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지사 이경동이 부신이 없는 영승의 사자에게 요를 주라고 아뢰다.
경연에 나아갔다. 강하기를 마치자, 동지사 이경동(李瓊仝)이 아뢰기를,
“지난번에 일본이 나라가 어지러웠을 때 그 대신들이 왕에게 아뢰지도 않고서 함부로 사신을 보내어 국왕의 사신이라고 일컬으며 한정없이 요청을 하였는데도 조정에서 속이는 것을 알지 ...
-
일본국왕이 붕중을 시켜 화친을 청하게 하다.
일본국왕이 대마도주에게 신칙하여 경오년 반란 때의 왜적(倭賊)을 베어, 붕중(弸中)을 시켜 머리를 함에 담아 와서 바치고 화친을 청하게 하였다. 처음에 홍문관(弘文館)이 상소하기를,
“웅천(熊川) 제포(薺浦)의 치욕을 아직 통쾌하게 씻지 못하였는데,...
-
상이 석성의 생사당 ․ 항왜의 처치 등에 대해 논의하다.
상이 별전에 나아가 ≪주역≫을 강하였다. 특진관 김수(金睟)가 아뢰기를,
“석상서(石尙書)의 생사와 세 대장의 일에 관해서는 논의가 일치되지 않는데 대신이 병고가 있어서 귀일시킬 수가 없습니다.”
하니, 상이 이르기를,
...
-
일본과의 강화 ․ 군사 제도의 일 ․ 도원수의 체직 등을 논하다.
묘정에 상이 별전에 나아가 ≪주역≫을 강하였다. 영사 유성룡(柳成龍)이 나아가 아뢰기를,
“초관 정예(鄭禮)가 남쪽에서 와서 말하기를 ‘장수는 거느리는 군사도 없이 산속에 막을 치고 단지 아병만을 데리고서 보따리를 묶어놓고 변을 기다리니, 적이 들이...
-
영사 정탁 등과 성영의 처벌 ․ 도원수의 체직 등의 일을 논의하다.
상이 별전에 나아가 ≪주역≫을 강하였다. 영사 정탁(鄭琢), 동지사 이항복(李恒福), 참찬관 김우옹(金宇顒), 특진관 유영경(柳永慶)·허진(許晉), 참찬관 정구(鄭逑), 시독관 박홍로(朴弘老), 지평 유희서(柳熙緖), 정언 이형욱(李馨郁), 기사관 신성기(...
-
급제 황혁을 공초하다.
급제 황혁(黃赫)이 공초하였다.
“임진년 변란 초에 왕자가 도성을 나가자 연로의 수령들은 먼저 왕자를 피하는 데 급급하였으므로 모든 읍이 텅 비어 있었습니다. 단지 철원부사 김협(金⿰車夾) · 회양부사 김연광(金鍊光)·통천군수 정구(鄭逑) 등만이 왕...
-
대신들의 황혁과 황정욱의 정죄에 대해 논의하다.
묘시에 상이 별전으로 나아가 ≪주역≫을 강하였다. 영사 김응남(金應南), 지사 김수(金睟), 대사헌 김우옹(金宇顒), 특진관 이노(李輅), 대사간 이정형(李廷馨), 특진관 강신(姜紳), 참찬관 정구(鄭逑), 시강관 김시헌(金時獻), 검토관 정경세(鄭經世),...
-
우부승지 정구가 황정욱의 형신을 건의하다.
우부승지 정구(鄭逑)가 황정욱(黃廷彧)의 추안을 입계하기를,
“황정욱이 승복하지 않으니 형추하여 사실을 캐내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상이 이르기를,
“나는 참으로 말할 수 없다. 그러나 황정욱은 국가의 훈신...
-
용절을 맞이하는 의주에 대해 정구에게 전교하다.
용절을 맞이하는 의주에 대해 비망기로 정구(鄭逑)에게 전교하였다.
“만일 ≪대명회전(大明會典)≫에 용절을 맞이하는 의주가 없으면 마땅히 양사에게 고하기를 ‘우리나라는 모든 의주를 다 ≪회전≫을 따르는데 ≪회전≫에 이에 대한 의주가 없고 이전에도 이런...
-
상이 봉왜명사를 맞이하기 위해 모화관에 거둥하다.
인시에 상이 모화관에 거둥하였는데 봉왜명사를 맞이하기 위해서였다. 막차로 들어가 좌부승지 정구(鄭逑)에게 전교하기를,
“전에는 명사가 홍제원(弘濟院)에 도착하면 원접사가 즉시 종사관을 보내어 당도했음을 아뢰어 알렸으나 지금은 홍제원이 없고 시간도 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