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만관에서 원외랑 유황상을 접대하고 평양수복에 대해 논의하다.
상이 원외랑(員外郞) 유황상(劉黃裳)을 용만관(龍灣館)에서 접대하였다. 상이 말하기를,
“소방의 일 때문에 얼음이 얼고 눈이 덮인 먼 길을 산을 넘고 강을 건너오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삼가 배사합니다.”
하니, 유황상이 ...
-
용만관에서 원황을 영접하고 포를 옮길 소의 징발을 의논하다.
이날 병부주사(兵部主事) 원황(袁黃)이 압록강을 건넜다. 상이 용만관에 나아가 영접하고 또 유원외랑(劉員外郞)을 맞이하였는데, 원황이 말하기를,
“명나라에서 귀국을 위하여 많은 군사를 내었는데 만약 안정(安定)에 도착하였다가 양식이 떨어져 퇴군하게 ...
-
유황상과 원황이 왜구 ․ 인사 ․ 무기 등에 대해 조선에 자문을 보내다.
대명흠차경략방해어왜군무병부(大明欽差經略防海禦倭軍務兵部)【무고청리사원외랑(武庫淸吏司員外郞) 유황상(劉黃裳), 직방청리사주사(職方淸吏司主事) 】가 이자(移咨)하였다.
“그대 나라는 본래 문물이 돈후하고 대대로 충정이 독실하였는데, 근래에 왜이가 무도하...
-
비변사가 이제독이 북도 왜적을 벤 장계를 보여달라고 청한 것에 대해 논의하다.
비변사가 아뢰기를,
“영의정 최흥원(崔興源)의 장계를 보니 ‘이제독(李提督)은 북도에서 적왜를 벤 일은 모두 바로 유원외(劉員外)와 원주사(袁主事) 관하의 사람들이 한 것인데도 제독의 앞에 문보하지 않았다고 하며 본도의 장계를 ...
-
유황상과 원황이 중국군의 상황과 진군에 대해 이자하다.
경략찬획계요보정산동등처방해어왜사무(經略贊畫薊遼保定山東等處防海禦倭事務)에 흠차된 4품관 병부무고청리사원외랑(兵部武庫淸吏司員外郞) 유황상(劉黃裳)과 직방청리사주사(職方淸吏司主事) 원황(袁黃)이 이자하였다.
“대개 급히 진병하여 왜적을 섬멸하고 곧바로 왕...
-
김수가 찬획의 행군도 정확한 통보가 없다고 치계하다.
원외랑(員外郞) 유황상(劉黃裳)의 접반사 김수(金睟)가 치계 하였다.
“찬획(贊劃) 유황상이 압록강을 건너는 날짜를 여러 차례 물어보았으나 중군·기패관(旗牌官) 등은 매번 ‘유정(劉綎)의 병마가 강을 건너 먼저 출발하고 찬획이 그 다음에 출발하며, ...
-
중국 군사의 군량을 위해 둔전을 설치하는 것이 좋겠다는 비망기를 내리다.
대신에게 비망기를 내려 일렀다.
“생각건대 오늘날의 국세는, 적병이 다시 창궐하지는 않으나 인민이 절로 소진되어 나라를 지킬 힘이 없는 것 같다. 백성은 기근과 병란 때문에 죽고 양식은 군량과 접대로 인해 고갈되었는데 적병이 국...
-
사은사 편에 부칠 주문의 내용을 바꿀 것을 지시하다.
정원이 주본의 초본을 가지고 아뢰기를,
“이 주본은 이번 사은사 편에 부송해야 된다고 합니다.”
하니, 알았다고 전교하였다. 이어 전교하기를,
“이 주문에 적정을 상세히 ...
-
승문원이 중국에 보낼 주문의 바뀐 내용에 대해 보고하다.
승문원이 아뢰기를,
“이번의 주문의 내용은 반복하여 참증해서 미진한 곳이 없게 해야 한다는 성교를 받들고 다시 상의하였습니다. 사용재(謝用榟) 왕래한 일은 첨입해도 무방하겠습니다만, 왜적이 스스로는 높은 데 앉아 있고 중국 사신...
-
정원에서 중국 장수가 석상서 등이 유총병에게 보내는 서신을 가지고 영남으로 간다고 보고하다.
정원이 아뢰기를,
“통사 송업남(宋業男)이 중국 장수 웅수비(熊守備)가【이름은 웅정동(熊正東)임】신임하는 사람에게 탐문한 바에 의하면, 웅이 바로 장각로(張閣老)의 매부이고, 지금 영남을 향하여 가는데 장각로·석상서(石尙書)·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