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주 창선도에 농사짓기를 허락하다.
호조에서 계하기를,
“진주(晋州)의 경계에 있는 창선도(昌善島)는 토지가 비옥한데, 평산포(平山浦)와 적량(赤梁)의 병선이 정박하여 밖에서 호위하고 있으니, 백성들이 자원하여 농사짓는 일을 허가할 것입니다.”
라고 하니, 그대로 따…
-
경상도 감사가 율포 ․ 하산도 ․ 해평 등의 경작, 주민의 거주 ․ 수호방책 등에 대해 아뢰다.
경상도감사가 아뢰기를,
“1. 거제도 바깥쪽 율포의 전토(田土)는 하청(河淸) 가이슬포(加耳瑟浦)에 사는 사람에게 예전대로 경작하도록 허락하고, 옥포(玉浦) ․ 영등포(永登浦) 만호(萬戶)에게 보살펴 수호하도록 하옵소서.
1. 하산…
-
강희려가 남해도의 남쪽, 이조항 ․ 장항 등에 병선을 정박시켜야 한다는 상서를 올리다.
전 광양현감(光陽縣監) 강희려(姜希呂)가 상서하기를,
“남해도(南海島)의 남쪽, 미조항(彌助項) ․ 장항(獐項) ․ 동모포(冬毛浦) 등과 같은 곳은 병선을 정박시켜야 할 곳입니다. 그러나 일찍이 방어의 시설을 하지 않아서 왜변을 당하여 막을 때에는 염려…
-
공조에서 경상우도의 염창을 옳기는 일에 대해 보고하다.
공조에서 아뢰기를,
“이번에 경상우도(慶尙右道)의 염창(鹽倉)을 옮겨서 배치하는 것이 좋은가 아닌가를 현지에 찾아가서 물어 보았더니, 곤남군(昆南郡) 사람들은 성내에 두고 태장관(汰場官)에 합속시켜서 양쪽을 겸임하게 하기를 바라고, 염간(…
-
충청 ․ 전라 ․ 경상도 도순문사 조말생이 적량의 병선을 지도포에 옮길것을 아뢰다.
충청․전라․경상도 도순문사 조말생(趙末生)이 아뢰기를,
“경상도 남해현(南海縣) 적량(赤梁)에 강어구가 협착하여 방어하기에 마땅하지 아니하오니, 적량의 병선을 지도포(池島浦)에 옮기게 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
하삼도 도순찰사 박강 등에게 행해야 할 일들의 조목을 아뢰게 하다.
충청도·전라도·경상도의 도순찰사 박강(朴薑)과 부사 구치관(具致寬) 등이 경상도·전라도·충청도의 여러 진과 여러 포를 순심하고, 당연히 행할 사건을 아뢰어, 하나씩 하나씩 조목조목을 열기 하였다.
“1. 이보다 앞서 남쪽 변방에서는 수군은 많이 설치했는…
-
경상우도의 조라포 선군은 제포에, 지세포는 옥포에, 나머지는 소비포에 속하게 하다.
당초에 경상우도 병마절제사 유익명(兪益明)이 아뢰기를,
“신이 일찍이 사량만호(蛇梁萬戶)를 지냈고, 이제 도절제사가 되어 왜인이 입구해 올 만한 의심스러운 곳을 일찍이 모조리 살펴보았는데, 왜인으로서 고초도(孤草島)에서 고기 잡는 자는 반드시 연화도(蓮…
-
사도순찰사 홍응이 여러 도 내 여러 포의 보에 대해 서계를 올리다.
사도순찰사 홍응(洪應)이 서계하기를,
“제도의 제포(諸浦)의 보를 설치한 곳 가운데에서 전라도 장흥(長興) 회령포(會寧浦)의 보를 설치한 곳은 좌지(坐地)가 남향인데, 포백척(布帛尺)시축(尸祝)신주(神主)와 제문(祭文).으로 재면 둘레가 1,990척이고…
-
홍응이 전라도 ․ 경상도 백성의 신소에 대해 서계를 올리다.
홍응(洪應)이 또 전라도․경상도 백성의 신소(申訴)를 채택하여 서계하기를,
“1. 전라도 보성군(寶城郡) 백성의 장고(狀告)에 이르기를, ‘이 고을에는 옛 조양성(兆陽城)이 있는데, 지금은 무너진 데가 있기도 하나, 대개는 완전하고 견고합니다. 회령포(…
-
경상도 관찰사 손순효가 연해의 방수 대책을 글로 올리다.
경상도관찰사 손순효(孫舜孝)가 글을 올리기를,
“신이 지난 무술년에도 강원도 관찰사가 되었고, 을사년에는 또 본도 관찰사가 되었는데, 양도의 연해 형세를 낱낱이 살펴보았습니다. 강원도는 통천(通川) ․ 흡곡(歙谷)·고성(高城)·간성(杆城)·양양(襄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