #대관전 #노부 #의장대 #구정 #인가관 #천우위 #상장군 #대장군 #비신장군 #자황포 #선인전 #금위군 #승제 #근시관 #황문시랑 #교방 #의봉루 #집례관 #악전 #내시 #어주 #수정장 #월부장 #은알작자 #부절 #정 #견룡 #정편승지 #장선승지 #중금반 #반룡선 #공작선 #견룡관 #남헌 #중금 #휘 #태사국 #합문원 #팔관회 #좌집례관 #전중감 #악관 #사재경 #우집례 #좌집례 #시신 #급사중승 #지제고 #대제 #동락정 #삼경유수 #소경 #지합문사 #부사 #전중성 #육상국 #후전관 #양부 #도지반 #백갑장 #태악령 #아악 #합관 #시봉군인 #참상 #집례 #소회 #강수 #도강 #인덕문 #의창문 #양부악관 #근장군인 #인리 #교방악관 #상식국 #대부 #좌동락정 #태정문 #사선악부 #위봉루 #서경 #신봉루 #대회 #동경 #4도호 #8목 #동번 #서번 #탐라국 #초회 #팔관대회 #사천대
-
老人賜設儀前一日, 尙舍局設王幄於儀鳳門內, 又設王幄於閤門廳上. 設年八十以上宰臣․樞密․文武三品官及命婦坐於閤門廳. 守宮署設文武四品官以下坐於左同樂亭, 孝子․順孫有官品者, 預坐. 設命婦坐於右同樂亭. 設孝子․順孫無官品者坐於同樂亭左右廊廡. 其日質明, 奏初嚴, 諸仗衛, 入陳於殿庭, …
-
仲冬八關會儀小會 前期, 都校署設三級浮階於儀鳳門東殿階下. 尙舍局率其屬, 設幄於殿上, 當中南向, 鋪王座, 如常儀, 設便次於幄東. 尙衣局設花案於王座前楹間 間 『고려사』 모든 판본의 원문이 ‘한(閒)’자이나 ‘간(間)자로 하였다…#도교서 #의봉문 #상사국 #상의국 #다방 #추밀 #협률랑 #내고사 #대준 #대뢰 #예부 #합문 #공 #후 #백 #재신 #좌추밀 #좌봉례 #찬자 #합문부사 #통사사인 #대관전 #노부 #의장대 #구정 #인가관 #천우위 #상장군 #대장군 #비신장군 #자황포 #선인전 #금위군 #승제 #근시관 #황문시랑 #교방 #의봉루 #집례관 #악전 #내시 #어주 #수정장 #월부장 #은알작자 #부절 #정 #견룡 #정편승지 #장선승지 #중금반 #반룡선 #공작선 #견룡관 #남헌 #중금 #휘 #태사국 #합문원 #팔관회 #좌집례관 #전중감 #악관 #사재경 #우집례 #좌집례 #시신 #급사중승 #지제고 #대제 #동락정 #삼경유수 #소경 #지합문사 #부사 #전중성 #육상국 #후전관 #양부 #도지반 #백갑장 #태악령 #아악 #합관 #시봉군인 #참상 #집례 #소회 #강수 #도강 #인덕문 #의창문 #양부악관 #근장군인 #인리 #교방악관 #상식국 #대부 #좌동락정 #태정문 #사선악부 #위봉루 #서경 #신봉루 #대회 #동경 #4도호 #8목 #동번 #서번 #탐라국 #초회 #팔관대회 #사천대
-
숙종 원년(1096) 병자년원년 봄 정월 무술일. 동여진(東女眞) 동여진 여진족은 시기에 따라 숙신(肅愼) 또는 말갈(靺鞨) 등으로 불린 퉁구스계의 종족으로, 크게 만주의 길림성 동북지방에 산거하는 생여진(生女眞)과 그 서남에 산거하는 숙여진(熟女眞)의 두 갈래로 나뉘어져 전자는…
-
숙종 원년(1096) 병자년元年 春正月 戊戌 東女眞阿夫漢․高闌昆․豆門等一百七十九人來, 獻土物. 己酉 以工部尙書三司使庾晳爲西北面兵馬使, 尙書左丞崔翥爲東北面兵馬使. 甲寅 敎 敎 『고려사절요』에는 ‘詔’로 되어 있다.曰, “朕仰法先王, 欲行儉德, 減省飮食, 不縱嗜欲. 近聞內外時俗, 好行奢侈,…
-
老人賜設儀하루 전날 상사국(尙舍局)에서는 국왕이 머물 악차(幄次)를 의봉문(儀鳳門) 안에 설치하고 또 합문청(閤門廳) 위에도 악차를 설치한다. 여든 살 이상인 재추들과 문무 3품 관리들 및 명부(命婦) 명부 국가에서 작위를 받은 부인들을 말한다. 왕궁과 세자궁에 달린 …
-
仲冬八關會儀소회(小會) 행사에 앞서 도교서(都校署)에서는 3단으로 된 부계(浮階)를 의봉문(儀鳳門)의 동쪽 궁전 계단 아래에 설치한다. 상사국(尙舍局)에서는 그 속료들을 데리고 악차(幄次)를 궁전 위 중앙에 남향으로 설치하고 평상시의 격식대로 어좌를 준비하며 편차…
-
老人賜設儀前一日, 尙舍局設王幄於儀鳳門內, 又設王幄於閤門廳上. 設年八十以上宰臣․樞密․文武三品官及命婦坐於閤門廳. 守宮署設文武四品官以下坐於左同樂亭, 孝子․順孫有官品者, 預坐. 設命婦坐於右同樂亭. 設孝子․順孫無官品者坐於同樂亭左右廊廡. 其日質明, 奏初嚴, 諸仗衛, 入陳於殿庭, …
-
仲冬八關會儀小會 前期, 都校署設三級浮階於儀鳳門東殿階下. 尙舍局率其屬, 設幄於殿上, 當中南向, 鋪王座, 如常儀, 設便次於幄東. 尙衣局設花案於王座前楹間 間 『고려사』 모든 판본의 원문이 ‘한(閒)’자이나 ‘간(間)자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