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관과 의관의 일을 논하다.
경연에 나아갔다. 강하기를 마치자, 대사간(大司諫) 강자평(姜子平)과 집의(執義) 강귀손(姜龜孫)이 이계동(李季仝)을 석방하는 것이 마땅치 않음을 논하니, …… 강귀손이 또 아뢰기를,
“근자에 ‘의원과 역자로서 그 업에 정통한 자는 동·서반에 탁용(...
-
전라도 경차관 김제신에게 돌산도를 전지로 만드는 일을 심의하여 아뢰라 하다.
전라도경차관 김제신(金悌臣)에게 하서하기를,
“사람들이 말하기를 돌산도(突山島)는 토지가 비옥하여 전지를 만들면 얻는 이익이 많을 것이라고 하는데, 조정의 의논이 분분하여 따를 바를 알지 못하니, 그대가 상세히 알아가지고 사목을 동봉하되, 절도사 이...
-
전라도 관찰사의 치계 내용을 가지고 재상들과 의논하다.
이보다 앞서 전라도관찰사가 치계하기를,
“제주 사람으로 진상할 방물을 가지고 오던 자가 왜적에게 빼앗겼으니, 적변이 그칠 동안은 군사를 뽑아서 호위하여 바다를 건너게 하소서.”
하니, 명하여 의논한 재상들에게 보이도록 하...
-
대사헌 이계동이 변경의 장수를 파면하는 법을 논의하다.
경연에 나아갔다. 강하기를 마치자, 대사헌 이계동(李季仝)이 아뢰기를,
“변방의 백성이 우연히 한 번 포로가 되면 변장이 죄를 받아 체임되거나 파직되는데, 이는 사실 온당치 못합니다. 온성(穩城) 한 고을로 말하더라도 만호가 방수하는 곳은 본읍과의 ...
-
천변에 대해 정치를 바로 잡기를 청한 대사헌 이계동 등의 상서문.
사헌부 대사헌 이계동(李季仝) 등이 상서하기를,
“…… 신 등이 삼가 듣기로는 ≪춘추(春秋)≫에서 오랑캐에 대한 일을 기록함에 있어, ‘오는 자는 거절하지 않고 가는 자는 붙들지 않는다.’ 고 하였습니다. 이는 진실로 오랑캐들은 중국을 다스리는 방...
-
이계동이 작산 갑사로 수군을 충당시키는 일을 아뢰다.
경기관찰사 이계동(李季仝)이 와서 아뢰기를,
“…… 또 영종(永宗)·화량(花梁)·초지(草芝)·제물(濟物) 등 포구의 수군은 보인이 없는 자도 있고 또 조호(助戶)가 끊긴 자도 있으니, 청컨대 자질이 용렬한 작산갑사(作散甲士)로 충당하게 하소서.”
...
-
선군 수군의 계승 문제에 대해 논하다.
병조에서 아뢰기를,
“서북면도원수(西北面都元帥) 이극균(李克均)이 계달한 가운데, ‘지금 새로운 군적사목에 조군·수군 자손은 비록 다른 역에 속하였다 하더라도 ≪대전(大典)≫에 의하여 대대로 그 직업을 전하게 하였으나, 이 법은...
-
윤필상 ․ 노사신 등이 야인 문제를 의논하다.
대간이 아뢰기를 …… 윤필상·노사신·신승선(愼承善)·정문형(鄭文炯)이 의논드리기를,
“근래에 야인들이 변방을 침범하여 마지않으니, 죄를 문책하는 군사를 일으키지 않을 수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나라를 보전하고 백성을 편안히 할 도리로써 생각한다면...
-
윤필상 등이 동아망개를 우리 땅에 와서 살게 할 것인가를 의논드리다.
동아망개(童阿亡介)가 〈우리 땅에〉와서 살게 하는 것이 마땅한지 그른지에 대하여 의논하였는데, 윤필상(尹弼商)·노사신(盧思愼)·유지(柳輊)가 의논드리기를,
“이극균(李克均)이 오래 전부터 오랑캐의 정상을 익히 들어서 양쪽 형세를 갖추 알고 있으니, ...
-
왜의 녹도침입에 대해 어세겸 ․ 한치형 등이 의논드리다.
명하여 녹도 왜변 일에 대하여 의논하게 하니, 어세겸·한치형·이극돈·성준·노공필(盧公弼)·박안성(朴安性)·이계동(李季仝)·박건(朴楗)·조익정(趙益貞)·김제신(金悌臣)·허침(許琛)·이계남(李季男)·조숙기(曺淑沂)·이손(李蓀)·정석견(鄭錫堅)이 의논드리기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