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혜2020본고에서는 인성교육이 강조되는 현실에서 연암 박지원의 한문단편을 인성교육의 교육내용으로 제안한다. 연암을 풍자와 비판에 능한 실학가로 한정 짓던 틀에서 벗어나 사회에서 주목받지 못한 비주류와 소수자들의 삶을 한문단편에 형상화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소수자의 개념을 확인하고 전(傳)양식으로 쓰여진 연암의 한문단편 속 인물들의 모습을 살펴보며 소수자에 속하는지 확인했다. 이어서 한문단편에...
-
최어진2020고전문학과 교육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elf-identity of the assistant character ‘Seokpa’ in Sohyeonseongrok. To examine the mechanisms of ...
-
이종성2018동서철학연구이 글은 연암 박지원의 철학사상에 나타난 장자 제물론의 사유방식을 특정한 철학적 주제와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해 확인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글이 주목하는 것은 사이존재의 발견과 명분론적 세계관에 대한 비판, 그리고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반성적 인식과 차별부정이라는 두 가지 주제이다. 이 글은 먼저 박지원의 존재론적 세계관에 투영된 장자 제물론 사유의 전형을 사이 존재라고 보고, 신선의 존재에...
-
정하연2011본고는 문학 교육에서도 작품을 통한 학생들의 가치 형성 측면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문제의식 하에서 소수자 관련 설화의 가치 교육적 요소를 추출하고 그 지도 방법을 고안하였다. 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과 교과서를 살펴본 결과, 현행 설화 교육에서는 구비전승된다는 설화의 장르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었다. 교육과정 차원에서는 설화에 대한 충분한 언급이 이루어...
-
주정화2009본고는 소수자 관점에서 조선후기 국문 시가에 형상된 하층여성의 삶을 탐색하여 그 유형과 특질을 파악하고, 이에 담긴 당대인의 시선을 포착하여 하층여성의 삶이 문학사에 표면적으로 부상한 원인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여성은 주류 집단인 남성 양반층에 대해 신체적으로 구별되고, 권력으로부터도 열세에 놓여있었던 차별받은 소수자였다. 특히, 조선후기 사회 안정을 위해 가부장제 질서를 더욱 강화해나가면...
-
김수경2008한국문화연구이 논문은 고려 말 음악문화를 실제적으로 담당했으나 주목받지 못했던 악공·기녀의 위상 및 역할을 고찰하여 그 의미를 밝힌 글이다.악공과 기녀는 고려시대의 신분제도상 최하층으로서 사회적인 지위와 대우의 측면에서는 소수자라고 할 수 있다.그러나 악기를 연주하고 가무를 연행하는 악(樂)의 수행 측면에서는 고려 말 궁중의 음악문화의 주체적인 역할을 담당했다고 볼 수 있다.그들의 역할은 궁중 의례나 사신 ...
-
신지영2003'신소설'에 대한 연구는 주로 텍스트의 이념성이나 문학적 완결성의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민족국가'라는 거대담론이나 '근대문학의 완결성'이라는 기준으로 신소설에 접근할 때 신소설이 가지고 있는 다층적 해석가능성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