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 경차관 박호문이 정의 ․ 대정현의 이동을 건의하다.
제주경차관(濟州敬差官) 사복소윤(司僕少尹) 박호문(朴好問)이 아뢰기를,
“정의(旌義) ․ 대정(大靜) 두 현의 성내에 모두 샘물이 없기 때문에, 정의현에서는 15리 밖에서 물을 길어 오고, 대정현에서는 5리 밖에서 물을 길어 오니, 만일 왜구가 들어...
-
제주도 방어용으로 현자철령피 영전과 황자진령피 영전 등을 주다.
병조에서 제주안무사의 정계에 의거하여, 제주․정의(旌義)․대정(大靜) 등 고을에 방어소용(防禦所用)인 현자철령피(玄字鐵翎皮) 영전(翎箭)․황자진령피(黃字鎭翎皮) 영전(翎箭)․금촉(金鏃)․주화(走火) 등물을 주기를 청하므로, 그대로 따랐다.
-
제주 도안무사 한승순이 왜선의 정박할 요해지와 수비 방어하는 조건을 보고하다.
제주도안무사 한승순(韓承舜)이 아뢰기를,
“의정부의 수교에, ‘본주가 승평한 지 오래 되므로 수비 방어하는 계책에 혹 소루함이 있을까 하여 신에게 봉화(烽火)와 척후하고 망보는 것을 삼가게 하고, 군대를 정돈하여 방수하라.’ 하였으며, 또 ‘왜선의 ...
-
함길도 ․ 평안도 ․ 전라도 ․ 경상도의 요충인 현의 방어에 관한 이조의 상소문.
이조에서 아뢰기를,
“함길도의 회령(會寧) ․ 종성(鍾城) ․ 온성(穩城) ․ 경흥(慶興) ․ 부거(富居)와 평안도의 무창(茂昌) ․ 자성(慈城) 등의 읍은 지경이 야인과 연하여 있고, 전라도의 진도(珍島)와 경상도의 남해(南海...
-
제주 안무사가 세 곳에 성을 쌓아 지키고 방어하기를 청하다.
제주안무사가 치계하기를,
“이제 병조의 이문(移文)에 따라 정의현(旌義縣)의 성내를 살피온즉, 성안은 조금도 샘물이 나올 데가 없지만, 성 밖의 남쪽에는 흐르는 내가 있어서 물이 깊고 마르지 않사오니, 성을 이곳으로 옮길 만하옵...
-
왜선 한 척을 잡다.
제주도안무사(濟州都安撫使) 신처강(辛處康)이 치계(馳啓)하기를,
“지대정현사(知大靜縣事) 강순(康純)이 왜선 한 척을 만나서 두 사람은 쏘아 죽이고 다른 아홉 사람을 사로잡았는데, 한 곳에 모아 두는 것이 마땅하지 않으므로, 본주 및 대정(大靜) ․...
-
병조에서 각도의 내지에도 거진을 설치하고 인근 고을을 익에 분속시킬 것을 청하다.
병조에서 아뢰기를,
“각도 연해의 요해지에는 진을 설치하고 진장(鎭將)을 두어 그 방어를 견고히 하고 있으나, 내륙의 주현에는 아직 진을 설치하지 않아서 만약 구적(寇賊)이 발생하여 변진이 감히 이를 막지 못하게 되면, 반드시 ...
-
병조에서 올린 각도 거진의 습진사목.
병조에서 아뢰기를,
“제도 거진(巨鎭)의 습진사목(習陣事目)입니다.
이제 제도의 중익·좌익·우익을 혁파하고 거진을 설치하였는데, 그 습진은 예전 기일인 정월 22일, 11월 22일에 하니, 청컨대 제...
-
병조의 건의로 제주를 주진으로 삼고 정의 ․ 대정의 두진을 소속시키다.
병조에서 아뢰기를,
“이제 교지를 내려서 제주(濟州) · 정의(旌義) · 대정(大靜) 등의 3읍도 또한 진을 설치하도록 하였으니, 청컨대 제주를 주진으로 삼고, 정의 · 대정 양 읍을 소속하게 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
왜노가 노략질한 물건을 가덕도에 옮겨 두다.
영의정 김수동(金壽童)·우의정 성희안(成希顔)이 아뢰기를,
“제주 방어소(防禦所)가 본래 7개 처로 지금 권관(權管)통훈(通訓)통훈대부(通訓大夫). 문관 정3품의 하(下)계. 당하관(堂下官)이 오를 수 있는 가장 높은 자리였다. 기술관이나 서얼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