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가가 선천에서 유숙하였는데 중국이 조선을 의심한 일을 풀어 주다.
대가가 저녁에 선천에서 유숙하였다. 요동순안어사(遼東巡按御使) 이시자(李時孶)가 지휘 송국신(宋國臣)을 보내어 자문을 가지고 왔는데 그 자문에 ‘그대 나라가 불궤를 도모한다.’ 고 하고, 또,
“팔도의 관찰사가 어찌 한마디도 왜적에 대하여 언급한 것...
-
왜란이 일어나기 전 명나라가 우리나라와 유구 등이 합쳐 일본을 치려고 했다고 전하다.
당초에 우리 통신사 황윤길(黃允吉) 등이 일본을 갔을 적에, 풍신수길(豊臣秀吉)이 우리나라에 글을 보내어 우리나라로 하여금 군마를 정돈하여 일본과 더불어 연합해서 곧장 명나라를 침범하자고 하였으나 우리나라는 의리를 들어 거절하고 바로 그해 4월에 성절사 김...
-
정철 등을 인견하고 평양성의 왜적, 요동 망명 등을 논의하다.
상이 행궁의 동헌에 나와 삼도도체찰사 정철(鄭澈)을 인견하였다.【좌의정 윤두수(尹斗壽), 승지 민준(閔濬), 주서(注書) 강욱(康昱).】상이 이르기를,
“경은 잘 가라. 성공하면 국가의 다행이다.”
하고, 또 이르기를, ...
-
대신을 인견하고 중국군의 출정 상황, 함경도의 왜적 동향 등을 논의하다.
묘시 정각에 상이 동헌(東軒)에 나아가 대신과【윤두수(尹斗壽)】비변사 당상을【윤근수(尹根壽)․홍성민(洪聖民)․한응인(韓應寅)․이항복(李恒福)․이성중(李誠中)․이산보(李山甫)․구사맹(具思孟)․이희득(李希得)】인견하였는데, 좌부승지 신점(申點)이 입시하였다. ...
-
영의정 최흥원 등을 인견하고 군량의 주선, 함경도 왜적의 토벌 등을 논의하다.
영의정 최흥원(崔興源), 겸호조판서 홍성민(洪聖民), 청천군 한준(韓準), 대사헌 정창연(鄭昌衍), 아천군 이증(李增), 병조판서 이항복(李恒福), 이조판서 이산보(李山甫), 행이조참판 구사맹(具思孟), 행호조참판 윤자신(尹自新), 형조참판 이희득(李希得)...
-
왜의 화친 요구는 머지않아 침범하려는 의도이므로 방어를 강화하도록 명하다.
전교하였다.
“흉적이 장차 침범하려면 반드시 먼저 화친을 요구하는데 이것은 이미 경험한 사실로서 허의후(許議後)의【중국 사람으로서 일찍이 왜에 포로로 잡혀 일본에 있으면서 중국에 글을 올렸다.】글 가운데에도 이 말이 있는 것 같...
-
비변사 유사당상을 인견하여 중국에 있는 군량의 운반 ․ 송유진 역옥의 처리 등을 논의하다.
상이 편전에 나아가 대신과 비변사 유사당상을 인견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접반사를 속히 차견해야겠는데 윤자신(尹自新)이 어떠한가?”
하니, 유성룡(柳成龍)이 아뢰기를,
“어제 신이 최흥원(崔興源)과 같이 앉아 있...
-
왜적의 상황을 중국 장수 주홍모에게 알리다.
상이 승문원에 명하여 근일의 적정을 써서 유격 주홍모(周弘謨)에게 보이라고 하였는데, 그 대략은 다음과 같다.
“금년 정월 28일 별장 한명련(韓明璉)이 비직에게 보내온 정문에 의하면 ‘정예를 영솔하고 도로 가에 매복하여 있다가 적병 1명을 생포하여...
-
요동 도지휘사사가 왜정에 관하여 자문을 보내다.
요동도지휘사사(遼東都指揮使司)가 왜정에 관하여 보낸 자문은 다음과 같다.
“본월 4일 흠차순무요동지방찬리군무겸관비왜(欽差巡撫遼東地方贊理軍務兼管備倭) 도찰원우첨도어사(都察院右僉都御史) 이(李)의 전사에 대한 안험을 접수하였는 바,...
-
접반사 김수가 중국 사신에게 청정이 떠나가고 노야가 바다를 건넌 뒤에 사은하겠다고 하다.
접반사 김수(金睟)가 치계하였다.
“본월 19일에 중국 사신이 해인사에 당도하였는데 이원익(李元翼)도 가서 문후하였습니다. 신이 사은하는 것의 합당 여부에 대해 비변사에서 말한 두 조목의 의사로써 이원익과 같은 사연으로 품고하였더니, 처음에는 ‘이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