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조 원년(918) 무인년
원년 여름 6월
병진일. 태조가 포정전(布政殿) 포정전 철원(鐵圓)(지금의 강원도 철원군)에 있던 전각의 이름이다.에서 즉위하여 국호를 고려(高麗) 고려 고구려를 부흥하고 계승한다는 의미를 뚜렷이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 국호이다. 궁예도 효공왕 5년(90…
-
태조 26년(943) 계묘년
26년 여름 4월
○ 왕이 내전(內殿)으로 나가 대광(大匡) 박술희(朴述希)를 부른 다음 친히 「훈요(訓要)」 훈요 태조 25년(942)에 왕건 자신이 지어 자손들을 훈계한 「신서훈요10조(信書訓要十條)」를 말한다. 구성은 서론 부분이라 할 수 있는 신…
-
성종 즉위년(981)
8월
계미일. 왕이 위봉루(威鳳樓) 위봉루고려 초기의 정전인 천덕전(天德殿)의 정문이던 위봉문(威鳳門)에 있던 누각이다. 이곳은 국왕이 문무백관들의 조회와 하례를 받기도 하고, 과거급제자의 발표와 팔관회의 행사관람 및 부월(斧鉞)의 수여공간 등으로 활…
-
성종 6년(987) 정해년
봄 3월
갑자일. 대광(大匡) 대광 고려 초기 관료들의 공적의 지위와 신분을 나타내던 관계(官階)의 한 종류로, 1품에서 9품에 이르는 16등위 가운데 2품의 3등위에 해당되며, 성종 14년(995) 향직으로 개편되기 이전까지 사용되었다. 이에 대해서…
-
현종 원년(1010) 경술년
원년 봄 정월
을축일. 상원도량(上元道場) 상원도량 고려시대 정월 대보름인 음력 1월 15일 상원절(上元節)에 베풀던 불교의례이다. 고려 초기에도 계속되다가 성종 6년(987)부터 폐지된 연등회(燃燈會) 가운데 우리나라 재래의 습속과 연결된 정월 15…
-
정종 즉위년(1034) 갑술년
겨울 10월
초하루 정사일. 태묘(太廟) 태묘 조선시대의 종묘(宗廟)와 마찬가지로, 고려시대 역대 국왕들의 신주를 모셔두는 왕실의 사당이다. 고려 성종 때 송나라의 영향을 받아 설치된 이후 고려의 제도로 정착되었으며, 오묘제(五廟制)와 칠묘제가 실시되…
-
정종 2년(1036) 병자년
2년 봄 정월
초하루 경진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을유일. 동번(東蕃)의 회화장군(懷化將軍) 사라(沙羅) 등 83명이 입조해왔다.
갑오일. 도형(徒刑) 이하의 형을 받은 관리들과 장형(杖刑) 이하의 형을 받은 개인 및 벌금을 …
-
정종 5년(1039) 기묘년
5월 봄 정월
신축일. 우신(雨神)을 제사지냈다.
병오일. 공부상서(工部尙書) 원영(元穎) 원영(?~?) 상서좌복야를 지낸 원주 원씨(原州元氏) 원징연[元徵衍․元徵演]의 아들로, 현종 ~정종 때 시병부원외랑(試兵部員外郞)․서경부유수(西京副留守)…
-
정종 7년(1041) 신사년
7년 봄 정월
초하루 경술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병진일. 서여진의 대승(大丞) 고지지(高支智) 등 15명이 와서 말을 바쳤다.
2월
초하루 경진일. 상서공부(尙書工部)에서, 송악산(松岳山)의 동서 기슭에 소나…
-
문종 즉위년(1046) 병술년
5월
기해일. 왕이, “돌아가신 왕께서 쓰시던 용상과 발받침[踏斗 답두 왕의 용상 앞에 놓인 발받침을 말한다. 한편 실내의 고정된 사다리나 도교의례에 있어 독특한 보법(步法) 등의 의미도 있다.]은 모두 금과 은으로 장식하고 또 금실과 은실로 수놓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