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태조
    태조 3년(920) 경진년
    태조 3년(920) 경진년
    3년 봄 정월 ○ 태조 즉위 후 처음으로 신라에서 사신을 보내왔다. 강주장군(康州將軍) 윤웅(閏雄) 윤웅 나말여초 진주지역의 호족으로, 신라말 촌주출신에 기반하여 890년대 신라 서부 지역의 농민항쟁이 전개되는 가운데 자립하여 지방세력가로 등장하였다. …
    #신라 #강주장군 #윤웅 #일강 #아찬 #행훈 #낭중 #춘양 #강주 #견훤 #공달 #공작선 #지리산 #대화살 #대량군 #구사군 #진례군 #김률 #북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태조
    태조 3년(920) 경진년
    태조 3년(920) 경진년
    三年 春正月 新羅始遣使來聘. 康州將軍閏雄, 遣其子一康爲質, 拜一康阿粲, 以卿行訓之妹妻之. 遣郞中春讓於康州, 慰諭歸附. 秋九月 辛丑 甄萱遣阿粲功達, 獻孔雀扇․智異山竹箭. 冬十月 甄萱侵新羅, 取大良․仇史二郡, 至于進禮郡. 新羅遣阿粲…
    #신라 #강주장군 #윤웅 #일강 #아찬 #행훈 #낭중 #춘양 #강주 #견훤 #공달 #공작선 #지리산 #대화살 #대량군 #구사군 #진례군 #김률 #북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지(禮志)가례의 여러 가지 의례[(嘉禮雜儀)]
    1. 상원 연등회의 의례[(上元燃燈會儀)]
    上元燃燈會儀
    소회일(小會日)에 국왕이 좌전(坐殿)하는 의례 국왕이 행사에 참석하기 전 날[小會 소회 상원연등회(上元燃燈會)의 행사 당일인 정월 대보름에 개최하는 대회(大會)보다 하루 전날 밤에 열리는 사전행사이다.] 도교서(都校署)에서는 부계(浮階)를 강안전(康安殿…
    #도교서 #강안전 #상사국 #상의국 #전중성 #채산 #내고사 #준 #뢰 #치황의 #견룡관 #중금 #도지 #승제원 #근시관 #합문 #숙위 #육상국 #후전관 #교방 #편전 #노부 #구정 #태정문 #인가관 #승제 #천우위 #비신장군 #지유 #자황포 #금위 #태사국 #사인 #섭시중 #상의봉어 #상승봉어 #황문시랑 #승평문 #봉은사 #삼문 #진전 #추밀 #다방 #공 #후 #백 #좌시신 #우시신 #상승국 #반룡선 #공작선 #홍수선 #수정장 #월부 #합문원 #공복 #상장군 #대장군 #견룡반 #좌집례관 #집례 #양부악관 #산대악인 #시봉군인 #연등회 #청주 #행궁 #한식 #현종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지(禮志)가례의 여러 가지 의례[(嘉禮雜儀)]
    2. 겨울 11월에 거행하는 팔관회의 의례[(仲冬八關會儀)]
    仲冬八關會儀
    소회(小會) 행사에 앞서 도교서(都校署)에서는 3단으로 된 부계(浮階)를 의봉문(儀鳳門)의 동쪽 궁전 계단 아래에 설치한다. 상사국(尙舍局)에서는 그 속료들을 데리고 악차(幄次)를 궁전 위 중앙에 남향으로 설치하고 평상시의 격식대로 어좌를 준비하며 편차…
    #도교서 #의봉문 #상사국 #상의국 #다방 #추밀 #협률랑 #내고사 #대준 #대뢰 #예부 #합문 #공 #후 #백 #재신 #좌추밀 #좌봉례 #찬자 #합문부사 #통사사인 #대관전 #노부 #의장대 #구정 #인가관 #천우위 #상장군 #대장군 #비신장군 #자황포 #선인전 #금위군 #승제 #근시관 #황문시랑 #교방 #의봉루 #집례관 #악전 #내시 #어주 #수정장 #월부장 #은알작자 #부절 #정 #견룡 #정편승지 #장선승지 #중금반 #반룡선 #공작선 #견룡관 #남헌 #중금 #휘 #태사국 #합문원 #팔관회 #좌집례관 #전중감 #악관 #사재경 #우집례 #좌집례 #시신 #급사중승 #지제고 #대제 #동락정 #삼경유수 #소경 #지합문사 #부사 #전중성 #육상국 #후전관 #양부 #도지반 #백갑장 #태악령 #아악 #합관 #시봉군인 #참상 #집례 #소회 #강수 #도강 #인덕문 #의창문 #양부악관 #근장군인 #인리 #교방악관 #상식국 #대부 #좌동락정 #태정문 #사선악부 #위봉루 #서경 #신봉루 #대회 #동경 #4도호 #8목 #동번 #서번 #탐라국 #초회 #팔관대회 #사천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여복지(輿服志)서문(序文)
    4. 의위(儀衛)
    儀衛【朝會儀仗․法駕衛仗․燃燈衛仗․八關衛仗․西南京巡幸衛仗․奉迎衛仗․宣赦儀仗】
    조회(朝會)의 의장 큰 예식이나 큰 조회의 행사가 있을 때 궁궐 안팎에 의장(儀仗)을 세운다. 의종(毅宗)조. 다음과 같이 상정하였다. 대관전(大觀殿) 조회의 경우, 절일(節日) 정월과 동지의 하례를 행할 때에…
    #대관전 #절일 #동지 #수정장 #월부 #도장 #대산 #양산 #군사 #한 #필 #장엄궁 #장교 #백갑대 #영도장 #은장장도대 #영장교 #은골타자대 #흑간작자홍라호대 #가서봉 #교상 #필연안 #은구장 #전성 #남반 #아장 #중금반 #영지유 #행수 #반사 #도지반 #상장군 #천우위 #비신장군 #의위 #대장군 #중금 #도지 #양양산 #입춘 #인일 #지유 #견룡 #위위판사 #이민도 #갓 #문하성 #극 #위 #무제 #문극 #태묘 #영장군 #청유대 #금오위 #절충대 #도위장군 #과의 #행루여 #청도 #태사국 #우후차비대 #방패대 #차비장교 #공군사 #경령전 #행로 #다담 #채라번 #인장교 #황수번 #청곡병대산 #청양산 #공학 #평련 #인가 #호련도장 #남반관원 #어갑담 #황산 #홍산 #초요 #수관자 #인장 #중서주보리 #부보랑 #중위군기 #공학군기 #청룡당 #백호당 #주작당 #현무당 #홍수당 #청당 #적당 #백당 #황당 #흑당 #은작자홍라호대 #사극소기창대 #은작자홍라호 #극번 #정편승지 #절 #정 #정절랑 #낭장 #홍수선 #공작선 #반룡선 #승지 #공작산 #어견룡 #어로 #봉로도장 #내시관 #어궁전장군 #승제원 #우산 #협산 #후행마 #후옹마 #좌상장군 #우상장군 #천우위 대장군 #비신 #용호위신대 #백철갑소기창대 #후전지응관 #감찰어사 #금오위 절충대 #도위 #현무대 #태복마 #교묘 #책축교서누자 #적룡대기 #교방 #악관 #안국기 #잡기 #고창기 #천축기 #연락기 #취각군 #취라군 #공 #후 #백 #문반 #무반 #어가 #의봉문 #충정 #건성사 #최우 #공가군 #근위 #견룡군 #금화모 #법가 #경필 #연등회 #봉은사 #진전 #선배대 #경령전판관 #전행마 #은간작자홍라호대 #국인 #대신 #홍라호은작자 #평두련 #정편 #초요련 #호련부장 #어궁전 #위신마대 #후전대 #중동 #간악전 #의위사 #황룡대기 #호기장교 #아장장교 #선비대 #공작대산 #어연 #공학군 #봉련도장 #골타자대 #지유장교 #천우비신장군 #좌․우상장군 #부의 #봉련공학 #은작자 #어견룡반 #위신대 #교방악관 #취각 군 #곡․직화개 #근장의위 #오방기 #협군사 #백간작자홍라호대 #세궁전 #자수선 #청대산 #어련 #호련견룡반 #교자 #호교자 #후전관 #순검좌우부 #청악 #견룡반 #현무군대 #잡극기 #취각 #의봉루 #사면령 #집경군 #추산 #백갑군 #은창 #주갑군 #서책 #필연 #홍배자 #장도 #골타자 #금화 #주배군사 #황라번 #백라번 #흑라번 #청번당 #홍라번 #백번당 #인배 #비서성 #청평군사 #상사국 #의자군사 #전유마군 #방패군 #현무군 #위신마군 #궁전장교 #사지도감 #직장교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지(禮志)가례의 여러 가지 의례[(嘉禮雜儀)]
    1. 상원 연등회의 의례[(上元燃燈會儀)]
    上元燃燈會儀
    小會日坐殿 前期, 都校署設浮階於康安殿階前. 尙舍局率其屬, 設王幄於殿上, 設便次於王幄東, 設二獸爐於前楹外. 尙衣局設花案於王座左右楹前. 殿中省列燈籠於浮階之上下左右, 設彩山於殿庭. 內庫使列尊罍於殿庭左右. 其日, 王…
    #도교서 #강안전 #상사국 #상의국 #전중성 #채산 #내고사 #준 #뢰 #치황의 #견룡관 #중금 #도지 #승제원 #근시관 #합문 #숙위 #육상국 #후전관 #교방 #편전 #노부 #구정 #태정문 #인가관 #승제 #천우위 #비신장군 #지유 #자황포 #금위 #태사국 #사인 #섭시중 #상의봉어 #상승봉어 #황문시랑 #승평문 #봉은사 #삼문 #진전 #추밀 #다방 #공 #후 #백 #좌시신 #우시신 #상승국 #반룡선 #공작선 #홍수선 #수정장 #월부 #합문원 #공복 #상장군 #대장군 #견룡반 #좌집례관 #집례 #양부악관 #산대악인 #시봉군인 #연등회 #청주 #행궁 #한식 #현종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지(禮志)가례의 여러 가지 의례[(嘉禮雜儀)]
    2. 겨울 11월에 거행하는 팔관회의 의례[(仲冬八關會儀)]
    仲冬八關會儀
    小會 前期, 都校署設三級浮階於儀鳳門東殿階下. 尙舍局率其屬, 設幄於殿上, 當中南向, 鋪王座, 如常儀, 設便次於幄東. 尙衣局設花案於王座前楹間 間 『고려사』 모든 판본의 원문이 ‘한(閒)’자이나 ‘간(間)자로 하였다…
    #도교서 #의봉문 #상사국 #상의국 #다방 #추밀 #협률랑 #내고사 #대준 #대뢰 #예부 #합문 #공 #후 #백 #재신 #좌추밀 #좌봉례 #찬자 #합문부사 #통사사인 #대관전 #노부 #의장대 #구정 #인가관 #천우위 #상장군 #대장군 #비신장군 #자황포 #선인전 #금위군 #승제 #근시관 #황문시랑 #교방 #의봉루 #집례관 #악전 #내시 #어주 #수정장 #월부장 #은알작자 #부절 #정 #견룡 #정편승지 #장선승지 #중금반 #반룡선 #공작선 #견룡관 #남헌 #중금 #휘 #태사국 #합문원 #팔관회 #좌집례관 #전중감 #악관 #사재경 #우집례 #좌집례 #시신 #급사중승 #지제고 #대제 #동락정 #삼경유수 #소경 #지합문사 #부사 #전중성 #육상국 #후전관 #양부 #도지반 #백갑장 #태악령 #아악 #합관 #시봉군인 #참상 #집례 #소회 #강수 #도강 #인덕문 #의창문 #양부악관 #근장군인 #인리 #교방악관 #상식국 #대부 #좌동락정 #태정문 #사선악부 #위봉루 #서경 #신봉루 #대회 #동경 #4도호 #8목 #동번 #서번 #탐라국 #초회 #팔관대회 #사천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여복지(輿服志)서문(序文)
    4. 의위(儀衛)
    儀衛【朝會儀仗․法駕衛仗․燃燈衛仗․八關衛仗․西南京巡幸衛仗․奉迎衛仗․宣赦儀仗】
    凡遇大禮․大朝會則有內外儀仗. 毅宗朝 詳定, “大觀殿朝會․節日․正至賀禮, 殿庭, 水精杖一在左, 鉞斧一在右, 都將各二人【放角, 紫衣, 束帶】. 大傘一在左, 陽傘一在右, 軍士六人【皀紗帽子, 紫小袖, 衣束帶…
    #대관전 #절일 #동지 #수정장 #월부 #도장 #대산 #양산 #군사 #한 #필 #장엄궁 #장교 #백갑대 #영도장 #은장장도대 #영장교 #은골타자대 #흑간작자홍라호대 #가서봉 #교상 #필연안 #은구장 #전성 #남반 #아장 #중금반 #영지유 #행수 #반사 #도지반 #상장군 #천우위 #비신장군 #의위 #대장군 #중금 #도지 #양양산 #입춘 #인일 #지유 #견룡 #위위판사 #이민도 #갓 #문하성 #극 #위 #무제 #문극 #태묘 #영장군 #청유대 #금오위 #절충대 #도위장군 #과의 #행루여 #청도 #태사국 #우후차비대 #방패대 #차비장교 #공군사 #경령전 #행로 #다담 #채라번 #인장교 #황수번 #청곡병대산 #청양산 #공학 #평련 #인가 #호련도장 #남반관원 #어갑담 #황산 #홍산 #초요 #수관자 #인장 #중서주보리 #부보랑 #중위군기 #공학군기 #청룡당 #백호당 #주작당 #현무당 #홍수당 #청당 #적당 #백당 #황당 #흑당 #은작자홍라호대 #사극소기창대 #은작자홍라호 #극번 #정편승지 #절 #정 #정절랑 #낭장 #홍수선 #공작선 #반룡선 #승지 #공작산 #어견룡 #어로 #봉로도장 #내시관 #어궁전장군 #승제원 #우산 #협산 #후행마 #후옹마 #좌상장군 #우상장군 #천우위 대장군 #비신 #용호위신대 #백철갑소기창대 #후전지응관 #감찰어사 #금오위 절충대 #도위 #현무대 #태복마 #교묘 #책축교서누자 #적룡대기 #교방 #악관 #안국기 #잡기 #고창기 #천축기 #연락기 #취각군 #취라군 #공 #후 #백 #문반 #무반 #어가 #의봉문 #충정 #건성사 #최우 #공가군 #근위 #견룡군 #금화모 #법가 #경필 #연등회 #봉은사 #진전 #선배대 #경령전판관 #전행마 #은간작자홍라호대 #국인 #대신 #홍라호은작자 #평두련 #정편 #초요련 #호련부장 #어궁전 #위신마대 #후전대 #중동 #간악전 #의위사 #황룡대기 #호기장교 #아장장교 #선비대 #공작대산 #어연 #공학군 #봉련도장 #골타자대 #지유장교 #천우비신장군 #좌․우상장군 #부의 #봉련공학 #은작자 #어견룡반 #위신대 #교방악관 #취각 군 #곡․직화개 #근장의위 #오방기 #협군사 #백간작자홍라호대 #세궁전 #자수선 #청대산 #어련 #호련견룡반 #교자 #호교자 #후전관 #순검좌우부 #청악 #견룡반 #현무군대 #잡극기 #취각 #의봉루 #사면령 #집경군 #추산 #백갑군 #은창 #주갑군 #서책 #필연 #홍배자 #장도 #골타자 #금화 #주배군사 #황라번 #백라번 #흑라번 #청번당 #홍라번 #백번당 #인배 #비서성 #청평군사 #상사국 #의자군사 #전유마군 #방패군 #현무군 #위신마군 #궁전장교 #사지도감 #직장교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Next PageLast Page총 8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