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李炯周2021한일관계사연구본 연구는 1794년 재판(裁判) 히라타 아사에몬(平田淺右衛門)의 대리인(名代)으로 조일 교섭에 투입된 가와치 도쿠자에몬(河內德左衛門)의 사례를 통해, 18세기 말을 전환점으로 하여 재판의 대리인 파견이 급증하는 이유를 재고하려는 것이다. 18세기 말 이후 19세기까지 재판의 대리인 파견이 급증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실제로 재판의 업무 적합한 인물을 임명하기 위해 취해진 편의상의 조치라는 지적도…
-
許芝銀2019한일관계사연구왜관은 조선인과 일본인의 공식적인 소통과 접촉을 위해 허용된 공간이었다. 한편, 조선인과 일본인의 접촉과 소통을 막기 위해 구분된 공간이라는 이중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조선인이 왜관을 출입하려면 동래부사의 허가가 있어야 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그러나 조선인은 비공식적으로 빈번하게 왜관을 방문했다. 일본인은 왜관을 자신들의 영역으로 인식했기 때문에 예고도 없이 무단으로 왜관을 방문하는 조선인…
-
정성일2018한일관계사연구조선시대 대일(對日) 외교와 무역의 실무를 맡은 사람들은 왜학역관(倭學譯官) 또는 왜어역관(倭語譯官)으로 불린 조선 정부의 일본어 통역관들이었다. 이들은 단순한 통역 역할을 넘어 외교와 통상의 전문가로서 활약하였다. 이 글에서는 왜관의 일본인이 작성한 『관수일기(館守日記)』와 그것의 목록집이라 할 수 있는 『분류사고(分類事考)』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기간은 1854년부터 1863년까지 …
-
전성현2018한일관계사연구부산의 개항과 개항장에 설치될 일본인 거주지를 둘러싸고 조선과 일본은 입장 차이를 드러냈다. 먼저, 조선과 일본은 개항과 더불어 개항장에 설치된 외국인 거주지를 ‘조계’와 ‘거류지’로 대별하여 사용했다. 일본이 처음부터 끝까지 ‘거류지’라는 명칭을 사용한 것과 달리 조선은 공식적인 명칭으로 줄곧 ‘조계’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조계’를 사용하지 않고 ‘거류지’를 사용한 원산과 마산의 경우, 모두 일본…
-
장순순2018한일관계사연구본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조일 역관들이 외교실무 교섭과 무역의 장이었던 왜관을 어떻게 이해하였는가를 고찰하기 위하여 조일 양국의 역관이 상호교섭 속에서 편찬·생산한 기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상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대일업무에 관여했던 조선 역관이 남긴 기록의 특징은 대부분이 17세기 후반 이후의 기록이라는 점이다. 둘째, 역관 기록은 왜관에서 대일업무에 오랫동안 종사한 경험이…
-
장순순2016한일관계사연구본 연구는 왜관에서 조선여성과의 교간이 발각되어 對馬藩으로 압송된 범죄 일본인이 對馬藩에서 조일 간에 약조로 합의된 범죄자 처벌규정에 입각하여 처리되었는지 살펴보고, 교간사건에 대한 양국의 인식과 그 대처 양상은 어떠했는지를 밝혀보는데 목적이 있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조선후기에 조선측은 왜관에 거주하던 일본인이 조선인 여성을 왜관으로 끌어들여 성관계를 한 사실(교간)이 발각되면 …
-
양흥숙2015한국민족문화영도는 부산광역시 내에서 육지와 200여 미터 떨어진 가까운 유인도이고 하나의 자치구를 이루고 있다. 근대 이후 공업화가 진행되면서 인구 밀집지역이 되었고 관련 연구성과도 나왔지만, 근대 이전 특히 조선시대의 영도에 대해서는 별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국영 목장, 봉산으로 사용되는 곳이었기 때문에 사람들과의 관계가 없는 곳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람들과는 무관하게 존재한 것처럼 …
-
양흥숙2015한국민족문화Yeongdo is an inhabited island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Located 200m off the shore, it is made up of a borough. Since the modern times, it…
-
정성일2015民族文化硏究왜관(倭館)의 매일기(每日記) 등을 통해서 19세기 초반 대일무역에 참가한 정자범(鄭子範)의 무역 활동이 밝혀졌다. 그의 아버지 정윤중(鄭允中) 역시 왜관을 드나들면서 무역에 참가하였던 동래상고(東萊商賈) 출신이었다. 정자범은 전주와 서울, 부산을 오가면서 우피(牛皮) 등 무역품을 조달하여 왜관에 판매하였다. 뿐만 아니라 전임 왜학역관(倭學譯官)이 풀지 못했던 공무역(公貿易) 미지급(미수) 문제의 해…
-
양흥숙2014한일관계사연구조선시대 국경은 여진족을 접하는 두만강 일대, 중국과의 경계인 압록강 일대, 일본과 바다를 사이에 두고 있는 동래부 등을 지칭하였다. 국경 지역 중에 동래부의 가장 큰 특징은 일본인 거주지가 관할 구역 내에 존재한다는 점이다. 왜관이라고 불리는 일본인 거주지가 1407년 조성되기 시작한 이래 1876년 근대 개항까지 존속되었다. 더욱이 왜관은 조선 남해안의 세 포구에 각각 있다가 1544년 사량진왜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