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현주2022한국문예비평연구Korean people in Central Asia have not lost their identity as Koreans for more than 160 years. They have a unique history of migration in that ...
-
정환국2021한국문학연구This article examines the identity of the 18th-century literati in Jeju Island by analyzing Jang Han-cheol's travel record Pyohaerok (漂海錄). Des...
-
이규락2020기초조형학연구인터넷 환경과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빠르게 변화하는 뉴미디어와 디지털 시대에, 기존의 종이 신문사는 다양화된 매체 환경에서의 경쟁 심화와 인터넷 모바일 라이프의 확산으로 인한 신문 구독률 저하, 인터넷 신문과 포털사이트 뉴스의 등장 및 멀티미디어 등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트렌드 반영에의 한계 등으로 인해 위기를 맞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종이 신문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인터넷 신문관련 선행 논문...
-
김수자2018한국문화연구장충단공원은 대한제국 시기에 건립된 장충단을 일제가 공원으로 만든 곳이다. 장충단공원은 일제 시기, 해방, 정부수립, 전쟁 등의 역사적 시간들을 거치면서 복합적인 성격을 갖는 공간으로, 다양한 의미와 상징들이 ‘부딪치는’ 공간으로, 그리고 해방 이후 식민유산 처리의 복합적 성격을 잘 보여주는 ‘역사 공간’이다. 장충단은 고종이 국가를 위해 순국한 충신, 열사들을 추모하기 위해 단을 조성한 제향공간...
-
이인자2018在外韓人硏究이 논문은 토장(土葬)의 문화를 가진 재일 동포1세에 대해서, 특히 한국에 있어서는변두리라고 할 수 있는 제주도 고내리 출신자의 죽음과 삶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1945 년 해방과 더불어 생계의 터전이 일본이던 사람이 많았던 고내리는 일본에서 돌아온 사람들로 넘쳐나 혼란스러운 상태가 계속되고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혼란에 박차를 가하듯이 많은 제주도민의 생명을 앗아간 4․3사건및 한국전쟁이 발발...
-
곽암2017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본 논문은 다양한 소수민족으로 구성된 중국의 가장 대표적 소수민족인 내몽고자치구의 몽고족을 중심으로 그들의 문화상징에 대한 인식과 민족 정체성 확립을 위한 문화상징요소를 설문조사를 통해 체계적으로 정립하여 향후 몽고족의 대외 홍보 및 디자인에 응용 가능한 ...
-
이지영2017한국민족문화본 글은 감정을 설명변수로 하여 국제정치의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의 하나이다. 냉전의 붕괴로 이데올로기의 대립이 사라지자 헌팅턴은 국제사회의 갈등의 원인을 문명의 충돌에서 찾았다. 그러나 9.11 이후의 국제사회는 문명이 아닌 감정의 충돌로 갈등이 확산되고 있다. 남북관계, 한일관계, 한중관계, 한미관계 등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관계 또한 원한, 애정, 열등감, 수치심, 충성심, 배신감, 멸시...
-
임형백2016다문화와 평화이 논문은 조선족의 정체성과 중국의 국가통합의 갈등을 다루고 있다. 우리는 조선족이 우리와 같은 정체성을 유지하기를 바라는 반면, 중국은 조선족이 중국내의 소수민족으로서 남기를 바란다. 중국의 소수민족은 중국인구의 약 8%를 차지하는 반면 이들의 거주지는 ...
-
이수열2014한국민족문화근대 시기 재조일본인에 대한 연구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최근의 연구는 적어도 이주일본인들을 ‘침략의 첨병’으로만 바라보는 기존의 연구와는 관점을 달리하고 있다. 한마디로 식민지 시기 연구는 ‘수탈이냐 근대화냐’하는 이분법적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고 있는 것이다. 본고의 목적은 재조일본인들을 세대적으로 구분하여, 그중에서도 주로 식민 2세들의 경험과 의식을 그들이 남긴 ...
-
정헌주2014국제관계연구한국에서 반일감정(anti-Japanese sentiment)의 기원과 발전은 복합적이며 다층적인 현상이다. 즉, 한국인에 일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과거 일제 강점기에 대한 역사적 경험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해방 이후 한일 관계의 전개에 따라 대일감정의 정도는 변화하여 왔던 것 역시 사실이다. 최근에는 일본의 우경화와 군사대국화, 독도 영토갈등, 역사교과서 왜곡, 일본군 위안부 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