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구가 쳐들어 와, 동래부사 송상현 등이 죽다.
왜구가 침범해 왔다. 이보다 먼저 일본 적추 평수길(平秀吉)이 관백이 되어【당초에 수길이 매우 빈천하여 꼴을 베어 팔아 생활하였다. 전 관백이 출행할 때 옷을 벗은 채 수레 앞에 누워 있었다. 부하들이 죽이려고 하자 관백이 제지하고 나서 소원을 물었다. 수...
-
왜적의 기세가 강해지자 중국은 심유경을 파견하여 강화를 꾀하다.
이때에 왜적의 기세가 날로 성해지자 명나라가 깊이 걱정하였다. 병부상서 석성(石星)이 비밀히 심유경(沈惟敬)을 파견하였는데, 경영첨주유격(京營添住遊擊)이라고 가칭하고서 적정을 탐지한다고 핑계하였다. 그러나 실지는 왜적의 군영으로 들어가 왜적과 상견하여 왜적...
-
중국 차관을 접견하기 전에 윤근수 등과 중국에 청병하는 일 등을 논의하다.
상이 하시(夏時)·황응양(黃應陽)·서일관(徐一貫) 등 세 사람을 만나기 위하여 용만관(龍灣館)에 나아갔다. 이에 앞서 윤근수와 도승지 박숭원(朴崇元), 봉교(奉敎) 기자헌(奇自獻)을 인견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그 사람들이 왜와 서로 안다 하니, ...
-
윤두수를 인견하고 김천일의 의병, 곽재우와 김수의 갈등, 왜적의 동향을 논의하다.
좌의정 윤두수(尹斗壽)를 인견하였다. 공조판서 한응인(韓應寅), 병조판서 이항복(李恒福), 호조판서 이성중(李誠中), 형조참판 신잡(申磼), 도승지 유근(柳根), 가주서 강욱(康昱), 봉교 기자헌(奇自獻)이 입시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경은 무슨 ...
-
비변사가 중국군 장수와 주고 받은 왜적의 정세 및 조선의 형세에 대한 문답.
중국에서 군사를 내어 구원하려고 왜의 정세와 우리나라의 형세를 조목으로 물었다. 비변사가 조목에 따라 진술하였는데, 그 문답의 대략은 다음과 같다.
1. 문:왜노의 분명한 수효는 얼마이며, 어떤 정세이고, 어디에 잠복하고 있는가? ...
-
윤두수 등을 인견하여 심유경의 강화 노력, 조 ․ 중 합동 작전 등을 논의하다.
좌의정 윤두수, 행 예조 판서 윤근수, 우찬성 최황(崔滉), 부제학 김응남(金應南), 공조판서 한응인(韓應寅), 병조판서 이항복(李恒福), 이조판서 이산보(李山甫), 행 이조 참판 구사맹(具思孟), 대사헌 이덕형(李德馨), 병조참판 민여경(閔汝慶), 집의 ...
-
윤근수가 동참장 ․ 장도사를 만나 평양 왜적의 동태를 상의하고 보고하다.
예조판서 윤근수(尹根壽)가 아뢰었다.
“동참장(佟參將)이 청심당(淸心堂)에 있는데 신이 오늘 나아가 보니 참장이 장도사(張都司)와 같이 앉아 있었습니다. 참장이 ‘부장 이여백(李如栢)이 4일에 정주(定州) 동쪽에 먼저 도착하여 김자귀(金子貴)로 하여...
-
유황상과 원황이 왜구 ․ 인사 ․ 무기 등에 대해 조선에 자문을 보내다.
대명흠차경략방해어왜군무병부(大明欽差經略防海禦倭軍務兵部)【무고청리사원외랑(武庫淸吏司員外郞) 유황상(劉黃裳), 직방청리사주사(職方淸吏司主事) 】가 이자(移咨)하였다.
“그대 나라는 본래 문물이 돈후하고 대대로 충정이 독실하였는데, 근래에 왜이가 무도하...
-
좌상 윤두수 등을 인견하고 양호의 군량 수송, 이제독의 사우를 짓는 일을 논의하다.
상이 좌의정 윤두수(尹斗壽), 예조판서 윤근수(尹根壽), 이조판서 이산보(李山甫), 병조판서 이항복(李恒福), 이조참판 구사맹(具思孟), 도승지 유근(柳根), 병조참의 신점(申點), 동부승지 심희수(沈喜壽)를 인견하였다. 두수가 아뢰기를,
“평양을 ...
-
정병과 양식을 조치하라고 전교하다.
빈청에 전교하였다.
“적의 우두머리 수길(秀吉)의 흉악한 계책은 헤아리기 어렵고 왜적의 성질은 날래고 사나우니 혹시라도 여러 도의 적을 모아서 다시 명나라 군사에게 항거할까 두렵다. 만약 한곳에 모인다면 그 수효가 10만을 넘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