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숙종
    숙종 3년(1098) 무인년
    숙종 3년(1098) 무인년
    3년 봄 정월 병인일. 왕이 다음과 같이 지시했다. “과인이 조상의 위업을 이어 나라를 다스리게 되자 요나라에서 사신을 보내 특별히 은혜를 내려주었다. 이에 온 나라 사람과 기쁨을 함께 함으로써 천자의 책명에 보답해야 마땅하리라. 책명을…
    #요나라 #외제석원 #나한재 #구정 #초제 #왕륜사 #봉은사 #동여진 #창곤 #묘통사 #창릉 #대릉 #첨사부 #좌춘방 #연경궁사 #소태보 #태사 #김상기 #태부 #최사추 #태보 #김선석 #소사 #황영 #소부 #임간 #소보 #위계정 #이오 #조인충 #곽상 #빈객 #김한충 #홍기 #좌․우서자 #유신 #김경용 #좌․우유덕 #윤관 #동궁시강학사 #최공후 #가령 #문익 #고령신 #좌․우찬선대부 #우원령 #중사인 #이위 #전내 #장영 #세마 #유재 #시독 #강증 #중윤 #유인무 #사의랑 #장경 #약장랑 #최인필 #궁문랑 #이후 #솔경 #황유현 #시위 #오손경 #최유정 #좌․우청도솔부솔 #나준 #궁제 #좌․우감문 #최정 #우위 #최현 #여분중랑장 #백관 #태자부 #요진 #고두 #이덕윤 #급제 #흥왕사 #승려 #우박 #회경전 #송악신사 #조규 #송나라 #왕운 #왕욱 #국청사 #인왕도량 #태묘 #신봉문 #참형 #교수형 #사면 #유배 #개경 #원장 #제례악 #악부 #악공 #진사과 #명경과 #지중추원사 #김용 #예부시랑 #조양휴 #상서형부 #재상 #김약충 #천안절 #홍보 #팔관회 #법왕사 #왕하 #윤계형 #신년을 하례 #좌간의대부 #내고부 #왕필 #검교태보 #수태위 #상서령 #상서이부시랑 #지어사대사 #이계응 #상서형부시랑 #우간의대부 #급사중 #이부낭중 #추밀원우승선 #오연총 #기거랑 #병부원외랑 #추밀원우부승선 #개보정례 #예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인종
    인종 9년(1131) 신해년
    인종 9년(1131) 신해년
    9년 봄 정월 을사일. 금나라에서 이거열(李距烈)을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정미일. 금나라 사신을 위해 중화전(重華殿) 중화전 중화전은 인종 4년부터 명종대까지 기사가 나오는데 인종 9년 기사부터는 중화전(中和殿)으로 나온다. 여기에는 …
    #금나라 #이거열 #중화전 #어사잡단 #정점 #인덕궁 #왕창 #중서문하성 #동궁위 #정사당 #제안공 #왕서 #천성전 #불정도량 #상참 #문관 #한림 #사관 #국학 #보문각 #식목 #도병마사 #영송도감 #행영녹사 #군후원 #우산기상시 #정준후 #지어사대사 #이주연 #동․서대비원 #제위포 #안화사 #왕철 #최유 #좌․우첨사 #수창궁 #송나라 #도강 #탁영 #소사 #유광세 #장군 #황야차 #절동 #절서 #하북 #월주 #건염 #소흥 #후장 #귀중부 #양응성 #최홍재 #상서호부 #대사도 #기우제 #양부 #평장사 #참지정사 #문공인 #지추밀원사 #임경청 #백관 #태조 #계백료서 #태백성 #봉은사 #보살계도량 #이숙 #유배 #왕륜사 #은병 #서북면병마사 #동경 #대성 #지제고 #합문지후 #유퇴 #지례사 #병부낭중 #왕수 #천청절 #이공수 #검교태사 #수태부 #문하시중 #판이부사 #최사전 #수태위 #문하시랑평장사 #김향 #검교태위 #수사공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최자성 #검교사공 #중서시랑 #판병부사 #검교사도 #중서시랑평장사 #서경유수사 #김부식 #병부상서 #한림학사승지 #임원애 #동지추밀원사 #직문하성 #안직숭 #우간의 #이신 #중서사인 #임존 #좌사간 #최함 #동경지례사 #서장관 #최봉심 #사신 #법왕사 #백좌도량 #승려 #왕비 임씨 #왕호 #어사대부 #임원준 #예부낭중 #고당유 #상의봉어 #이중연 #검교태부 #판한림원사 #좌산기상시 #반야도량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숙종
    숙종 3년(1098) 무인년
    숙종 3년(1098) 무인년
    三年 春正月 丙寅 詔曰, “寡人纂承祖構, 方宅丕圖, 大遼遣使, 特示封崇. 宜頒慶賚, 上答休命. 其受冊日, 接詔以下, 升壇執禮, 內外諸色員僚, 及客使接伴官, 賜爵一級, 有違犯當坐者, 免之, 指揮軍人, 賜物有差. 甲戌 幸外帝釋院, 設羅漢齋. 二月…
    #요나라 #외제석원 #나한재 #구정 #초제 #왕륜사 #봉은사 #동여진 #창곤 #묘통사 #창릉 #대릉 #첨사부 #좌춘방 #연경궁사 #소태보 #태사 #김상기 #태부 #최사추 #태보 #김선석 #소사 #황영 #소부 #임간 #소보 #위계정 #이오 #조인충 #곽상 #빈객 #김한충 #홍기 #좌․우서자 #유신 #김경용 #좌․우유덕 #윤관 #동궁시강학사 #최공후 #가령 #문익 #고령신 #좌․우찬선대부 #우원령 #중사인 #이위 #전내 #장영 #세마 #유재 #시독 #강증 #중윤 #유인무 #사의랑 #장경 #약장랑 #최인필 #궁문랑 #이후 #솔경 #황유현 #시위 #오손경 #최유정 #좌․우청도솔부솔 #나준 #궁제 #좌․우감문 #최정 #우위 #최현 #여분중랑장 #백관 #태자부 #요진 #고두 #이덕윤 #급제 #흥왕사 #승려 #우박 #회경전 #송악신사 #조규 #송나라 #왕운 #왕욱 #국청사 #인왕도량 #태묘 #신봉문 #참형 #교수형 #사면 #유배 #개경 #원장 #제례악 #악부 #악공 #진사과 #명경과 #지중추원사 #김용 #예부시랑 #조양휴 #상서형부 #재상 #김약충 #천안절 #홍보 #팔관회 #법왕사 #왕하 #윤계형 #신년을 하례 #좌간의대부 #내고부 #왕필 #검교태보 #수태위 #상서령 #상서이부시랑 #지어사대사 #이계응 #상서형부시랑 #우간의대부 #급사중 #이부낭중 #추밀원우승선 #오연총 #기거랑 #병부원외랑 #추밀원우부승선 #개보정례 #예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인종
    인종 9년(1131) 신해년
    인종 9년(1131) 신해년
    九年 春正月 乙巳 金遣李鉅烈, 來賀生辰. 丁未 宴于重華殿. 庚戌 鉅烈還, 附表以謝. 乙卯 御史雜端鄭漸等上䟽, 論時政得失. 二月 丙子 移御仁德宮. 己卯 賜元子名昌, 遣使賜禮物, 權設東宮位於中書門下廳事, 受詔. 王御政事堂東帳殿觀禮, 仍宴宰樞․臺諫…
    #금나라 #이거열 #중화전 #어사잡단 #정점 #인덕궁 #왕창 #중서문하성 #동궁위 #정사당 #제안공 #왕서 #천성전 #불정도량 #상참 #문관 #한림 #사관 #국학 #보문각 #식목 #도병마사 #영송도감 #행영녹사 #군후원 #우산기상시 #정준후 #지어사대사 #이주연 #동․서대비원 #제위포 #안화사 #왕철 #최유 #좌․우첨사 #수창궁 #송나라 #도강 #탁영 #소사 #유광세 #장군 #황야차 #절동 #절서 #하북 #월주 #건염 #소흥 #후장 #귀중부 #양응성 #최홍재 #상서호부 #대사도 #기우제 #양부 #평장사 #참지정사 #문공인 #지추밀원사 #임경청 #백관 #태조 #계백료서 #태백성 #봉은사 #보살계도량 #이숙 #유배 #왕륜사 #은병 #서북면병마사 #동경 #대성 #지제고 #합문지후 #유퇴 #지례사 #병부낭중 #왕수 #천청절 #이공수 #검교태사 #수태부 #문하시중 #판이부사 #최사전 #수태위 #문하시랑평장사 #김향 #검교태위 #수사공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최자성 #검교사공 #중서시랑 #판병부사 #검교사도 #중서시랑평장사 #서경유수사 #김부식 #병부상서 #한림학사승지 #임원애 #동지추밀원사 #직문하성 #안직숭 #우간의 #이신 #중서사인 #임존 #좌사간 #최함 #동경지례사 #서장관 #최봉심 #사신 #법왕사 #백좌도량 #승려 #왕비 임씨 #왕호 #어사대부 #임원준 #예부낭중 #고당유 #상의봉어 #이중연 #검교태부 #판한림원사 #좌산기상시 #반야도량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채충순(蔡忠順)
    채충순蔡忠順
    채충순(蔡忠順) 채충순(?~1036) 음성 채씨[陰城蔡氏․濟陽蔡氏]로, 목종~현종 때 중추원직학사(中樞院直學士)․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역임한 문신관료이다. 그의 선대는 음성현(陰城縣)(지금의 충청북도 음성군)지역의 토착세력으로 고려 초기부터 관료를 …
    #채충순 #중추원부사 #유진 #최항 #유충정 #상서우복야 #김치양 #대량원군 #태조 #감찰어사 #고영기 #삼각산 #신혈사 #선휘판관 #황보유의 #성종 #종묘사직 #합문사인 #유행간 #현종 #직중대 #이부시랑 #좌간의대부 #거란 #광주 #시랑 #충숙 #장연우 #주저 #유종 #김응인 #이부상서 #참지정사 #추충진절위사공신 #제양현개국남 #검교태위 #제양현개국자 #보국공신 #내사시랑평장사 #서경유수 #소사 #문하시랑평장사 #판서경유수사 #정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윤소종(尹紹宗)
    윤소종尹紹宗
    윤소종(尹紹宗) 윤소종(1345~1393) 판전농시사(判典農寺事)를 지낸 무송 윤씨(茂松尹氏) 윤구생(尹龜生)의 아들로, 공민왕 14년(1365) 윤10월 과거에 장원급제한 후 춘추관수찬(春秋館修贊)․좌정언(左正言)․좌상시(左常侍) 등을 거쳐 조선 태조 때까지…
    #윤소종 #헌숙 #찬성사 #윤택 #사관 #정언 #중서성 #영 #시중 #평장사 #참지정사 #정당문학 #추밀원 #낭관 #명기 #관작 #사 #농 #공 #상 #공경대부 #공자 #경릉 #원나라 #원세조 #중관 #이대순 #별장 #오위 #산원 #세조 #공장 #공노비 #사노비 #중랑장 #봉익대부 #제갈공명 #전한 #후한 #대언 #김흥경 #이사 #조고 #신돈 #태봉 #태조 #경녕전 #효사관 #현릉 #의릉 #인희전 #5도와 양계 #김광대 #삼한 #왜구 #달단 #홍건적 #흥왕사의 난리 #전라도 #경상도 #개경 #양계 #5도 #별묘 #정릉 #헌납 #김윤승 #사의 #우현보 #우왕 #전교시승 #성균관사예 #전의부령 #예문관응교 #지신사 #이존성 #전교부령 #우리 태조 #정지 #곽광전 #창왕 #전교령 #원구 #종묘 #사직 #산릉 #진전 #신사 #축문 #도전 #사원 #사소 #시관 #천지 #종사 #대신 #정자 #소신 #적전 #제전 #태위 #순 #우 #문조 #신종 #양부 #산재 #치재 #경연 #태묘 #곤룡포 #면류관 #도당 #우사의대부 #이인임 #허응 #민개 #대사성 #서연 #주역 #강보 #논어 #종묘사직 #서경 #소학 #노양공 #강관 #환관 #궁첩 #선비 #대부 #관각 #학사 #궁인 #내신 #주 #상저 #옥배 #영서연 #지서연 #태사 #태부 #시독 #소사 #소부 #탕 #이윤 #제나라 #환공 #관중 #정도전 #공양왕 #대사헌 #조준 #좌상시 #경연강독관 #이숭인 #이색 #영흥군 #변안열 #정관정요 #정몽주 #당 #대학연의 #강릉 #문하평리 #윤호 #유만수 #첨서밀직사사 #우홍수 #동지밀직사사 #유광우 #상의문하부사 #최원지 #밀직부사 #유용생 #판자혜부사 #정희계 #자혜부윤 #이방과 #김인찬 #이행 #밀직사 #강회백 #지밀직사사 #윤사덕 #김락 #김철 #화령백 #이조총랑 #이황 #조계종 #승려 #찬영 #왕사 #성석린 #불교 #성탕 #문왕 #태공 #상나라 #주나라 #요 임금 #순 임금 #하 #은 #한나라 #명제 #양 #무제 #후경 #대성 #당나라 #헌종 #형부시랑 #한유 #최응 #신라 #조계종 승려 #탕왕 #하나라 #무왕 #요진 #구마라습 #바라발제 #지공 #응창 #오호북적 #숭인문 #진 #대간 #요동 #장단현 #문묘 #사전 #규전 #변정도감 #예의판서 #상호군 #송문중 #이성계 #심덕부 #이사위 #금주 #최을의 #반복해 #상시 #유배 #회군 #간관 #병조전서 #수문전학사 #동지춘추관사 #윤회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채충순(蔡忠順)
    채충순蔡忠順
    蔡忠順, 史失世系. 穆宗朝, 累遷中樞院副使, 王寢疾, 忠順與劉瑨․崔沆, 直宿銀臺. 一日, 王召忠順入臥內, 辟左右語曰, “寡人疾漸就平. 聞外閒有窺覦者, 卿知之乎?” 對曰, “臣試聞之, 未得其實.” 王取枕上封書與之, 乃劉忠正所上也. 云, “右僕射金致陽, 覬覦非望,…
    #채충순 #중추원부사 #유진 #최항 #유충정 #상서우복야 #김치양 #대량원군 #태조 #감찰어사 #고영기 #삼각산 #신혈사 #선휘판관 #황보유의 #성종 #종묘사직 #합문사인 #유행간 #현종 #직중대 #이부시랑 #좌간의대부 #거란 #광주 #시랑 #충숙 #장연우 #주저 #유종 #김응인 #이부상서 #참지정사 #추충진절위사공신 #제양현개국남 #검교태위 #제양현개국자 #보국공신 #내사시랑평장사 #서경유수 #소사 #문하시랑평장사 #판서경유수사 #정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윤소종(尹紹宗)
    윤소종尹紹宗
    尹紹宗, 字憲叔, 贊成事致仕澤之孫. 恭愍朝擢魁科, 選補史官, 累轉爲正言. 草䟽陳時事曰, “皇天生民, 而不能使之各得其所, 必命聖人爲之君, 以代治之. 故位曰天位, 民曰天民, 而設官分職, 則代天工也. 本朝之制, 中書則有令․侍中․平章․參政․政堂五者, 法天之五星也, 樞…
    #윤소종 #헌숙 #찬성사 #윤택 #사관 #정언 #중서성 #영 #시중 #평장사 #참지정사 #정당문학 #추밀원 #낭관 #명기 #관작 #사 #농 #공 #상 #공경대부 #공자 #경릉 #원나라 #원세조 #중관 #이대순 #별장 #오위 #산원 #세조 #공장 #공노비 #사노비 #중랑장 #봉익대부 #제갈공명 #전한 #후한 #대언 #김흥경 #이사 #조고 #신돈 #태봉 #태조 #경녕전 #효사관 #현릉 #의릉 #인희전 #5도와 양계 #김광대 #삼한 #왜구 #달단 #홍건적 #흥왕사의 난리 #전라도 #경상도 #개경 #양계 #5도 #별묘 #정릉 #헌납 #김윤승 #사의 #우현보 #우왕 #전교시승 #성균관사예 #전의부령 #예문관응교 #지신사 #이존성 #전교부령 #우리 태조 #정지 #곽광전 #창왕 #전교령 #원구 #종묘 #사직 #산릉 #진전 #신사 #축문 #도전 #사원 #사소 #시관 #천지 #종사 #대신 #정자 #소신 #적전 #제전 #태위 #순 #우 #문조 #신종 #양부 #산재 #치재 #경연 #태묘 #곤룡포 #면류관 #도당 #우사의대부 #이인임 #허응 #민개 #대사성 #서연 #주역 #강보 #논어 #종묘사직 #서경 #소학 #노양공 #강관 #환관 #궁첩 #선비 #대부 #관각 #학사 #궁인 #내신 #주 #상저 #옥배 #영서연 #지서연 #태사 #태부 #시독 #소사 #소부 #탕 #이윤 #제나라 #환공 #관중 #정도전 #공양왕 #대사헌 #조준 #좌상시 #경연강독관 #이숭인 #이색 #영흥군 #변안열 #정관정요 #정몽주 #당 #대학연의 #강릉 #문하평리 #윤호 #유만수 #첨서밀직사사 #우홍수 #동지밀직사사 #유광우 #상의문하부사 #최원지 #밀직부사 #유용생 #판자혜부사 #정희계 #자혜부윤 #이방과 #김인찬 #이행 #밀직사 #강회백 #지밀직사사 #윤사덕 #김락 #김철 #화령백 #이조총랑 #이황 #조계종 #승려 #찬영 #왕사 #성석린 #불교 #성탕 #문왕 #태공 #상나라 #주나라 #요 임금 #순 임금 #하 #은 #한나라 #명제 #양 #무제 #후경 #대성 #당나라 #헌종 #형부시랑 #한유 #최응 #신라 #조계종 승려 #탕왕 #하나라 #무왕 #요진 #구마라습 #바라발제 #지공 #응창 #오호북적 #숭인문 #진 #대간 #요동 #장단현 #문묘 #사전 #규전 #변정도감 #예의판서 #상호군 #송문중 #이성계 #심덕부 #이사위 #금주 #최을의 #반복해 #상시 #유배 #회군 #간관 #병조전서 #수문전학사 #동지춘추관사 #윤회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지리지(地理志)
    왕경(王京) 개성부(開城府)
    왕경王京 개성부開城府
    본래 고구려의 부소갑(扶蘇岬)인데 신라에서 송악군(松嶽郡)으로 고쳤다. 태조 2년(919)에 송악(松嶽)의 남쪽에 도읍을 정하여 개주(開州)라 하고 궁궐을 창건하였다. 【회경전(會慶殿) 회경전 고려 왕궁의 정전(正殿). 창합문(閶閤門) 안에 있었다. 이곳에서 …
    #고구려 #부소갑 #신라 #송악군 #태조 #송악 #개주 #회경전 #승경전 #응건전 #봉원전 #장령전 #천령전 #함경전 #향복전 #건명전 #저상전 #명경전 #금명전 #건덕전 #대관전 #문덕전 #수문전 #연영전 #집현전 #선정전 #광인전 #선명전 #목청전 #함원전 #정덕전 #만수전 #영수전 #중광전 #강안전 #연친전 #목친전 #오성전 #영헌전 #자화전 #집희전 #정양궁 #서화전 #수춘궁 #여정전 #망운루 #관상루 #의춘루 #소휘루 #신봉문 #의봉문 #춘덕문 #체통문 #대초문 #태정문 #창합문 #운룡문 #회일문 #이빈문 #창덕문 #흥례문 #개경문 #황극문 #금마문 #연수문 #천복문 #자신문 #통천문 #영통문 #경양문 #양화문 #안우문 #순우문 #좌우승천문 #통가문 #좌우선경문 #부우문 #좌우연우문 #봉명문 #교화문 #장녕문 #조인문 #선화문 #통인문 #흥태문 #분방문 #양춘문 #광양문 #대평문 #중화문 #백복문 #보화문 #통경문 #성덕문 #동화문 #경도문 #서화문 #향성문 #대청문 #청태문 #영안문 #흥안문 #시전 #방리 #5부 #광종 #개경 #황도 #성종 #개성부 #적현 #기현 #현종 #현령 #정주 #덕수 #강음 #장단현령 #송림 #임진 #토산 #임강 #적성 #파평 #마전 #상서도성 #경기 #경성 #안정방 #봉향방 #영창방 #송령방 #양제방 #창령방 #홍인방 #덕수방 #덕풍방 #안흥방 #덕산방 #안신방 #삼송방 #오정방 #건복방 #진안방 #향천방 #정원방 #법왕방 #흥국방 #오관방 #자운방 #왕륜방 #제상방 #사내방 #사자암방 #내천왕방 #남계방 #흥원방 #홍도방 #앵계방 #유암방 #변양방 #광덕방 #성화방 #나성 #정부 #나각 #자안문 #안화문 #성도문 #영창문 #안정문 #숭인문 #홍인문 #선기문 #덕산문 #장패문 #덕풍문 #영동문 #회빈문 #선계문 #태안문 #앵계문 #선엄문 #광덕문 #건복문 #창신문 #보태문 #선의문 #산예문 #영평문 #통덕문 #황성 #광화문 #통양문 #주작문 #남훈문 #안상문 #귀인문 #영추문 #장평문 #건화문 #금요문 #태화문 #상동문 #화평문 #조종문 #선인문 #청양문 #현무문 #북소문 #공장 #문종 #지개성부사 #도성 #서해도 #평주 #우봉군 #충렬왕 #부윤 #개성현 #공민왕 #송도 #공양왕 #장단 #개성 #해풍 #우봉 #양광도 #한양 #사천 #교하 #고봉 #풍양 #심악 #행주 #해주 #견주 #포주 #봉성 #김포 #양천 #부평 #동성 #석천 #황조 #황어 #부원 #과주 #인주 #안산 #금주 #남양 #수안 #교주도 #영흥 #안협 #승령 #삭령 #철원 #연안 #백주 #협주 #신은 #통진 #안주 #봉주 #서흥 #서원 #영평 #이천 #연주 #삭녕 #강화 #교동 #곡주 #재령 #협계 #도관찰출척사 #수령관 #왕도 #진산 #숭악전 #신사 #용수산 #진봉산 #동강 #서강 #예성강 #벽란도 #속군 #속현 #동비홀 #경덕왕 #개성군 #개성현령 #대정 #의조 #용녀 #기평도 #우잠군 #우령 #수지의 #예종 #감무 #구룡산 #국조 #성골장군 #성거산 #박연 #상연 #하연 #가뭄 #기우제 #이영간 #승천부 #지부사 #충선왕 #해풍군 #백마산 #장원정 #도선 #송악명당기 #태사령 #김종윤 #병악 #하원도 #중방제 #중방 #반주 #덕물현 #인물현 #흥왕사 #치소 #조강도 #인녕도 #굴압현 #강서 #영현 #인종 #장천성현 #야야 #야아 #목종 #시중 #한언공 #단주 #장단도 #가곡 #장항현 #고사야홀차 #장단현 #영통사 #송경 #아간 #강충 #보육 #마아갑 #오사함달현 #진임성현 #오아홀 #남경 #한양윤 #이안 #태묘 #임진도 #약지두치현 #지섬 #삭두 #여비 #고려 #불일사 #오관산 #문충 #악부 #오관산곡 #마전천현 #이사파홀 #임단 #적성현 #칠중성 #중성 #내소군 #감악 #소사 #거란 #당나라 #설인귀 #산신 #파해평사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지리지(地理志)전라도(全羅道)
    1. 전주목(全州牧)
    全州牧
    본래 백제의 완산(完山)【비사벌(比斯伐), 혹은 비자화(比自火)라고도 함】으로, 위덕왕(威德王) 원년(554)에 완산주(完山州)라고 하였으며 11년(564)에 주(州)를 폐지하였다. 의자왕 19년(659)에 신라가 당나라 장수 소정방과 함께 백제를 멸망시키고 …
    #백제 #완산 #비사벌 #비자화 #위덕왕 #완산주 #의자왕 #신라 #당나라 #소정방 #진흥왕 #신문왕 #경덕왕 #전주 #견훤 #태조 #안남도호부 #성종 #승화절도안무사 #12주 절도사 #순의군 #강남도 #현종 #안남대도호부 #공민왕 #야사불화 #부곡 #완산부 #견성 #신창진 #속군 #속현 #지사부 #지사군 #현령관 #마한국 #후조선 #기준 #위만 #한 #마한 #온조왕 #금마저 #고려 #충혜왕 #원나라 #순제 #기황후 #익주 #미륵산석성 #기준성 #무강왕 #말통대왕릉 #무왕 #서동 #알야산현 #야산 #금마군 #영현 #공양왕 #여량감무 #소력지현 #명종 #감무 #난진아현 #월량현 #장계군 #마령 #마이산 #서다산 #소사 #우소저현 #고산현 #난등량 #진동 #운제 #지벌지현 #지실지 #덕은군 #마돌현 #마진 #마등량 #임실군 #지량초현 #낭산 #내리아현 #김제군 #두이현 #왕무 #두성 #감물아현 #임피군 #함라 #충숙왕 #함열현 #도내산은소 #백안부개 #용안현 #풍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3Next PageLast Page총 22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