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덕종덕종 즉위년(1031) 신미년덕종 즉위년(1031) 신미년6월 초하루 정축일. 서눌(徐訥)을 검교태사(檢校太師)로 임명했다. 기묘일. 강감찬(姜邯贊)을 검교태사․시중(侍中)으로 임명했다. 을유일. 서여진의 영새대장군(寧塞大將軍) 아지대(阿志大) 등 27명이 와서 좋은 말을 바쳤다. …#서눌 #검교태사 #강감찬 #시중 #영새대장군 #아지대 #대완사 #이라 #무나사 #약오자 #태주 #진유지 #현종 #선릉 #경령전 #신봉루 #구정 #유소 #중군병마원수 #장극맹 #병부상서 #홍빈 #형부상서 #이유섬 #공부상서 #김종현 #우간의대부 #황보영 #어사잡단 #문사명 #전중시어사 #손위 #전중승 #박의부 #감찰어사 #보애사 #공부낭중 #남승안 #성종 #반혼당 #거란 #내전 #정유원 #시어사 #감문군 #대도행랑 #제군판관 #고진상 #공목관 #왕광록 #야율온덕 #조상현 #고어부 #아두간 #가주 #철주 #동번 #왕가도 #이단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검교태보 #박눌암 #주덕명 #외제석원 #어사중승 #김영기 #이자연 #우보궐 #비어 #문재선 #이경응 #금어 #노전 #호부상서 #민가거 #허원 #내사사인 #진현석 #회화장군 #오어나 #개로 #밀직학사 #비서소감 #박유인 #권지좌승선 #묘통사 #문하시중 #문하시랑 동 내사문하평장사 #왕수남 #유교 #낭중 #김행공 #압록강 #원보 #사헌대 #판동경유수사 #이공 #이응보 #수사도 #상서우복야 #김여탁 #수사공 #국자감시 #용흥사 #현비 #동경유수사 #이작인 #모이라 #오두내 #하정사 #태평
-
공민왕공민왕 6년(1357) 정유년공민왕 6년(1357) 정유년봄 정월 초하루 병자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하고 왕이 신하들에게 잔치를 베풀었다. 경인일. 왕이 왕사(王師) 보우(普愚)를 내전으로 맞아다가 황금 50냥과 금선(金線) 1필을 하사했다. 신묘일. 선대(先代)의 왕과 왕후들에게 존호를 …#왕사 #보우 #황금 #금선 #봉은사 #태조 #한양 #이제현 #양광도 #둔전 #내고 #호부 #김경직 #수사도 #상주국 #언양백 #차포온 #동경유수 #이안 #남경유수 #최인원 #우복야 #신청 #추밀원부사 #교동 #개경 #서경』 #윤택 #채하중 #김찬 #초스간 #우승상 #태평 #좌승상 #강절성 #승상 #이문 #시라부카 #이능간 #평장사 #허백 #최용각 #전주 #전우상 #신귀 #조휘 #조만통 #홍개도 #이칭 #정연 #강찬 #홍상재 #서북면홍두군왜적방어도지휘사 #최영 #이부상서 #홍유구 #도당 #행성 #쌍성 #삼살 #이판령 #여진 #화주 #총관부 #천호소 #기철 #노책 #권겸 #이리간 #이판 #조소생 #탁도경 #요양행성 #안보 #염철별감 #임희재 #안무사 #승천부 #흥천사 #충선왕 #한국공주 #고금록 #우필흥 #백두산 #지리산 #흑의 #청립 #흑건 #대관 #흑라 #지진 #양바얀 #원나라 #이운목 #장군 #이뭉쿠다이 #충렬왕 #충숙왕 #충혜왕 #충목왕 #순군 #대간 #이색 #삼년상 #손등 #개성윤 #고용현 #이교 #구정 #동북면 #김득배 #서북면도순문사 #서경윤 #상만호 #호부상서 #김원봉 #서북면홍두군왜적방어지휘 #부만호 #이부 #병부 #도평의사사 #어사대
-
덕종덕종 즉위년(1031) 신미년덕종 즉위년(1031) 신미년六月 丁丑朔 以徐訥檢校太師. 己卯 以姜邯賛檢校太師侍中. 乙酉 西女眞寧塞大將軍阿志大等二十七人來, 獻良馬. 乙未 東女眞將軍大宛沙․伊羅等五十八人來, 獻良馬. 鐵利國主武那沙遣若吾者等來, 獻貂鼠皮. 宋台州商客陳惟志等六十四人來. 丙申 葬顯宗于宣陵. 戊戌 王釋服. 庚子 謁…#서눌 #검교태사 #강감찬 #시중 #영새대장군 #아지대 #대완사 #이라 #무나사 #약오자 #태주 #진유지 #현종 #선릉 #경령전 #신봉루 #구정 #유소 #중군병마원수 #장극맹 #병부상서 #홍빈 #형부상서 #이유섬 #공부상서 #김종현 #우간의대부 #황보영 #어사잡단 #문사명 #전중시어사 #손위 #전중승 #박의부 #감찰어사 #보애사 #공부낭중 #남승안 #성종 #반혼당 #거란 #내전 #정유원 #시어사 #감문군 #대도행랑 #제군판관 #고진상 #공목관 #왕광록 #야율온덕 #조상현 #고어부 #아두간 #가주 #철주 #동번 #왕가도 #이단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검교태보 #박눌암 #주덕명 #외제석원 #어사중승 #김영기 #이자연 #우보궐 #비어 #문재선 #이경응 #금어 #노전 #호부상서 #민가거 #허원 #내사사인 #진현석 #회화장군 #오어나 #개로 #밀직학사 #비서소감 #박유인 #권지좌승선 #묘통사 #문하시중 #문하시랑 동 내사문하평장사 #왕수남 #유교 #낭중 #김행공 #압록강 #원보 #사헌대 #판동경유수사 #이공 #이응보 #수사도 #상서우복야 #김여탁 #수사공 #국자감시 #용흥사 #현비 #동경유수사 #이작인 #모이라 #오두내 #하정사 #태평
-
공민왕공민왕 6년(1357) 정유년공민왕 6년(1357) 정유년六年 春正月 丙子朔 放朝賀, 宴群臣. 庚寅 王邀王師普愚于內殿, 賜黃金五十兩金線一匹. 辛卯 加上先代先王先后尊號. 壬辰 王如奉恩寺, 謁太祖眞殿, 卜遷都漢陽, 王探㺽, 得靜字. 癸卯 更命李齊賢卜之, 得動字, 王喜曰, “卿禋祀, 得吉卜, 實副予心.” 命修中外學校. 甲…#왕사 #보우 #황금 #금선 #봉은사 #태조 #한양 #이제현 #양광도 #둔전 #내고 #호부 #김경직 #수사도 #상주국 #언양백 #차포온 #동경유수 #이안 #남경유수 #최인원 #우복야 #신청 #추밀원부사 #교동 #개경 #서경』 #윤택 #채하중 #김찬 #초스간 #우승상 #태평 #좌승상 #강절성 #승상 #이문 #시라부카 #이능간 #평장사 #허백 #최용각 #전주 #전우상 #신귀 #조휘 #조만통 #홍개도 #이칭 #정연 #강찬 #홍상재 #서북면홍두군왜적방어도지휘사 #최영 #이부상서 #홍유구 #도당 #행성 #쌍성 #삼살 #이판령 #여진 #화주 #총관부 #천호소 #기철 #노책 #권겸 #이리간 #이판 #조소생 #탁도경 #요양행성 #안보 #염철별감 #임희재 #안무사 #승천부 #흥천사 #충선왕 #한국공주 #고금록 #우필흥 #백두산 #지리산 #흑의 #청립 #흑건 #대관 #흑라 #지진 #양바얀 #원나라 #이운목 #장군 #이뭉쿠다이 #충렬왕 #충숙왕 #충혜왕 #충목왕 #순군 #대간 #이색 #삼년상 #손등 #개성윤 #고용현 #이교 #구정 #동북면 #김득배 #서북면도순문사 #서경윤 #상만호 #호부상서 #김원봉 #서북면홍두군왜적방어지휘 #부만호 #이부 #병부 #도평의사사 #어사대
-
제신(諸臣)왕순식(王順式)왕순식王順式왕순식(王順式) 왕순식(?~?) 강릉 김씨(江陵金氏)로, 명주장군(溟州將軍)․지명주제군사(知溟州諸軍事)의 지위를 가지고 그 지역의 강력한 지방세력으로 성장하였다. 그는 명주지역의 교단을 영도하던 사굴산문의 낭원대사(朗圓大師) 개청(開淸)과도 긴밀한 관계를 맺었…
-
제신(諸臣)왕순식(王順式) 부 태평(泰評)왕순식王順式 부 태평泰評태평(泰評) 태평(?~?) 패서(浿西)지역인 염주(塩州)(지금의 황해남도 연안군)출신으로 신라정부의 수탈에 저항하다가 궁예에게 항복한 후 군대에 편입되었으나, 궁예 말년에 왕건(王建)과 결합하여 고려건국에 참여하고 순군낭중(徇軍郎中)을 역임하였다. 김주성, 「…
-
제신(諸臣)왕가도(王可道)왕가도王可道왕가도(王可道) 왕가도(?~1034) 삼한공신(三韓功臣)의 후손인 청주 이씨(淸州李氏) 가운데 한 가계 출신으로, 처음 이름을 이자림(李子琳)․이가도(李可道)라 하다가 왕씨(王氏) 성을 받아 왕가도라 하였다. 이 집안은 왕가도가 현종 때 평장사를 역임하고, 그…#왕가도 #이자림 #청주 #과거에 장원 급제 #서경장서기 #상장군 #김훈 #최질 #대각 #화주방어사 #개경 #일직 #김맹 #한나라 #고조 #한신 #서기 #권서경유수판관 #서경 #장락궁 #이협 #최가정 #석방현 #이섬 #김정열 #효암 #임맹 #최구 #병부낭중 #상서우승 #동지중추사 #호부상서 #치성공신 #참지정사 #상서좌복야 #이응보 #어사대부 #황보유의 #상서좌승 #황주량 #나성 #일산 #검교태위 #행이부상서 #태자소사 #상주국 #개성현개국백 #수충창궐공신 #개성현 #장전 #개성군부인 #덕종 #문하시랑 동 내사문하평장사 #공부낭중 #유교 #낭중 #김행공 #거란 #부마 #필제 #동경 #압록성 #서눌 #태평 #평장사 #유소 #최제안 #최충 #김충찬 #이단 #태묘 #영숙 #태사 #중서령 #현종의 묘정
-
제신(諸臣)왕순식(王順式)왕순식王順式王順式, 溟州人. 爲本州將軍, 久不服, 太祖患之. 侍郞權說奏曰, “父而詔子, 兄而訓弟, 天理也. 順式父許越, 今爲僧在內院, 宜遣往諭之.” 太祖從之. 順式遂遣長子守元歸款, 賜姓王, 仍賜田宅. 又遣子長命, 以卒六百入宿衛, 後與子弟率其衆來朝, 賜姓王, 拜大匡. 長命…
-
제신(諸臣)왕순식(王順式) 부 태평(泰評)왕순식王順式 부 태평泰評泰評, 塩州人. 博涉書史, 明習吏事. 初爲其州賊帥柳矜順記室, 弓裔破矜順, 評乃降. 裔怒其久不服, 令屬卒伍, 遂從太祖, 開國之際, 與有力焉, 擢授徇軍郞中.
-
제신(諸臣)왕가도(王可道)왕가도王可道王可道, 初名子琳, 淸州人, 本姓李. 成宗朝, 擢魁科, 補西京掌書記. 顯宗五年, 上將軍金訓․崔質等作亂. 由是, 武臣用事, 悍夫兇豎, 並帶文官. 羊頭狗尾, 布列臺閣, 政出多門, 朝綱紊亂. 可道以和州防禦使, 秩滿還京, 在私第. 心懷憤激, 密謂日直金猛曰, “王何不效…#왕가도 #이자림 #청주 #과거에 장원 급제 #서경장서기 #상장군 #김훈 #최질 #대각 #화주방어사 #개경 #일직 #김맹 #한나라 #고조 #한신 #서기 #권서경유수판관 #서경 #장락궁 #이협 #최가정 #석방현 #이섬 #김정열 #효암 #임맹 #최구 #병부낭중 #상서우승 #동지중추사 #호부상서 #치성공신 #참지정사 #상서좌복야 #이응보 #어사대부 #황보유의 #상서좌승 #황주량 #나성 #일산 #검교태위 #행이부상서 #태자소사 #상주국 #개성현개국백 #수충창궐공신 #개성현 #장전 #개성군부인 #덕종 #문하시랑 동 내사문하평장사 #공부낭중 #유교 #낭중 #김행공 #거란 #부마 #필제 #동경 #압록성 #서눌 #태평 #평장사 #유소 #최제안 #최충 #김충찬 #이단 #태묘 #영숙 #태사 #중서령 #현종의 묘정
-
덕종 즉위년(1031) 신미년6월 초하루 정축일. 서눌(徐訥)을 검교태사(檢校太師)로 임명했다. 기묘일. 강감찬(姜邯贊)을 검교태사․시중(侍中)으로 임명했다. 을유일. 서여진의 영새대장군(寧塞大將軍) 아지대(阿志大) 등 27명이 와서 좋은 말을 바쳤다. …
-
공민왕 6년(1357) 정유년봄 정월 초하루 병자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하고 왕이 신하들에게 잔치를 베풀었다. 경인일. 왕이 왕사(王師) 보우(普愚)를 내전으로 맞아다가 황금 50냥과 금선(金線) 1필을 하사했다. 신묘일. 선대(先代)의 왕과 왕후들에게 존호를 …
-
덕종 즉위년(1031) 신미년六月 丁丑朔 以徐訥檢校太師. 己卯 以姜邯賛檢校太師侍中. 乙酉 西女眞寧塞大將軍阿志大等二十七人來, 獻良馬. 乙未 東女眞將軍大宛沙․伊羅等五十八人來, 獻良馬. 鐵利國主武那沙遣若吾者等來, 獻貂鼠皮. 宋台州商客陳惟志等六十四人來. 丙申 葬顯宗于宣陵. 戊戌 王釋服. 庚子 謁…
-
공민왕 6년(1357) 정유년六年 春正月 丙子朔 放朝賀, 宴群臣. 庚寅 王邀王師普愚于內殿, 賜黃金五十兩金線一匹. 辛卯 加上先代先王先后尊號. 壬辰 王如奉恩寺, 謁太祖眞殿, 卜遷都漢陽, 王探㺽, 得靜字. 癸卯 更命李齊賢卜之, 得動字, 王喜曰, “卿禋祀, 得吉卜, 實副予心.” 命修中外學校. 甲…
-
왕순식王順式왕순식(王順式) 왕순식(?~?) 강릉 김씨(江陵金氏)로, 명주장군(溟州將軍)․지명주제군사(知溟州諸軍事)의 지위를 가지고 그 지역의 강력한 지방세력으로 성장하였다. 그는 명주지역의 교단을 영도하던 사굴산문의 낭원대사(朗圓大師) 개청(開淸)과도 긴밀한 관계를 맺었…
-
왕순식王順式 부 태평泰評태평(泰評) 태평(?~?) 패서(浿西)지역인 염주(塩州)(지금의 황해남도 연안군)출신으로 신라정부의 수탈에 저항하다가 궁예에게 항복한 후 군대에 편입되었으나, 궁예 말년에 왕건(王建)과 결합하여 고려건국에 참여하고 순군낭중(徇軍郎中)을 역임하였다. 김주성, 「…
-
왕가도王可道왕가도(王可道) 왕가도(?~1034) 삼한공신(三韓功臣)의 후손인 청주 이씨(淸州李氏) 가운데 한 가계 출신으로, 처음 이름을 이자림(李子琳)․이가도(李可道)라 하다가 왕씨(王氏) 성을 받아 왕가도라 하였다. 이 집안은 왕가도가 현종 때 평장사를 역임하고, 그…
-
왕순식王順式王順式, 溟州人. 爲本州將軍, 久不服, 太祖患之. 侍郞權說奏曰, “父而詔子, 兄而訓弟, 天理也. 順式父許越, 今爲僧在內院, 宜遣往諭之.” 太祖從之. 順式遂遣長子守元歸款, 賜姓王, 仍賜田宅. 又遣子長命, 以卒六百入宿衛, 後與子弟率其衆來朝, 賜姓王, 拜大匡. 長命…
-
왕순식王順式 부 태평泰評泰評, 塩州人. 博涉書史, 明習吏事. 初爲其州賊帥柳矜順記室, 弓裔破矜順, 評乃降. 裔怒其久不服, 令屬卒伍, 遂從太祖, 開國之際, 與有力焉, 擢授徇軍郞中.
-
왕가도王可道王可道, 初名子琳, 淸州人, 本姓李. 成宗朝, 擢魁科, 補西京掌書記. 顯宗五年, 上將軍金訓․崔質等作亂. 由是, 武臣用事, 悍夫兇豎, 並帶文官. 羊頭狗尾, 布列臺閣, 政出多門, 朝綱紊亂. 可道以和州防禦使, 秩滿還京, 在私第. 心懷憤激, 密謂日直金猛曰, “王何不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