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 사과 도두마두마 등이 와서 토물을 바치다.
왜 사과(司果) 도두마두마(都豆馬豆馬)·사맹(司猛) 성중(盛重)이 와서 토물을 바쳤다.
-
경상우도 병사 최한홍이 일본 사신의 배가 정박했다고 치계하다.
경상우도 병사 최한홍(崔漢洪)이 치계하기를,
“일본국왕(日本國王)의 사신 대원동당(大原東堂)과 대마도주(對馬島主) 종성장(宗盛長)의 특송 성중(盛重) 등의 배 13척이 와서 정박했는데, 그들이 보내온 사연에 ‘대마도주와 일본국왕이 힘을 합쳐 경오년에...
-
일본 사신들에게 잔치를 베풀다.
일본국 사신 대원동상(大原東堂)과 소이전(小二殿)의 사송 및 대마도주(對馬島主)의 특송과 상관인 성중(盛重) 등이 국왕이 서계를 올리고 또한 방물을 바쳤는데 대궐 뜰에서 잔치를 내렸다.
-
소세양이 일본 사신들에 대한 조연과 추자도의 문제를 의논하다.
예조판서 홍숙(洪淑)·참판 성운(成雲)이 선위사 소세양(蘇世讓)의 보고에 따라 아뢰기를,
“전일에 의논된 뜻을 잔치 때 이야기하는 기회에 반복해서 객인들에게 개유하니, 상관이 대답하기를 ‘국왕이 새로 서매, 새 도주가 조선을 위해 충성한 그 일을 가...
-
선위사 소세양이 왜구의 일에 관한 일본 사신들의 설명을 아뢰다.
선위사 소세양(蘇世讓)이 아뢰기를,
“신이 방 안에서 상관과 만났는데, 특송인 상관과 부관도 역시 만나러 왔었습니다. 신이 이어 상관에게 전교하신 왜구의 일을 말해 주자, 객인들이 서로 돌아보며 놀라고 질리는 기색이 있는 듯하다가, 상관의 말이 ‘우...
-
예조가 전별연에서 일본사신 성중과 나눈 얘기를 아뢰다.
예조가 아뢰기를,
“특송과 성중(盛重)에게 본조에서 전별연하던 날, 전별연이 끝나자 성중 등의 말이 ‘경오년에 반란이 있은 뒤 임신년에 붕중(弸中)이 나와, 그때의 변란을 선동한 도주의 평정을 청했을 때, 성순(盛順)이 그대로 ...
-
예조로 하여금 대마도 특송인 성중의 처리 문제를 정부에 보고케 하다.
전교하였다.
“예조의 공사에 ‘대마도의 특송인(特送人) 성중(盛重)은 명분이 없이 온 사람이니 대접하도록 허락할 수 없다는 뜻을 선위사로 하여금 일러주어 도로 돌려보내라고 행이함이 어떨까?’ 했는데, 이 말은 과연 합당하다. 그...
-
대마도 특송인 성중의 처리 문제를 대신들에게 의논하도록 하다.
전교하였다.
“대마도 특송인 성중(盛重)은 명분이 없이 나왔기 때문에 이미 돌려보내도록 했지만 만일 돌아가지 않으려 하면서 ‘이번에는 진실한 마음으로 나왔다.’ 한다면 억지로 거절할 수도 없을 것이고, 억지로 거절하게 된다면 분...
-
선위사의 회보를 받은 후 성중의 접대를 허락하기로 하다.
예조좌랑 이순증(李順曾)이 삼공 및 예조 당상의 뜻으로 아뢰기를,
“특송인을 보내지 말라는 것이 이미 약조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해조에서는 부득이 약조에 의거하여 접대를 허락하지 말도록 한 것입니다. 그러나 만일 일체 엄격한 말로 굳이 거절하여 억...
-
일본의 사신과 대마도 특송인 성중을 같이 상경하도록 하다.
선위사 소세량(蘇世良)이 장계하기를,
“신이 부산포에서 일본 사신에게 대마도의 특송인 성중(盛重)을 조약을 어겨가며 접대할 수 없다는 것으로 반복하여 개유하니, 성중이 공이 있다고 자칭하여 자못 성내는 기색을 띠며 듣지 않으려 하였을 뿐만 아니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