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도 울산병영을 옮기는 것에 대해 의논하다.
경상도 울산병영을 옮기는 것이 적당한지 아니한지를 의논하게 하였다. 윤필상(尹弼商)·이철견(李鐵堅)·한치형(韓致亨)·정괄(鄭佸)·유지(柳輊)·신준(申浚)·성현(成俔)·유순(柳洵)·김영유(金永儒)·윤은로(尹殷老)·이계남(李季男)·이굉(李浤)·한충인(韓忠仁)은 의…
-
송질이 왜국에 조관을 파견하는 것의 불가함을 아뢰었으나 받아들이지 않다.
홍문관 부제학 송질(宋軼) 등이 차자를 올리기를,
“그윽이 생각하건대 대마주는 바로 우리나라의 번신이므로, 진실로 은덕으로 위로하고 엄위로 대하면서 포상할 일이 있으면 특별히 선위사를 보냈고, 통유할 일 같으면 다만 온 사자 편에 부송하여 사개를 번거롭…
-
좌도의 주진과 돌산 등지에 수군을 보충 배치하게 하다.
육조와 한성부의 당상관을 명소하여 수군의 일을 의논하도록 하였다. 이극돈(李克墩)·김극유(金克忸)·안우건(安友騫)은 의논하기를,
“병조에서 좌도의 주진과 돌산 등지의 적로 요해시에다 수군을 더 늘여 주는 의논을 하였는데, 그것은 당연합니다. 다만 군사가…
-
호조참판 이집 등이 왜인이 가지고 온 물건의 값을 더 쳐주지 말 것과 사무역을 금할 것을 청하다.
호조참판 이집(李諿)·참의 신수근(愼守勤)이 와서 아뢰기를,
“이제 온 왜인의 물건을 총계하니, 그 값이 5,000여 필에 이릅니다. 그런데 저들이 물건 값을 적게 쳐주어서 즐겨 무역하지 않는다고 여겨, 이제 만약 그 값을 높게 쳐주면 저들이 장차 이르…
-
용뇌와 침향을 왜인들에게 값을 더 주고 무역하게 하다.
호조참판 이집(李諿)·참의 신수근(愼守勤)이 와서 아뢰기를
“왜인이 침향(沈香)·용뇌(龍腦)의 값이 저렴하다 하여 팔려고 하지 않으니, 살 수가 없습니다.”
하니, 전교하기를,
“용뇌와 침향은 국…
-
윤필상 ․ 노사신 ․ 윤호 등이 왜인들의 어량쟁탈 사건에 대해 의논하다.
파평 부원군 윤필상·좌의정 노사신·영돈녕부사 윤호·좌찬성 한치형(韓致亨)·우참찬 윤효손(尹孝孫)·호조판서 홍귀달(洪貴達)·형조판서 박숭질(朴崇質)·예조참의 김극유(金克忸)가 의논드리기를,
“어량을 쟁탈한 일 때문에 어망을 불태웠으니, 어망 주인의 성명을…
-
승지 신수근이 왜인의 어량 쟁탈일을 아뢰다.
승지(承旨) 신수근(愼守勤)이 아뢰기를,
“전일 김일손(金馹孫)이 아뢴 바에 의하면, ‘지난 갑진년에 제포(薺浦)에 있는 왜인이 떼를 지어 금한을 넘어서 웅천(熊川) 성 밑의 소나무를 베어 가고 심지어 산지기까지 구타하였으므로, 현감 최진강(崔進江)이 …
-
신수근이 야인의 귀순문제를 아뢰어 어세겸 등에게 의논하게 하다.
승지 신수근(愼守勤)이 아뢰기를,
“올적합(兀狄哈)·이이후(伊伊厚)·소소고급(巢巢古及)·야당지(也堂只)의 아들 등이 온성(穩城) 등처 가흘라(加訖羅) 지방에 와서 말하기를, ‘우리는 별종(別種)이요 니마거(尼亇車)의 족류가 아닙니다. 귀순하여 와서 살기…
-
병조에서 경상도 수군절도사 최집성의 국문을 청하여 의논하게 하다.
병조에서 아뢰기를,
“경상도 수군절도사 최집성(崔集成)이 왜적을 추격 체포하지 않았으니, 청컨대 관원을 보내어 국문하옵소서.”
하였다. 승지 신수근(愼守勤)은 아뢰기를,
“진주 연해 지방 백성이, 군량을 배로 실어가다…
-
제포 왜인의 송환 문제 등을 신수근 등이 아뢰다.
명하여, 도망해 온 제포(薺浦) 왜인 여계(呂戒)를 본토로 돌려 보내게 하니, 승지 신수근(愼守勤) 등이 아뢰기를,
“여계가 서울로 도망해 오는데 무인지경 들어오듯 하였으니, 변경의 방비가 없음이 심합니다. 그가 지나오면서 유숙한 원역의 거주민들을 추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