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숙종숙종 원년(1096) 병자년숙종 원년(1096) 병자년원년 봄 정월 무술일. 동여진(東女眞) 동여진 여진족은 시기에 따라 숙신(肅愼) 또는 말갈(靺鞨) 등으로 불린 퉁구스계의 종족으로, 크게 만주의 길림성 동북지방에 산거하는 생여진(生女眞)과 그 서남에 산거하는 숙여진(熟女眞)의 두 갈래로 나뉘어져 전자는…#동여진 #아부한 #고란곤 #두문 #공부상서 #삼사사 #유석 #서북면병마사 #상서좌승 #최저 #동북면병마사 #어사대 #황유현 #응양군 #호부상서 #최적 #신호위 #형부상서 #왕유열 #금오위 #오맹 #전중감 #대원절 #사은사 #고주사 #우원령 #요나라 #태주관내 관찰사 #유직 #조서 #별록 #관복 #은 그릇 #비단필 #활과 화살 #안장 갖춘 말 #흥성궁 #선종 #연등회 #봉은사 #서여진 #아라화 #하부환 #지례사 #고민익 #동경 #건덕전 #복시 #김보신 #선정전 #중서성 #홍범오행전 #경방 #역전 #상서형부 #현릉 #경릉 #회경전 #초제 #금강경도량 #요 #동경지례사 #예빈부사 #고양정 #경종 #신주 #영릉 #부제 #경성왕후 #질릉 #덕종 #묘실 #진명도부서사 #이순혜 #영손 #연덕궁주 #동지 #시중 #소태보 #복야 #황중보 #지추밀원사 #황영 #지주사 #최홍사 #직문하성 #이오 #우승선 #급사중 #유신 #문덕전 #장령전 #어서방 #비서각 #재신 #고원 #사한 #내시 #문신 #문종 #기신도량 #흥왕사 #소재도량 #동합 #동락정 #의복 #비단 #솜 #차 #와돌 #을고 #마요 #중광전 #황종각 #교서 #뇌서 #개숙 #우복야 #참지정사 #박인량 #인예태후 #국청사 #진전 #송나라 #승려 #혜진 #한림원 #성총 #명오삼중대사 #인왕경 #반야경 #도량 #홍보 #오연총 #천안절 #팔관회 #법왕사 #소충 #백가신 #이유신
-
명종명종 10년(1180) 경자년명종 10년(1180) 경자년10년 봄 정월 초하루 갑인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정묘일. 연등회 참석차 왕이 봉은사(奉恩寺)로 갔다. 경오일. 금나라가 소부감(少府監) 노공(盧珙)을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을해일. 금나라 사신을 위해 잔치를…#연등회 #봉은사 #금나라 #소부감 #노공 #사신 #영통사 #왕륜사 #외제석원 #이득옥 #급제 #횡선사 #곽희국 #숭교사 #법화회 #궁녀 #명춘 #태후 #중방 #무신 #순주 #내전 #의복 #거마 #영공 #수창궁 #행궁 #구거 #의종 #참지정사 #이소응 #사형수 #감형 #유배 #태조 #정종 #신위 #대안사 #명인전 #소재도량 #참형 #교수형 #석방 #대관전 #장군 #경대승 #보제사 #불정도량 #중수 #낙성식 #강안전 #향복문 #문신 #평장사 #민영모 #영희문 #중희문 #묘통사 #비서소감 #왕도 #낭장 #심진승 #경희궁 #팔관회 #법왕사 #병부낭중 #진사룡 #태백성 #삼사 #숙직관 #부사 #이순 #중서성 #태자태사 #이광정 #태자태부 #최충렬 #중서시랑평장사 #태자소부 #한문준 #태자소보 #문극겸 #태자소사 #최우청 #추밀원사 #태자빈객 #이응초 #지추밀원사 #최세보 #동지추밀원사 #정황재 #호부상서 #두경승 #공부상서
-
숙종숙종 원년(1096) 병자년숙종 원년(1096) 병자년元年 春正月 戊戌 東女眞阿夫漢․高闌昆․豆門等一百七十九人來, 獻土物. 己酉 以工部尙書三司使庾晳爲西北面兵馬使, 尙書左丞崔翥爲東北面兵馬使. 甲寅 敎 敎 『고려사절요』에는 ‘詔’로 되어 있다.曰, “朕仰法先王, 欲行儉德, 減省飮食, 不縱嗜欲. 近聞內外時俗, 好行奢侈,…#동여진 #아부한 #고란곤 #두문 #공부상서 #삼사사 #유석 #서북면병마사 #상서좌승 #최저 #동북면병마사 #어사대 #황유현 #응양군 #호부상서 #최적 #신호위 #형부상서 #왕유열 #금오위 #오맹 #전중감 #대원절 #사은사 #고주사 #우원령 #요나라 #태주관내 관찰사 #유직 #조서 #별록 #관복 #은 그릇 #비단필 #활과 화살 #안장 갖춘 말 #흥성궁 #선종 #연등회 #봉은사 #서여진 #아라화 #하부환 #지례사 #고민익 #동경 #건덕전 #복시 #김보신 #선정전 #중서성 #홍범오행전 #경방 #역전 #상서형부 #현릉 #경릉 #회경전 #초제 #금강경도량 #요 #동경지례사 #예빈부사 #고양정 #경종 #신주 #영릉 #부제 #경성왕후 #질릉 #덕종 #묘실 #진명도부서사 #이순혜 #영손 #연덕궁주 #동지 #시중 #소태보 #복야 #황중보 #지추밀원사 #황영 #지주사 #최홍사 #직문하성 #이오 #우승선 #급사중 #유신 #문덕전 #장령전 #어서방 #비서각 #재신 #고원 #사한 #내시 #문신 #문종 #기신도량 #흥왕사 #소재도량 #동합 #동락정 #의복 #비단 #솜 #차 #와돌 #을고 #마요 #중광전 #황종각 #교서 #뇌서 #개숙 #우복야 #참지정사 #박인량 #인예태후 #국청사 #진전 #송나라 #승려 #혜진 #한림원 #성총 #명오삼중대사 #인왕경 #반야경 #도량 #홍보 #오연총 #천안절 #팔관회 #법왕사 #소충 #백가신 #이유신
-
명종명종 10년(1180) 경자년명종 10년(1180) 경자년十年 春正月 甲寅朔 放朝賀. 丁卯 燃燈, 王如奉恩寺. 庚午 金遣少府監盧珙來, 賀生辰. 乙亥 宴金使. 二月 壬辰 始營宮闕. 壬子 王如靈通寺. 三月 庚午 幸王輪寺. 夏五月 己巳 幸外帝釋院. 六…#연등회 #봉은사 #금나라 #소부감 #노공 #사신 #영통사 #왕륜사 #외제석원 #이득옥 #급제 #횡선사 #곽희국 #숭교사 #법화회 #궁녀 #명춘 #태후 #중방 #무신 #순주 #내전 #의복 #거마 #영공 #수창궁 #행궁 #구거 #의종 #참지정사 #이소응 #사형수 #감형 #유배 #태조 #정종 #신위 #대안사 #명인전 #소재도량 #참형 #교수형 #석방 #대관전 #장군 #경대승 #보제사 #불정도량 #중수 #낙성식 #강안전 #향복문 #문신 #평장사 #민영모 #영희문 #중희문 #묘통사 #비서소감 #왕도 #낭장 #심진승 #경희궁 #팔관회 #법왕사 #병부낭중 #진사룡 #태백성 #삼사 #숙직관 #부사 #이순 #중서성 #태자태사 #이광정 #태자태부 #최충렬 #중서시랑평장사 #태자소부 #한문준 #태자소보 #문극겸 #태자소사 #최우청 #추밀원사 #태자빈객 #이응초 #지추밀원사 #최세보 #동지추밀원사 #정황재 #호부상서 #두경승 #공부상서
-
제신(諸臣)김취려(金就礪) 부 김변(金賆)김취려金就礪 부 김변金賆김변(金賆)은 자가 손지(損之)다. 음보로 동면도감판관(東面都監判官)으로 임명되었다가 과거에 급제 급제 김변은 원종 9년(1268) 4월 지공거 문하시랑 유경(柳璥)과 동지공거 국자좨주(國子祭酒) 김애(金皚)가 주관한 과거에서 윤승관(尹承琯)․강창서(姜昌瑞)․…
-
제신(諸臣)김취려(金就礪) 부 김변(金賆)김취려金就礪 부 김변金賆賆, 字損之. 蔭補東面都監判官, 登第, 累遷禮部郎中. 忠烈以世子入元, 賆從之. 及忠烈尙公主, 襲爵東還, 賆功居多, 賜誓券曰, “爾功之大, 予賞之微. 爾雖有罪, 十犯九宥, 至于子孫, 亦如之.” 官累判秘書寺事, 與同修國史任翊, 撰元世祖事跡. 尋遷承旨, 進副知密直,…
-
王太子節日 受宮官賀 幷會儀행사 하루 전날 해당 관청에서는 왕태자의 자리를 궁전 위 동쪽 벽 아래 정중앙에서 서향으로 마련하고, 신료들의 판위(版位)를 여정궁(麗正宮) 마당에 평상시의 격식과 같이 설치한다. 당일 새벽, 의장과 호위는 궁전 마당에 들어가 정렬하고, 영관(伶官)은 양부(兩…
-
凡試官광종. 처음 쌍기(雙冀)를 지공거(知貢擧) 지공거 고려시대 과거의 본시험인 예부시(禮部試)를 주관하던 책임고시관이다. 중국 당나라․송나라 때 사용되었으며, 고려사회에서는 광종 9년(958) 과거 시행 때부터 사용되다가 독권관(讀卷官)․도고시관(都考試官)․고시관…
-
병지(兵志)병제(兵制)병제兵制1. 2군(二軍) ○ 응양군(鷹揚軍) 응양군 2령으로 편제된 용호군보다 수는 작았지만 응양군은 용호군 보다 상위의 부대로 그 지휘관인 상장군이 2군 6위의 상장군과 대장군이 참여하는 중방(重房)의 의장인 반주(班主)가 되었다. 응양군에는 정3품의 상장군…#2군 #응양군 #용호군 #6위 #좌우위 #보승 #정용 #신호위 #흥위위 #금오위 #역령 #천우위 #상령 #해령 #감문위 #도부외 #의장부 #견예부 #노부 #별호제반 #신기 #신보 #경궁 #정노 #석투 #대각 #철수 #강노 #도탕 #사궁 #발화 #오군 #중군 #병진도지유 #도장교 #오병도지유 #장교도업사 #신기도령 #지유 #좌우경궁도령 #좌우정노도령 #도령 #전군 #후군 #좌군 #우군 #신보도령 #정노도령 #병금관 #낭중 #사 #거란 #광군 #광군사 #좌우군영 #군영 #직원 #장수 #잡역 #방수 #역 #선정전 #열병 #선화문 #해군 #노군 #교위 #선두 #차 #생강 #삼위 #도병마사 #함화문 #채충순 #시정 #성윤 #이향 #중외군사 #정역 #장교 #상사봉어 #박원작 #혁차 #수질노 #뇌등석포 #팔우노 #9도 #위 #명전 #호부 #공전 #주례 #양경 #양로 #서북로병마사 #김해병서 #주진 #서면병마도감사 #수질구궁노 #국자감 #근장 #영 #호군 #중랑장 #낭장 #별장 #산원 #오위 #대정 #정군방정인 #망군정인 #역역 #정인 #천역 #녹관 #추역군 #품종 #5부방리 #영사 #주사 #기관 #유음품관 #천구 #양반 #백정인 #선군별감 #전정연립 #십장 #육십 #중금 #도지 #백갑 #정인호 #진첩 #도감 #동 #궁원 #구사 #시중 #최제안 #병서 #6위군 #장군 #경군 #외군 #2․3품군 #위위시 #노수전 #차노전 #서북로병마소 #서경 #감군 #분사어사 #맹군 #상경 #좌부 #왕총지 #중추 #동반 #남반 #금고 #정기 #좌작 #마군 #선봉마병 #어사대 #병부 #영부 #유음기광군 #경직대상 #동북로 #병마감창사 #수령관 #참지정사 #김원정 #상서병부 #군민 #봉책사 #흥왕사 #봉책군 #사면기광군 #금위군사 #제위 #동교 #동․서계 #방수군 #참외 #전마 #보반 #군반씨족 #성적 #장적 #솜도포 #솜바지 #털모자 #서북면 #정포고 #솜옷 #가죽신 #1품군 #부호장 #병정 #창정 #호정 #식록정 #공수정 #부병정 #부창정 #부호정 #단정 #병역 #궁사 #군장 #양호 #관곽 #대전 #내외군정 #장상 #혜각미 #섭랑장 #차대정 #건명고 #평포 #정포도감 #무관 #문관 #서북면병마사 #유홍 #귀주 #은완접 #소감 #천균노 #봉의 #대영고 #동․북양계 #귀령각 #무반장군 #좌복야 #황중보 #상장군 #대장군 #시신 #어사중승 #김경용 #은쟁반 #동지 #재추 #기병 #회복루 #동반신료 #장경사 #정주 #장사 #마대 #명주 #윤관 #별무반 #문무산관 #이서 #상고 #노비 #진부 #승려 #항마군 #사원 #수원승도 #보승군 #동계병마사 #오연총 #신기군 #재신 #추밀 #점군사 #신보반 #백정 #전지 #악공 #남명문 #도탕반 #타구 #열무 #단봉문 #기군 #보군 #색전 #병마원리 #위신종졸 #한인 #공사노 #원수 #부원수 #도지병마 #군사 #지병마사 #부사 #판관 #군후사 #용약원 #제색원 #병마인리 #제색인리 #중군병마사 #5군 #3군 #조진약 #봉획 #방정 #평전 #남적집착병마사 #정숙첨 #행영원수 #군마 #거란군 #개경 #중방 #태조 #임보 #동남도가발병마사 #공사천예 #생도 #충실도감 #갑곶강 #수전 #삼별초 #최우 #야별초 #별초 #몽골 #신의군 #김준 #최의 #임연 #송송례 #임유무 #사공 #전분 #윤군정 #부위병 #문무산직 #잡색 #변량 #이수심 #수수 #전함병량도감 #동반산직인 #경상 #전라 #충청도 #동계 #군기별감 #경산부 #석주 #밀직부사 #경병 #충청 #교주도 #서반 #시관 #산관 #3관 #사졸 #종군 #산직 #학생 #동정군 #전정 #백금 #윤수 #일본원정군 #도평의사 #판밀직 #김주정 #연등도감 #나유 #나얀대왕 #반란 #공유 #시위군사 #금학양관 #유생 #과거 #조선열 #최백윤 #순마 #상부 #진사 #쿠치 #응방 #내시 #다방 #첨의찬성사 #송분 #숭문관 #선군 #순포 #내승 #조라치 #팔가치 #순군4번 #송악산 #봉획소 #관사 #활 #화살 #창 #행성3소 #제군만호부 #정구 #쌍정 #군호 #토전 #추쇄 #수졸 #정 #다루가치 #순천사 #서북면도원수 #염제신 #충용사위 #위장 #대장 #왜적 #교동 #쿠치4번 #충용위 #충용위3번 #역어 #조강 #적구 #후석 #성중애마 #정군 #서강 #적강 #성문수리오도감 #왜적방어병마판관 #방리병 #전함 #사면도감 #용성 #유탁 #경기도통사 #방리인 #대호 #소호 #동강 #행수유사 #성문도감 #사인 #향리 #궁사노예 #감찰사 #정장 #8위 #경상도 #양광도 #전라도 #강릉도 #삭방도 #서해도 #주현 #존무 #안렴 #체찰 #한산관 #서경만호부 #좌익 #우익 #정예 #정의 #충의 #충성 #신첨 #신성 #십군 #안주만호부 #좌용 #우용 #좌맹 #우맹 #전용 #후용 #전맹 #후맹 #팔군 #의주만호부 #좌정 #우정 #충신 #의용 #사군 #니성만호부 #진평 #진강 #진정 #진원 #강계만호부 #진변 #진성 #진안 #진령 #상만호 #부만호 #애마 #5부 #한량품관 #나주목사 #이진수 #4케식 #군수부 #시직 #문무품관 #도통사 #케식관 #동면 #남면 #서해 #북계 #토지제도 #부병 #양천포 #간관 #우현보 #손무 #오기 #공자 #의용좌우군 #판사 #지사 #5부도총도감 #흥국사 #방리 #방어도감 #도성 #호수 #군정 #체복사 #곽선 #연호군 #별군 #왜구 #우왕 #도순문사 #군목도 #병마사 #대소품관 #한산양반 #재인 #화척 #보병 #평양도 #안주 #익군 #신용군 #신맹군 #8익 #10익 #서경군 #경산 #교주 #5부방리군 #판삼사사 #최영 #행성 #종사관 #창고 #강화 #조민수 #한산군 #초군사 #개성부 #마병 #칼 #백봉 #5부원수 #정요위 #봉수 #백성 #화통도감 #강릉 #삭방 #도당 #군익 #계점원수 #봉익 #천호 #백호 #통주 #인리 #역자 #노 #사노 #두목 #검 #노구 #도끼 #낫 #원수부 #주역』 #헌사 #5도 #수령 #군역 #익 #공부 #전조 #6도도순찰사 #화약 #통헌 #동북계 #잡류 #응양군상호군 #이무 #한량 #보충군 #마암 #제색장인 #궁수 #연호 #품질 #역리 #만호 #군부사 #도목 #대호군 #상호군 #제색공장 #군부 #42도부 #대 #오 #금위 #원나라 #문신 #무신 #근시 #충용 #우달치 #쉬구치 #별보 #오원 #천예 #사문 #사순 #비순위 #대간 #절제사 #동북면 #한 #남북군 #당 #요 #금 #양계 #요나라 #진제 #송나라 #군사제도 #부위 #첨설직 #관찰사 #경기 #3군도총제부 #방사량 #양부 #대성 #6조 #수군 #육군 #호패 #병조 #3위
-
병지(兵志)마정(馬政)마정馬政○ 여러 목장들[諸牧場]. 용양(龍驤)【황주(黃州)(지금의 황해북도 황주군)】, 농서(隴西)【동주(洞州)(지금의 황해북도 서흥군)】, 은천(銀川)【백주(白州)(지금의 황해남도 배천군)】, 양란(羊欄)【개성(開城)】, 좌목(左牧)【정주(貞州)(지금의 개성직할시 …
-
숙종 원년(1096) 병자년원년 봄 정월 무술일. 동여진(東女眞) 동여진 여진족은 시기에 따라 숙신(肅愼) 또는 말갈(靺鞨) 등으로 불린 퉁구스계의 종족으로, 크게 만주의 길림성 동북지방에 산거하는 생여진(生女眞)과 그 서남에 산거하는 숙여진(熟女眞)의 두 갈래로 나뉘어져 전자는…
-
명종 10년(1180) 경자년10년 봄 정월 초하루 갑인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정묘일. 연등회 참석차 왕이 봉은사(奉恩寺)로 갔다. 경오일. 금나라가 소부감(少府監) 노공(盧珙)을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을해일. 금나라 사신을 위해 잔치를…
-
숙종 원년(1096) 병자년元年 春正月 戊戌 東女眞阿夫漢․高闌昆․豆門等一百七十九人來, 獻土物. 己酉 以工部尙書三司使庾晳爲西北面兵馬使, 尙書左丞崔翥爲東北面兵馬使. 甲寅 敎 敎 『고려사절요』에는 ‘詔’로 되어 있다.曰, “朕仰法先王, 欲行儉德, 減省飮食, 不縱嗜欲. 近聞內外時俗, 好行奢侈,…
-
명종 10년(1180) 경자년十年 春正月 甲寅朔 放朝賀. 丁卯 燃燈, 王如奉恩寺. 庚午 金遣少府監盧珙來, 賀生辰. 乙亥 宴金使. 二月 壬辰 始營宮闕. 壬子 王如靈通寺. 三月 庚午 幸王輪寺. 夏五月 己巳 幸外帝釋院. 六…
-
김취려金就礪 부 김변金賆김변(金賆)은 자가 손지(損之)다. 음보로 동면도감판관(東面都監判官)으로 임명되었다가 과거에 급제 급제 김변은 원종 9년(1268) 4월 지공거 문하시랑 유경(柳璥)과 동지공거 국자좨주(國子祭酒) 김애(金皚)가 주관한 과거에서 윤승관(尹承琯)․강창서(姜昌瑞)․…
-
김취려金就礪 부 김변金賆賆, 字損之. 蔭補東面都監判官, 登第, 累遷禮部郎中. 忠烈以世子入元, 賆從之. 及忠烈尙公主, 襲爵東還, 賆功居多, 賜誓券曰, “爾功之大, 予賞之微. 爾雖有罪, 十犯九宥, 至于子孫, 亦如之.” 官累判秘書寺事, 與同修國史任翊, 撰元世祖事跡. 尋遷承旨, 進副知密直,…
-
王太子節日 受宮官賀 幷會儀행사 하루 전날 해당 관청에서는 왕태자의 자리를 궁전 위 동쪽 벽 아래 정중앙에서 서향으로 마련하고, 신료들의 판위(版位)를 여정궁(麗正宮) 마당에 평상시의 격식과 같이 설치한다. 당일 새벽, 의장과 호위는 궁전 마당에 들어가 정렬하고, 영관(伶官)은 양부(兩…
-
凡試官광종. 처음 쌍기(雙冀)를 지공거(知貢擧) 지공거 고려시대 과거의 본시험인 예부시(禮部試)를 주관하던 책임고시관이다. 중국 당나라․송나라 때 사용되었으며, 고려사회에서는 광종 9년(958) 과거 시행 때부터 사용되다가 독권관(讀卷官)․도고시관(都考試官)․고시관…
-
병제兵制1. 2군(二軍) ○ 응양군(鷹揚軍) 응양군 2령으로 편제된 용호군보다 수는 작았지만 응양군은 용호군 보다 상위의 부대로 그 지휘관인 상장군이 2군 6위의 상장군과 대장군이 참여하는 중방(重房)의 의장인 반주(班主)가 되었다. 응양군에는 정3품의 상장군…
-
마정馬政○ 여러 목장들[諸牧場]. 용양(龍驤)【황주(黃州)(지금의 황해북도 황주군)】, 농서(隴西)【동주(洞州)(지금의 황해북도 서흥군)】, 은천(銀川)【백주(白州)(지금의 황해남도 배천군)】, 양란(羊欄)【개성(開城)】, 좌목(左牧)【정주(貞州)(지금의 개성직할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