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종원종 원년(1260) 경신년원종 원년(1260) 경신년원년 봄 정월 무인일. 태손이 조순(趙珣) 조순(?~?) 고종~원종 때 수사공(守司空)․참지정사(叅知政事)를 역임한 문신관료이다.을 참지정사로, 최온(崔昷)을 추밀원사(樞密院使)로, 김전(金佺) 김전(?~1271) 김전[金⿰氵⿱人王]이라고도 하며, 원…#조순 #참지정사 #최온 #추밀원사 #김전 #박성재 #추밀원 부사 #성대 #태학박사 #시의 #백주 #소복별감 #김수제 #별장 #우정 #예수데르 #재추 #급사중승 #전 #석도 #가도 #서북면병마사 #이교 #도령 #위득유 #내동 #우부승선 #김인준 #별궁전 #방성좌 #서경부유수 #김식 #야별초 #서해도 안찰사 #안북도령 #원진 #부사 #문수 #자주부사 #김맥 #옹진현령 #정숭 #몽고 #제주부사 #판예빈성사 #나득황 #방호사 #제주 #송나라 #일본 #안찰사 #연등회 #봉은사 #예부 #경조부 #쿠빌라이 #도병마녹사 #육자양 #장군 #김승준 #시랑 #이응 #산원 #민홍제 #몽고 사신 #가물 #승천관 #서경 #승려 #도사 #이세재 #동지추밀원사 #황보기 #채정 #쉬리다이 #강화상 #다루가치 #진주 #강수형 #일식 #대장군 #김방경 #급사중 #조문주 #중승 #김홍취 #출배별감 #지형부사 #삼별초 #제포 #개경 #승천부 #승천궐 #오산 #강화도 #어사중승 #백영정 #앵무잔 #백은 #승평문 #경령전 #헌종 #조어산 #연경 #경조 #동관 #화청궁 #당 현종 #육반산 #헌종 황제 #아릭부케 #양주 #초주 #양양 #연각오사복두 #물소 띠 #상아 홀 #당 태종 #개평부 #고종 #강회선무사 #조양필 #왕전 #섬서선무사 #염희헌 #왕만호 #가뭄 #문․무 양반 #영부 #천도 #상장군 #신사전 #16영 #몰번 #손정렬 #형절 #태조황제 #장강 #상서 #공신 #관반 #이송진 #대부소경 #장계열 #강안전 #경녕전 #보살계 #파투 #공 #후 #백 #참상 #참외 #복야 #김보정 #김대재 #기다대 #조서 #영안공 #간무 #우무 #진정표 #사신 #패리대 #공덕천도량 #경기 #누리 #사면령 #위사공신 #유경 #일산 #소재도량 #추밀원부사 #형부시랑 #유배 #영녕공 #지진 #혼전 #천수사 #화림 #태백성 #문하시랑평장사 #최자 #왕비 유씨 #왕심 #태부소경 #신윤화 #중서성 #한무제 #연호 #중통 #보르카발 #바투르 #호부 #인장 #왕사 #혼원 #위문경 #우정언 #전문윤 #왕륜사 #묘통사 #외원 #구요당 #필천호 #김천호 #상인 #진문광 #대부시 #내시원 #능라 #사견 #지문하성사 #이부상서 #수사공 #좌복야 #장공주 #경안궁주 #조책사 #집사관 #팔관회 #법왕사 #환궁악 #사도 #왕인 #제안백 #책봉 #가례 #김기손 #문하평장사 #판이부사 #중서평장사 #김지대 #정당문학 #어사대부 #수방
-
원종원종 원년(1260) 경신년원종 원년(1260) 경신년元年 春正月 戊寅 太孫, 以趙珣參知政事, 崔昷爲樞密院使, 金佺․朴成梓爲樞密院副使. 珣以連姻國戚, 不得入省臺, 至是除之. 又有知天文而拜大學博士者, 能暴虎而爲侍御醫者, 銓注之顚倒, 如此, 人嘲之曰, ‘占星大學博’, ‘捉虎侍御醫.’ 白州蘇復別監金守磾, 與別將于琔, …#조순 #참지정사 #최온 #추밀원사 #김전 #박성재 #추밀원 부사 #성대 #태학박사 #시의 #백주 #소복별감 #김수제 #별장 #우정 #예수데르 #재추 #급사중승 #전 #석도 #가도 #서북면병마사 #이교 #도령 #위득유 #내동 #우부승선 #김인준 #별궁전 #방성좌 #서경부유수 #김식 #야별초 #서해도 안찰사 #안북도령 #원진 #부사 #문수 #자주부사 #김맥 #옹진현령 #정숭 #몽고 #제주부사 #판예빈성사 #나득황 #방호사 #제주 #송나라 #일본 #안찰사 #연등회 #봉은사 #예부 #경조부 #쿠빌라이 #도병마녹사 #육자양 #장군 #김승준 #시랑 #이응 #산원 #민홍제 #몽고 사신 #가물 #승천관 #서경 #승려 #도사 #이세재 #동지추밀원사 #황보기 #채정 #쉬리다이 #강화상 #다루가치 #진주 #강수형 #일식 #대장군 #김방경 #급사중 #조문주 #중승 #김홍취 #출배별감 #지형부사 #삼별초 #제포 #개경 #승천부 #승천궐 #오산 #강화도 #어사중승 #백영정 #앵무잔 #백은 #승평문 #경령전 #헌종 #조어산 #연경 #경조 #동관 #화청궁 #당 현종 #육반산 #헌종 황제 #아릭부케 #양주 #초주 #양양 #연각오사복두 #물소 띠 #상아 홀 #당 태종 #개평부 #고종 #강회선무사 #조양필 #왕전 #섬서선무사 #염희헌 #왕만호 #가뭄 #문․무 양반 #영부 #천도 #상장군 #신사전 #16영 #몰번 #손정렬 #형절 #태조황제 #장강 #상서 #공신 #관반 #이송진 #대부소경 #장계열 #강안전 #경녕전 #보살계 #파투 #공 #후 #백 #참상 #참외 #복야 #김보정 #김대재 #기다대 #조서 #영안공 #간무 #우무 #진정표 #사신 #패리대 #공덕천도량 #경기 #누리 #사면령 #위사공신 #유경 #일산 #소재도량 #추밀원부사 #형부시랑 #유배 #영녕공 #지진 #혼전 #천수사 #화림 #태백성 #문하시랑평장사 #최자 #왕비 유씨 #왕심 #태부소경 #신윤화 #중서성 #한무제 #연호 #중통 #보르카발 #바투르 #호부 #인장 #왕사 #혼원 #위문경 #우정언 #전문윤 #왕륜사 #묘통사 #외원 #구요당 #필천호 #김천호 #상인 #진문광 #대부시 #내시원 #능라 #사견 #지문하성사 #이부상서 #수사공 #좌복야 #장공주 #경안궁주 #조책사 #집사관 #팔관회 #법왕사 #환궁악 #사도 #왕인 #제안백 #책봉 #가례 #김기손 #문하평장사 #판이부사 #중서평장사 #김지대 #정당문학 #어사대부 #수방
-
종실(宗室)宗室고려는 종실 종실 종친(宗親)이라고도 하며, 고려시대 왕자․공주 등 왕족으로 봉작(封爵)이나 봉군(封君)의 대상이 되었다. 고려시대 왕족에 대한 봉작은 왕자나 공주의 자식, 즉 국왕의 손자까지 3대로 제한되어 있어, 3대 이상의 후손부터 종실의 지위를 상실하였…
-
종실(宗室)宗室高麗封宗室之親且尊者曰公, 其次爲侯, 踈者爲伯, 幼者爲司徒․司空, 摠稱曰諸王. 皆不任事, 所以保親親也. 今據舊錄, 作宗室傳, 公主別附其後.
-
圜丘○ 원구단(圜丘壇) 원구단 원구(圜丘)․圓丘․園丘․원단(圜壇)이라고도 하며, 천자나 국왕이 하늘에 제사지내던 하늘 모양의 둥근 제단이다. 천원지방설에 따라 중앙에는 둥근 단을, 밖에는 방형을 쌓았다. 한나라 때에는 원구단(圓丘壇)이라 하다가 송나라 때에는 원구…#원구단 #요단 #신단 #축판 #창벽 #사규유저 #청제 #청규 #적제 #적장 #황제 #황종 #백제 #백호 #흑제 #현황 #오방제 #섭사 #친사 #공 #후 #백 #태위 #재신 #광록경 #태상경 #행사집사관 #상서성 #감찰어사 #원구 #산재 #별전 #치재 #정전 #재궁 #정침 #본사 #청재 #악공 #문무 #무무 #태조 #제위 #상사국 #대차 #소차 #수궁서 #시신 #막차 #행사배사관 #찬만 #교사령 #권화 #장생령 #태악령 #봉례 #음복위 #사관 #집사자 #악현 #협률랑 #악거 #망료위 #시단 #종사관 #문외위 #생방 #창생 #청생 #적생 #황생 #백생 #현생 #서리 #태축 #축사 #성생위 #어사 #태사령 #위판 #상제 #신좌 #보 #궤 #변 #두 #등 #조 #포작 #태준 #범제 #착준 #예제 #사준 #앙제 #산뢰 #현주 #청주 #상준 #제제 #호준 #침제 #사주 #석주 #준 #작점 #축점 #폐비 #세위 #작 #사비 #아헌관 #종헌관 #대가 #노부 #대인 #내장 #추밀 #대관전 #자황포 #명편 #금위 #사인 #각문 #시중 #판주 #흥례문 #의봉문 #승황령 #천우 #태복경 #경필 #난가 #황문시랑 #승평문 #거우 #상장군 #현무대 #집례 #집사관 #조복 #산 #선 #화개 #시위 #숙위 #통사사인 #집례관 #알자 #찬인 #태관 #태관령 #재인 #난도 #뇌 #생수반 #양온령 #옥 #비 #영사 #무공 #사공 #행궁 #곤룡포 #면류관 #태상박사 #박사 #합문관 #상의봉어 #환규 #전중감 #휘 #축 #황종궁 #정안지곡 #어 #헌가 #협종궁 #경안지곡 #황종각 #대주치 #고선우 #정안지곡」 #중서령 #규 #등가 #대려궁 #가안지곡 #인안지곡 #사도 #풍안지곡 #오제 #뇌세위 #내시관 #희안지곡 #좨주 #내시 #숭안지곡 #재랑 #무안지곡 #향악 #숙안지곡 #영안지곡 #주악 #집사위 #재전 #의장 #악부 #강사포 #어가 #천우위 #제지 #친사의 #통섭 #공복 #유문 #재방 #무표 #헌관 #신위 #제기 #술병 #받침 #채반 #덮개 #명수 #명화 #인안지곡」 #복주 #숭안지곡」 #기우제
-
太廟태묘(太廟) 태묘 조선시대의 종묘(宗廟)와 마찬가지로, 고려시대 역대 국왕들의 신주를 봉안한 왕실의 사당이다. 유교사상에 입각하여 궁궐의 좌우에 각각 종묘와 사직을 설치하게 되었고, 고려 성종 때 송(宋)나라의 영향을 받아 설치된 이후 고려의 제도로 정착되었으…#태묘 #향사 #한식 #납일 #납향 #천어 #시향 #맹동 #협제 #맹하 #체제 #친향 #옥책 #죽책 #은사 #홍사 #태조실 #섭사 #축판 #조실 #예실 #관규 #규 #찬 #창주 #칠사 #배향공신 #공 #후 #백 #태위 #광록경 #재신 #태상경 #친사원구의 #체향 #합향 #제위 #묘문 #청재 #상사국 #대차 #소차 #조계 #왕좌 #수궁서 #시신 #행사배향관 #유사 #막차 #찬만 #궁위령 #장생령 #태묘령 #소목 #태조 #혜종 #문종 #예종 #소 #현종 #순종 #선종 #숙종 #인종 #목 #보의 #분순 #옥궤 #태악령 #등가 #전영 #헌가 #묘정 #봉례랑 #위판 #음복위 #향관 #감찰어사 #봉례 #악현 #협률랑 #문외위 #공경 #생방 #이속 #대축 #축사 #성생위 #어사 #변 #두 #보 #궤 #신좌 #조 #등 #형 #옥작 #준 #이 #유이 #호이 #사준 #상준 #착준 #산뢰 #작 #찬반 #준이소 #책안 #노탄 #복주작 #사명 #호 #중류 #국문 #태려 #국행 #협향 #목작 #호준 #세위 #관세 #작세 #뇌 #비 #사비 #규찬 #부비 #작비 #섭사자 #별묘 #책문 #서압 #재궁 #대가 #노부 #삽 #극 #추밀 #의봉문 #악부 #대관전 #자황포 #경필 #금위 #사인 #각문 #시중 #판주 #여 #흥례문 #악차 #승황령 #상로 #천우 #장도 #노 #황문시랑 #태복경 #천우위 #난가 #승평문 #거우 #상장군 #현무대 #집사관 #집례 #조복 #산 #선 #화개 #시위 #욕위 #숙위 #통사사인 #묘소 #신악 #집사자 #집례관 #알자 #찬인 #생방위 #태관 #명수 #명화 #찬구 #태관령 #재인 #난도 #울창주 #종향관 #양온령 #범제 #예제 #앙제 #현주 #청주 #제제 #태준 #침제 #사주 #석주 #나유병 #법주 #찬자 #재랑 #영사 #요여 #감실 #태축 #향주 #어가 #악공 #사공 #헌관 #곤룡포 #면류관 #축책 #태상박사 #상의봉어 #전중감 #휘 #축 #무역궁 #정안지곡 #황종궁 #흥안지곡 #대려궁 #대주궁 #응종궁 #관세위 #정안지곡」 #대야 #내시 #뇌수 #태계 #중서령 #협종궁 #순안지곡 #화로 #사도 #판위 #풍안지곡 #태관승 #대정지곡 #부작 #후비 #책축 #소위 #목위 #희안지곡 #복주 #숭안지곡 #뇌세위 #무안지곡 #향악 #종헌관 #뇌세 #주준소 #교서 #공안지곡 #영안지곡 #집사위 #재방 #재전 #태악 #강사포 #합문 #거가 #향안 #상서성 #태상 #광록 #산재 #정침 #치재 #향소 #재소 #묘당 #관작 #수건 #찬소 #풍안지곡」 #홀 #친향의 #좨주 #숭안지곡」 #무안지곡」 #준소 #구실 #사명신위 #태사 #개국 #무열공 #배현경 #충렬공 #홍유 #무공공 #복지겸 #장절공 #신숭겸 #충절공 #유금필 #태부 #희개공 #최응 #엄의공 #박술희 #극익공 #김견술 #수태사 #위정공 #왕식렴 #광위공 #유신성 #내사령 #정민공 #서필 #광익공 #박양유 #민휴공 #최지몽 #광빈공 #최량 #문정공 #최승로 #정헌공 #이몽유 #장위공 #서희 #이지백 #정신공 #한언공 #문하시중 #충의공 #최숙 #김승조 #인헌공 #강감찬 #절의공 #최항 #정숙공 #최사위 #영숙공 #왕가도 #문하시랑평장사 #양의공 #유소 #원숙공 #서눌 #경문공 #황주량 #문헌공 #최충 #수사도 #정간공 #김원충 #순공공 #최제안 #장화공 #이자연 #경숙공 #왕총지 #문화공 #최유선 #문충공 #이정공 #수태위 #장연현개국백 #문정 #광숙공 #유홍 #김상기 #충겸공 #소태보 #수사공 #좌복야 #참지정사 #경렬공 #왕국모 #충경공 #최사추 #중서시랑평장사 #유인저 #영평백 #문숙공 #윤관 #수태부 #문성공 #김인존 #수태보 #위계정 #낙랑후 #문렬공 #김부식 #장경공 #최사전 #평장사 #최윤의 #공숙공 #유필 #문공원 #윤인첨 #충숙공 #문극겸 #문경공 #조영인 #문의공 #최선 #양숙공 #임유 #익렬공 #정극온 #조충 #이항 #위열공 #김취려 #이세재 #채정 #중찬 #허공 #문량공 #설공검 #충정공 #홍자번 #정가신 #정승 #사숙공 #한악 #참리 #이규 #철성부원군 #이암 #흥안부원군 #이인복 #왕후 #계림부원군 #이제현 #익성부원군 #이공수 #하성부원군 #양평공 #조익청 #서령군 #문희공 #유숙
-
師還儀군대가 회군하기 하루 전날 상사국에서는 대관전(大觀殿)에 왕좌를 설치하고, 원수와 부원수가 절 올릴 자리를 대궐 뜰에 설치한다. 그리고 수궁서(守宮署)에서는 원수와 부원수가 임시로 머물 장막[幕次]을 대궐문 밖 조당(朝堂)에 설치하고, 또 숙정(宿亭) 숙정 숙…#대관전 #수궁서 #장막 #조당 #숙정 #욕위 #검할 #군사 #부판관 #녹사 #사인 #원수 #합문 #영접관 #부원수 #정자 #기거장 #표문 #함 #공 #후 #백 #위로연 #북 #나팔 #광화문 #금위 #추밀 #시신 #속관 #강사포 #대전 #재신 #영부 #낭장 #부월 #어좌 #상장군 #종사관 #공복 #무도 #병란 #윤관 #오연총 #여진 #위봉루 #삼군 #공험진 #군위 #대방후 #왕보 #제안후 #왕서 #경령전 #문덕전 #연진 #서경 #김부식 #천복전 #거란 #참지정사 #정숙첨 #추밀원부사 #조충 #순천관 #총관 #평리 #인당 #압록강 #곡성백 #염제신 #도원수 #형부상서 #유연 #서북면도원수 #경천흥 #도순위사 #최영 #덕흥군 #수문하시중 #이인임 #서북면도통사
-
大觀殿宴群臣儀○ 진설(陳設). 연회를 베풀기 전에 도교서(都校署) 도교서 고려시대 공작(工作)을 담당하던 중앙관청이다. 이에 대해서는 『고려사』 권77, 백관지, 도교서 참조.와 중상서(中尙署) 중상서 고려시대 국왕이 사용하던 그릇과 보석 장식물을 담당하던 중앙관청으로, …
-
老人賜設儀하루 전날 상사국(尙舍局)에서는 국왕이 머물 악차(幄次)를 의봉문(儀鳳門) 안에 설치하고 또 합문청(閤門廳) 위에도 악차를 설치한다. 여든 살 이상인 재추들과 문무 3품 관리들 및 명부(命婦) 명부 국가에서 작위를 받은 부인들을 말한다. 왕궁과 세자궁에 달린 …
-
儀鳳門宣赦書儀행사 이틀 전에 도교령(都校令)이 소속 관원을 인솔하여 금계 장대[金鷄竿 금계간 금계(金鷄) : 머리가 황금으로 하늘에 산다는 닭를 꽂은 장대이다. 사면령을 반포할 때 대궐 문에 설치하였다. 한편 금계기는 고려시대 국왕의 행차 때 수레의 앞 뒤에 갖추는 의장의…
-
원종 원년(1260) 경신년원년 봄 정월 무인일. 태손이 조순(趙珣) 조순(?~?) 고종~원종 때 수사공(守司空)․참지정사(叅知政事)를 역임한 문신관료이다.을 참지정사로, 최온(崔昷)을 추밀원사(樞密院使)로, 김전(金佺) 김전(?~1271) 김전[金⿰氵⿱人王]이라고도 하며, 원…
-
원종 원년(1260) 경신년元年 春正月 戊寅 太孫, 以趙珣參知政事, 崔昷爲樞密院使, 金佺․朴成梓爲樞密院副使. 珣以連姻國戚, 不得入省臺, 至是除之. 又有知天文而拜大學博士者, 能暴虎而爲侍御醫者, 銓注之顚倒, 如此, 人嘲之曰, ‘占星大學博’, ‘捉虎侍御醫.’ 白州蘇復別監金守磾, 與別將于琔, …
-
宗室고려는 종실 종실 종친(宗親)이라고도 하며, 고려시대 왕자․공주 등 왕족으로 봉작(封爵)이나 봉군(封君)의 대상이 되었다. 고려시대 왕족에 대한 봉작은 왕자나 공주의 자식, 즉 국왕의 손자까지 3대로 제한되어 있어, 3대 이상의 후손부터 종실의 지위를 상실하였…
-
宗室高麗封宗室之親且尊者曰公, 其次爲侯, 踈者爲伯, 幼者爲司徒․司空, 摠稱曰諸王. 皆不任事, 所以保親親也. 今據舊錄, 作宗室傳, 公主別附其後.
-
圜丘○ 원구단(圜丘壇) 원구단 원구(圜丘)․圓丘․園丘․원단(圜壇)이라고도 하며, 천자나 국왕이 하늘에 제사지내던 하늘 모양의 둥근 제단이다. 천원지방설에 따라 중앙에는 둥근 단을, 밖에는 방형을 쌓았다. 한나라 때에는 원구단(圓丘壇)이라 하다가 송나라 때에는 원구…
-
太廟태묘(太廟) 태묘 조선시대의 종묘(宗廟)와 마찬가지로, 고려시대 역대 국왕들의 신주를 봉안한 왕실의 사당이다. 유교사상에 입각하여 궁궐의 좌우에 각각 종묘와 사직을 설치하게 되었고, 고려 성종 때 송(宋)나라의 영향을 받아 설치된 이후 고려의 제도로 정착되었으…
-
師還儀군대가 회군하기 하루 전날 상사국에서는 대관전(大觀殿)에 왕좌를 설치하고, 원수와 부원수가 절 올릴 자리를 대궐 뜰에 설치한다. 그리고 수궁서(守宮署)에서는 원수와 부원수가 임시로 머물 장막[幕次]을 대궐문 밖 조당(朝堂)에 설치하고, 또 숙정(宿亭) 숙정 숙…
-
大觀殿宴群臣儀○ 진설(陳設). 연회를 베풀기 전에 도교서(都校署) 도교서 고려시대 공작(工作)을 담당하던 중앙관청이다. 이에 대해서는 『고려사』 권77, 백관지, 도교서 참조.와 중상서(中尙署) 중상서 고려시대 국왕이 사용하던 그릇과 보석 장식물을 담당하던 중앙관청으로, …
-
老人賜設儀하루 전날 상사국(尙舍局)에서는 국왕이 머물 악차(幄次)를 의봉문(儀鳳門) 안에 설치하고 또 합문청(閤門廳) 위에도 악차를 설치한다. 여든 살 이상인 재추들과 문무 3품 관리들 및 명부(命婦) 명부 국가에서 작위를 받은 부인들을 말한다. 왕궁과 세자궁에 달린 …
-
儀鳳門宣赦書儀행사 이틀 전에 도교령(都校令)이 소속 관원을 인솔하여 금계 장대[金鷄竿 금계간 금계(金鷄) : 머리가 황금으로 하늘에 산다는 닭를 꽂은 장대이다. 사면령을 반포할 때 대궐 문에 설치하였다. 한편 금계기는 고려시대 국왕의 행차 때 수레의 앞 뒤에 갖추는 의장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