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성호2020본고에서는 이기지(李器之)의 연행록인 『일암연기(一庵燕記)』에 내재된 그의 견문을 문질론(文質論)과 무실론(務實論)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일암연기』에 대해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그 면모가 일정정도 밝혀졌지만 명·청 교체에 대한 일암의 사유(思惟)나 화이관(華夷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심도 있게 다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그리고 그의 시(詩)·화(畵) 지향(志向)에 대한 연구도 미진한 상태이며, ...
-
권태주2016본 연구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였던 홍대용이 평생에 걸쳐 이룩해 낸 학문적 결정체인 「의산문답」에 담긴 교육 요소를 검토하고, 교수·학습 방안의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201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학』 교과서를 살펴보면 현대문학이 고전문학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수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고, 그 중에서도 특히 서정 갈래의 작품이 월등하게 많은 반면 교술 갈래의 작품은 수록 빈도가 매우 미...
-
정성훈2016본고는 담헌(湛軒) 홍대용(洪大容: 1731~1783)』과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의 작가정신을 비교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이를 위해 두 작가의 대표 저작이라 할 수 있는 『의산문답(醫山問答)』과 『열하일기(熱河日記)』에 주목하...
-
어윤정2014담헌 홍대용(1731-1783)은 이른바 ‘북학파’로 규정되는 실학자로, 그는 낙학의 심성론과 서양 자연과학사상 등을 수용하여 새로운 인간관․세계관․우주관을 마련하여 북학사상의 형성과 발전에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받는 학자이다. 이 논문에서는 조선후기 과거폐단 양상과 그에 대해 당대 학자인 홍대용이 어떻게 인식하였으며 어떠한 해결책을 제시하였는지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조선후기 과거폐단은 주로 ...
-
김영선2014인문사회과학연구병자호란 이후 청나라에 조공(朝貢) 관계를 맺고도, 조선 문인들은 청나라를 중화(中華로) 여기지 않았다. 그랬기에 연행(燕行) 초기에는 기록을 별로 남기지 않았으며, 북경(北京)에 가서도 그곳 지식인들과 한시를 주고받거나 필담(筆談)을 나누지 않았다. 1765년의 홍대용(洪大容), 김재행(金在行)이나 1780년의 박지원(朴趾源)에 와서야 청나라 지식인들과 필담을 나누거나 면지를 주고받게 되었다. ...
-
이태휘2013논 문 요 약 담헌 홍대용의 자연과학사상에 대한 고찰 이 태 휘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지도교수 강대민) 조선후기 실학파 학자들은 새로운 것을 환영했고, 다른 지식층보다 진취적이고 변화를 바라는 계층을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변화에의 욕구가 그들의 학문상에 가장 잘 나타날 수 있는 분야가 바로 과학기술이었다. 17세기 이후 선교사를 비롯한 서양 사람들은 포교...
-
채송화2013本文的研究目标是深入分析湛轩洪大容的韩文燕行录——《乙丙燕行录》中与女性相关的内容,并通过与《燕记》等其他洪大容燕行作品的比较,来发现《乙丙燕行录》的独特文学价值。 为了实现以上目标,主要采取了如下三种研究方法。一是将《乙丙燕行录》与现存的洪大容所有汉文燕行作品进行比较分析;二是以女性读者关联性为中心分析《乙丙燕行录》的内容与表现方式;三是以丰富多样的写作方式为中心阐明《乙丙燕行录》的文学艺术价值。 在进行作品分析之前,本文首先对洪大容燕...
-
천금매2011본고는 18∼19세기 朝鮮과 淸朝 문인들의 교류척독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우선 현재까지 내용을 확보한 27종 교류척독 자료를 소개하고, 다음 이러한 척독자료를 바탕으로 18세기 북학파와 19세기 북학파 후계자들의 朝·淸 문화교류의 흐름과 양상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18∼19세기 朝·淸 문인들의 교류척독이 가지는 특징과 의의를 밝혀보았다. 현재까지 필자가 확인한 교류척독 자료는 총 34종이다. ...
-
이장주2007본 논문에서는 조선 시대의 산학서 〈주해수용〉을 통해서 우리 전통 수학의 한 전형을 살펴보고 그 활용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산학의 활용은 학생들에게 보다 강한 학습 동기를 유발하게 할 수 있고, 동시에 문화적 정체성 내지 역사 의식을 제공해 줄 수 있다는...
-
이종구2003이 논문은 실학이 하나의 脈을 이루어 사상으로서의 학파를 형성한 北學波의 巨匠 湛軒 洪大容(1731~1783)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18세기 사회적 모순을 변혁하는데 교육사상과 교육제도의 개혁이 그 사회가 안고 있는 총체적 모순의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