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예종
    사신(史臣)의 논평
    사신史臣의 논평
    사신(史臣)은 다음과 같이 논평했다. “예종은 명철한 천품으로 일찍이 동궁으로 있을 때 어진 선비를 예로써 대접하고 부모와 형제를 잘 섬겼다. 왕위에 오르자 밤낮으로 부지런히 정사를 돌보았으며, 올바른 정치를 이루기 위해 진력했다. 다만 국토를 확장하려…
    #사신 #예종 #호종단 #청연각 #보문각 #한안인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인종
    인종 9년(1131) 신해년
    인종 9년(1131) 신해년
    9년 봄 정월 을사일. 금나라에서 이거열(李距烈)을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정미일. 금나라 사신을 위해 중화전(重華殿) 중화전 중화전은 인종 4년부터 명종대까지 기사가 나오는데 인종 9년 기사부터는 중화전(中和殿)으로 나온다. 여기에는 …
    #금나라 #이거열 #중화전 #어사잡단 #정점 #인덕궁 #왕창 #중서문하성 #동궁위 #정사당 #제안공 #왕서 #천성전 #불정도량 #상참 #문관 #한림 #사관 #국학 #보문각 #식목 #도병마사 #영송도감 #행영녹사 #군후원 #우산기상시 #정준후 #지어사대사 #이주연 #동․서대비원 #제위포 #안화사 #왕철 #최유 #좌․우첨사 #수창궁 #송나라 #도강 #탁영 #소사 #유광세 #장군 #황야차 #절동 #절서 #하북 #월주 #건염 #소흥 #후장 #귀중부 #양응성 #최홍재 #상서호부 #대사도 #기우제 #양부 #평장사 #참지정사 #문공인 #지추밀원사 #임경청 #백관 #태조 #계백료서 #태백성 #봉은사 #보살계도량 #이숙 #유배 #왕륜사 #은병 #서북면병마사 #동경 #대성 #지제고 #합문지후 #유퇴 #지례사 #병부낭중 #왕수 #천청절 #이공수 #검교태사 #수태부 #문하시중 #판이부사 #최사전 #수태위 #문하시랑평장사 #김향 #검교태위 #수사공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최자성 #검교사공 #중서시랑 #판병부사 #검교사도 #중서시랑평장사 #서경유수사 #김부식 #병부상서 #한림학사승지 #임원애 #동지추밀원사 #직문하성 #안직숭 #우간의 #이신 #중서사인 #임존 #좌사간 #최함 #동경지례사 #서장관 #최봉심 #사신 #법왕사 #백좌도량 #승려 #왕비 임씨 #왕호 #어사대부 #임원준 #예부낭중 #고당유 #상의봉어 #이중연 #검교태부 #판한림원사 #좌산기상시 #반야도량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명종
    명종 22년(1192) 임자년
    명종 22년(1192) 임자년
    22년 봄 정월 초하루 을사일. 금나라에서 누완온도열(䅶盌溫都說) 누완온도열 금나라에서 누완온돈(䅶盌溫敦)이 복성(複星)으로 쓰였기 때문에 ‘都’는 ‘敦’의 오기로 생각된다.을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계해일. 대관전(大觀殿)에서 사신을 위…
    #금나라 #누완온도열 #대관전 #평장사 #이혁유 #이부상서 #정국검 #판비서성사 #최선 #서연 #보문각 #증속자치통감 #손희작 #봉은사 #횡선사 #패출로지충 #사신 #천수절 #왕륜사 #덕녕공주 #태백성 #송나라 #태평어람 #낭장 #김원의 #서도 #이의민 #어사대부 #왕도 #수덕궁 #묘통사 #정당문학 #염신약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신종
    신종 원년(1198) 무오년
    신종 원년(1198) 무오년
    원년 봄 정월 초하루 기해일. 일식(日食)이 있었다. 경자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임자일. 연등회 참석차 왕이 봉은사(奉恩寺)에 갔다. 갑자일. 상장군(上將軍) 백존유(白存濡)를 서북면지병마사(西北面知兵馬事)로, 대부…
    #일식 #연등회 #봉은사 #상장군 #백존유 #서북면지병마사 #대부경 #문후식 #동북면지병마사 #인종 #기신도량 #영통사 #보문각 #서연 #중사 #왕륜사 #묘통사 #중방 #현릉 #창릉 #장릉 #순릉 #조통 #금나라 #외제석원 #태백성 #기우제 #전민유 #급제 #선문사 #대리경 #손우 #문하시랑 #조영인 #함성절 #예부낭중 #백여주 #시랑 #정방보 #호부시랑 #정세충 #천수절 #최충헌 #추밀원지주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고종
    고종 14년(1227) 정해년
    고종 14년(1227) 정해년
    14년 봄 정월 무오일. 태자부(太子府)를 설치하면서, 문하시중 이연수(李延壽)와 참지정사 김취려(金就礪)를 보내 책문(冊文)과 인장을 하사했다. 경진일. 왕이 법왕사(法王寺)에 행차했다. 2월 경인일. 큰 지진이 발생했다…
    #태자부 #문하시중 #이연수 #참지정사 #김취려 #책문 #인장 #법왕사 #지진 #최우 #교동 #선경전 #금경도량 #외제석원 #현성사 #왜적 #금주 #방호별감 #노단 #웅신현 #별장 #정금억 #우박 #일본국 #봉은사 #태백성 #사홍기 #보문각 #효경』 #왕륜사 #여정궁 #시학공자 #급사 #유순 #정위 #이소 #건성사 #소재도량 #보제사 #감수국사 #평장사 #최보순 #수찬관 #김양경 #임경숙 #유승단 #사관 #해인사 #동계병마사 #동진 #정주 #장주 #우군병마사 #상장군 #조염경 #지병마사 #대장군 #김승준 #중군병마사 #추밀원사 #정공수 #후군병마사 #정순우 #김지성 #경령전 #수문전 #무능승도량 #천황당 #초제 #안변부 #의주 #낭장 #김이생 #자문지유 #북계 #화주성 #김중구 #서경유수 #남경유수 #명주부사 #백령도 #어사대 #문유필 #판예부사 #공천원 #지문하성사 #이부상서 #유언침 #예부상서 #최종준 #지추밀원사 #좌산기상시 #최정분 #최정화 #동지추밀원사 #호부상서 #이원함 #기저 #추밀원부사 #진식 #우복야 #한림학사 #사광보 #병부상서 #김숙룡 #추밀원좌승선 #공부상서 #지이부사 #정전 #이중민 #형부상서 #최종번 #추밀원좌부승선 #이정 #우승선 #이규보 #판위위사 #지제고 #유경현 #상서우승 #지어사대사 #백돈분 #시비서감 #좌간의대부 #급제 #박인 #일본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고종
    고종 41년(1254) 갑인년
    고종 41년(1254) 갑인년
    41년 봄 정월 초하루 을해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 왕이 경령전(景靈殿)을 참배했다. 정축일. 안경공(安慶公) 왕창(王淐)이 몽고군 진지를 찾아가 잔치를 베풀고 풍악을 울리며 군사들을 대접하자 아모간이 군대를 철수했다. …
    #경령전 #안경공 #왕창 #몽고 #아모간 #천병신중도량 #개경 #소경 #박여익 #낭장 #정자여 #천룡성 #양근성 #인왕도량 #초제 #이현 #처형 #조방언 #정신단 #유배 #정준 #최평 #임경필 #추밀원부사 #연등회 #봉은사 #북계병마사 #갈도 #화엄신중도량 #문하시랑 #송순 #수태위 #이순효 #현성사 #참지정사 #최공 #대장 #어사 #고평절 #최탁 #양신성 #박유 #봉공윤 #대창 #비서소감 #이수손 #사문박사 #김양영 #의주 #건성사 #복령사 #묘통사 #외원 #구요당 #왕륜사 #천병화엄신중도량 #단오절 #윤정형 #정전 #보살계 #공덕천도량 #약사도량 #중서사인 #김수정 #사신 #다가 #승천부 #안경부 #전첨 #민인해 #쟈릴타이 #최항 #이응렬 #주영규 #유경 #역마 #서북면병마사 #서해도 #협계 #관산역 #소재도량 #경상도 #전라도 #야별초 #광주 #장형 #제포 #괴주성 #산원 #장자방 #별초 #대장군 #이장 #보현원 #예쉬데르 #보파대 #영녕공 #왕준 #홍복원 #술그릇 #사슴가죽 #비단 #동계병마사 #동진 #박인기 #차라대 #술 #과일 #충주산성 #최온 #비서성 #한림원 #보문각 #동문원 #어서원 #자릴타이 #상주산성 #황령사 #홍지 #최린 #문하평장사 #재신 #태종대왕 #세종대왕 #숙종 #예종 #인종 #신종 #강종 #교사 #9묘 #북방 오랑캐 #종묘 #신묘 #충주성 #청주성 #월악산 #합주 #단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충렬왕
    충렬왕 16년(1290) 경인년
    충렬왕 16년(1290) 경인년
    봄 정월 ○ 왕이 원나라에 계속 체류했다. 정미일. 대장군 원경(元卿)을 원나라에 보내 일본군이 변경을 침범했다는 보고를 올렸다. 갑자일. 장군 오인영(吳仁永) 등이 원나라로부터 돌아와, “나얀[乃顔]의 잔당인 카다안[哈丹]의…
    #원나라 #대장군 #원경 #일본군 #장군 #오인영 #나얀 #카다안 #첨의찬성사 #홍자번 #판밀직사사 #정가신 #병부 #안전 #경상도 도지휘사 #김지숙 #전라도 도지휘사 #첨의참리 #송분 #충청도 도지휘사 #중군만호 #정수기 #금기산동 #좌군만호 #박지량 #이천 #한희유 #쌍성 #우군만호 #김흔 #환가 #나유 #통천 #토리티무르 #금자경 #지첨의부사 #김주정 #동녕부 #총관 #한신 #계문비 #현원렬 #태복윤 #나공언 #이한 #사경승 #가뭄 #최함일 #급제 #해양 #김연수 #봉은사 #서경 #동계 #김흥예 #함평부 #남경 #개경 #수령 #정복균 #서경유수 #개원로 #다루가치 #파뚜만 #부지밀직사사 #정인경 #서북면 도지휘사 #김혼 #일식 #조감 #마제산 #안국사 #수강궁 #유비 #강화도 #추밀원부사 #홍문계 #도라산 #위위부윤 #민훤 #전라도 지휘사 #판사재시사 #엄수안 #충청도 지휘사 #사신 #상장군 #차신 #사면령 #왕륜사 #묘련사 #산성 #입보 #국사 #보문각 #비서시 #강화 #태조 #소상 #평장사 #정당문학 #예빈윤 #민지 #동경 #행성 #로 #주 #연경 #동첨추밀원사 #홍군상 #조인규 #고려국왕부 단사관 #금호부 #화주 #등주 #만호 #인후 #세토겐 #우승 #타추 #선원사 #지도첨의사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종
    사신(史臣)의 논평
    사신史臣의 논평
    史臣贊曰, “睿宗天資明哲, 嘗在東宮, 禮接賢士, 敦行孝弟. 及乎卽位, 宵旰憂勤, 勵精求治. 但志存拓境, 僥倖邊功, 仇隙未已. 歆慕華風, 信用胡宗旦, 頗惑其言, 未免有所失矣. 然知用兵之難, 棄怨修好, 使隣境感慕來服. 恤鰥寡, 養耆老. 開設學校, 敎養生員. 置淸讌…
    #사신 #예종 #호종단 #청연각 #보문각 #한안인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인종
    인종 9년(1131) 신해년
    인종 9년(1131) 신해년
    九年 春正月 乙巳 金遣李鉅烈, 來賀生辰. 丁未 宴于重華殿. 庚戌 鉅烈還, 附表以謝. 乙卯 御史雜端鄭漸等上䟽, 論時政得失. 二月 丙子 移御仁德宮. 己卯 賜元子名昌, 遣使賜禮物, 權設東宮位於中書門下廳事, 受詔. 王御政事堂東帳殿觀禮, 仍宴宰樞․臺諫…
    #금나라 #이거열 #중화전 #어사잡단 #정점 #인덕궁 #왕창 #중서문하성 #동궁위 #정사당 #제안공 #왕서 #천성전 #불정도량 #상참 #문관 #한림 #사관 #국학 #보문각 #식목 #도병마사 #영송도감 #행영녹사 #군후원 #우산기상시 #정준후 #지어사대사 #이주연 #동․서대비원 #제위포 #안화사 #왕철 #최유 #좌․우첨사 #수창궁 #송나라 #도강 #탁영 #소사 #유광세 #장군 #황야차 #절동 #절서 #하북 #월주 #건염 #소흥 #후장 #귀중부 #양응성 #최홍재 #상서호부 #대사도 #기우제 #양부 #평장사 #참지정사 #문공인 #지추밀원사 #임경청 #백관 #태조 #계백료서 #태백성 #봉은사 #보살계도량 #이숙 #유배 #왕륜사 #은병 #서북면병마사 #동경 #대성 #지제고 #합문지후 #유퇴 #지례사 #병부낭중 #왕수 #천청절 #이공수 #검교태사 #수태부 #문하시중 #판이부사 #최사전 #수태위 #문하시랑평장사 #김향 #검교태위 #수사공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최자성 #검교사공 #중서시랑 #판병부사 #검교사도 #중서시랑평장사 #서경유수사 #김부식 #병부상서 #한림학사승지 #임원애 #동지추밀원사 #직문하성 #안직숭 #우간의 #이신 #중서사인 #임존 #좌사간 #최함 #동경지례사 #서장관 #최봉심 #사신 #법왕사 #백좌도량 #승려 #왕비 임씨 #왕호 #어사대부 #임원준 #예부낭중 #고당유 #상의봉어 #이중연 #검교태부 #판한림원사 #좌산기상시 #반야도량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명종
    명종 22년(1192) 임자년
    명종 22년(1192) 임자년
    二十二年 春正月 乙巳朔 金遣䅶盌溫都說來, 賀生辰, 癸亥 宴于大觀殿. 二月 癸巳 平章事李奕蕤卒. 夏四月 壬子 命吏部尙書鄭國儉, 判秘書省事崔詵, 集書筵諸儒於寶文閣, 讎校增續資治通鑑. 分送州縣, 雕印以進, 分賜侍從儒臣. 戊午 賜孫…
    #금나라 #누완온도열 #대관전 #평장사 #이혁유 #이부상서 #정국검 #판비서성사 #최선 #서연 #보문각 #증속자치통감 #손희작 #봉은사 #횡선사 #패출로지충 #사신 #천수절 #왕륜사 #덕녕공주 #태백성 #송나라 #태평어람 #낭장 #김원의 #서도 #이의민 #어사대부 #왕도 #수덕궁 #묘통사 #정당문학 #염신약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3Next PageLast Page총 30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