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고종
    고종 13년(1226) 병술년
    고종 13년(1226) 병술년
    13년 봄 정월 정축일. 왕이 법왕사(法王寺)에 행차했다. 계미일. 지진이 발생했다. ○ 왜적이 경상도 연해의 주군(州郡)을 침구하자 거제현령(巨濟縣令) 진용갑(陳龍甲)이 수군(舟師)을 이끌고 사도(沙島)(지금의 여수시 화정면 사도)에…
    #법왕사 #왜적 #거제현령 #진용갑 #수군 #사도 #건성사 #참지정사 #정방보 #오예 #서경 #조영수 #석준 #김대지 #김광영 #낭장 #황승룡 #동방림 #개경 #대정 #김국인 #유수 #진식 #교위 #봉은사 #왜 #금주 #추밀원사 #문한경 #평봉궁 #지진 #팔관회 #공천원 #유언침 #동지추밀원사 #좌산기상시 #최종준 #최정분 #정공수 #추밀원부사 #상서우복야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고종
    고종 14년(1227) 정해년
    고종 14년(1227) 정해년
    14년 봄 정월 무오일. 태자부(太子府)를 설치하면서, 문하시중 이연수(李延壽)와 참지정사 김취려(金就礪)를 보내 책문(冊文)과 인장을 하사했다. 경진일. 왕이 법왕사(法王寺)에 행차했다. 2월 경인일. 큰 지진이 발생했다…
    #태자부 #문하시중 #이연수 #참지정사 #김취려 #책문 #인장 #법왕사 #지진 #최우 #교동 #선경전 #금경도량 #외제석원 #현성사 #왜적 #금주 #방호별감 #노단 #웅신현 #별장 #정금억 #우박 #일본국 #봉은사 #태백성 #사홍기 #보문각 #효경』 #왕륜사 #여정궁 #시학공자 #급사 #유순 #정위 #이소 #건성사 #소재도량 #보제사 #감수국사 #평장사 #최보순 #수찬관 #김양경 #임경숙 #유승단 #사관 #해인사 #동계병마사 #동진 #정주 #장주 #우군병마사 #상장군 #조염경 #지병마사 #대장군 #김승준 #중군병마사 #추밀원사 #정공수 #후군병마사 #정순우 #김지성 #경령전 #수문전 #무능승도량 #천황당 #초제 #안변부 #의주 #낭장 #김이생 #자문지유 #북계 #화주성 #김중구 #서경유수 #남경유수 #명주부사 #백령도 #어사대 #문유필 #판예부사 #공천원 #지문하성사 #이부상서 #유언침 #예부상서 #최종준 #지추밀원사 #좌산기상시 #최정분 #최정화 #동지추밀원사 #호부상서 #이원함 #기저 #추밀원부사 #진식 #우복야 #한림학사 #사광보 #병부상서 #김숙룡 #추밀원좌승선 #공부상서 #지이부사 #정전 #이중민 #형부상서 #최종번 #추밀원좌부승선 #이정 #우승선 #이규보 #판위위사 #지제고 #유경현 #상서우승 #지어사대사 #백돈분 #시비서감 #좌간의대부 #급제 #박인 #일본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원종
    원종 6년(1265) 을미년
    원종 6년(1265) 을미년
    6년 봄 정월 을미일. 광평공(廣平公) 왕순(王恂), 왕순(?~1285) 경원공(慶原公) 왕조(王祚)의 아들인 왕혜(王譓)의 처음 이름이다. 그에 대해서는 『고려사』 권91, 열전4, 종실, 희종, 경원공 왕조전 참조 대장군 김방경(金方慶), 중서사인…
    #광평공 #대장군 #김방경 #중서사인 #장일 #몽고 #김준 #시중 #신격전 #영보도량 #연등회 #봉은사 #현성사 #초제 #건성사 #복령사 #공덕천도량 #함녕절 #장군 #이선 #보제사 #소재도량 #경령전 #인종 #명종 #왕륜사 #소군 #어사대 #가구옥 #안경공 #도가 #수경신 #왜적 #안홍민 #삼별초 #묘통사 #편전 #평장사 #이장용 #좌복야 #채정 #해양후 #진사 #선초 #형부낭중 #최자경 #최녹흥 #대관승 #최송준 #유배 #시어사 #이영 #낭장 #김정 #백좌인왕도량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충렬왕
    충렬왕 6년(1280) 경진년
    충렬왕 6년(1280) 경진년
    봄 정월 갑진일. 주열(朱悅)과 곽여필(郭汝弼)을 파직 파직 경상도 계점사(計點使)와 전라도 계점사로 각각 파견된 주열과 곽여필이 내고(內庫)의 처간(處干)을 사역시키지 말도록 하는 명령을 따르지 않다가 파면된 사실을 말한다. 이 사건에 대해서는 『고려…
    #주열 #곽여필 #참형 #교수형 #사면 #대장군 #인후 #장군 #고천백 #타나 #원나라 #동지 #관음사 #덕천사 #익장 #영춘현 #현리 #창기 #옥진 #원종 #쿠치 #친종장군 #박연 #중랑장 #이인 #동녕부 #공장 #교위 #정지연 #환도 #낭기아다이 #응방 #카바나 #유거 #대부 #내부 #수강궁 #사판궁 #밀직부사 #이존비 #전라도 #전함 #현화사 #승지 #염승익 #절령참 #옹진현 #주기 #개경 #사신 #회회 #조인규 #검교대장군 #오광찰 #명인전 #시위장군 #홍정 #동복현 #승려 #조영 #서해도 #전수미 #절령도 #초제 #제왕 #재추 #유경 #황보기 #최영 #송송례 #변윤 #감찰사 #강화경 #공부 #좌창 #우창 #대방주 #칠색 #안색 #아칙치 #양반 #노복 #녹패 #안렴사 #별감 #명주 #모시 #가죽 #돈 #포 #과실 #명표지 #시사 #심양 #숭문관 #잡단 #진척 #문응 #유배 #전중시사 #이승휴 #김일 #시승 #낭장 #우천석 #좌랑 #민훤 #광주판관 #이인정 #지후 #민지 #장경도량 #백문절 #반부 #곽예 #카야 #번국 #유사 #과거 #국자감 #사재윤 #김제 #정랑 #최옹 #좌사간 #방유 #통사사인 #유연 #권지지후 #설조 #이극 #오한경 #경사교수 #조윤통 #중서성 #담선법회 #서리 #간유지 #평장정사 #아카마 #홍원사 #진전직 #장인경 #길상사 #지선 #능묘 #가뭄 #부채 #삿갓 #이백기 #급제 #시부 #서적점녹사 #조간 #황패 #내시 #왜적 #고성군 #칠포 #한희유 #순마 #영부 #경상도 #합포현 #격구 #양루 #우박 #전시 #대제 #유비 #누리 #응경궁 #한벽루 #태통문 #박의 #원경 #첨의중찬 #김방경 #정가신 #서해도 계점사 #우준충 #도지휘사 #김주정 #쌍성 #민호 #한신 #덕광 #연첩아 #차관 #위문개 #전호 #개원로 #선위사 #탐라 #다루가치 #주철 #아야치 #대청도 #창의현 #영녕공 #상도 #차간노르 #일본 정벌 #입조 #힌두 #홍다구 #범문호 #일본 #한족 연합군 #남송군 #강남 #이끼도 #고려군 #한족군 #토리티무르 #몽고군 #동정성사 #군관 #패면 #안찰사 #승상 #안톤 #북경 #강수형 #송정 #정동원수부 #진무 #예쉬데르 #관자 #우승 #좌승 #이정 #행중서성 #선원 #최인저 #북경로 #요양로 #수달단 #일본정벌 #지휘사 #판관 #녹사 #도평의사사 #궁인 #아시감찰 #팔관회 #표문 #마제산 #정동행성 #자모아란 #두목 #중찬 #정동군사 #일본국 #정벌 #추밀원 #아후룩 #관군두목 #카비치바가투르 #두목관령 #군중 #차사 #친관두목 #순초 #군호 #행추밀원 #도원수 #초토만호 #관군관 #수령관 #진무인 #제형안찰사관 #노예 #관총사 #총사 #시위친군 #구구 #친관두목관령 #관군 #신부군인 #카비치 #양양부 #군역 #장정 #두목군인 #종파군관 #전량관 #본관두목인 #방리정 #향사 #천호 #백호 #패자 #총파관원 #전고인 #관군관원 #관군관리 #차 #소금 #술 #세국 #중서행성 #만호 #관군총관 #총파 #관사 #원수 #총관 #산군 #좌우부원수 #사만호 #부만호 #총관소관군 #부총관 #천호소관군 #부천호 #총관파소관군 #원수부 #경력 #지사 #영사 #역사 #통사 #지인 #가각고관 #진무소 #만호부 #총관소 #제령안독 #탄압 #천호소 #지관 #지인탄압 #총파소 #백호소 #사리 #3관 #총랑 #김원 #조윤번 #우승지 #요나라 #금나라 #개부의동삼사 #특진 #상주국 #행성 #자관 #차부 #부마 #두련가 #국왕 #쿠테치 #정토군 #일본 정벌군 #타포호 #진도 #상장군 #박지량 #문수 #나유 #조규 #정수기 #이신 #박보 #노정유 #안사 #조변 #안적재 #허홍재 #김덕지 #서정 #임개 #김신정 #이정익 #박익환 #유보 #김천록 #이신백 #신혁 #최공절 #여문취 #안흥 #이순 #김복대 #차공윤 #이당공 #박성진 #고세화 #송인윤 #옥환 #계부 #김천고 #서광순 #함익심 #충청도 #교주도 #동계 #병선 #원정 #정장 #동경로 #호두패 #수수군 #두령 #박구 #토토카순 #추고관두목 #회동관사 #장헌 #이부주사 #에센카야 #일관 #정인경 #허공 #참문학사 #세자보 #홍자번 #지첨의부사 #세자이사 #한강 #좌상시 #송분 #지밀직사사 #세자원빈 #동지밀직사사 #김백균 #채인평 #삼사사 #판도판서 #조서 #서문 #중서좌승상 #행중서성사 #인신 #중봉대부 #관령고려군도원수 #소용대장군 #좌우부도통 #호두금패 #선무장군 #왕경단사관 #금패 #무덕장군 #관군천호 #소신교위 #관군총파 #은패 #김중성 #충현교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충렬왕
    충렬왕 15년(1289) 기축년
    충렬왕 15년(1289) 기축년
    봄 정월 무자일. 왕과 공주가 묘련사(妙蓮寺)에 행차했다. 경자일. 찬성사(贊成事) 강수형(康守衡) 강수형(?~1289) 진주(晉州)(지금의 경상남도 진주시) 출신으로 몽고에 포로가 되었다가 역관(譯官)이 된 강화상(姜和尙)을 말한다. 원나라…
    #묘련사 #찬성사 #강수형 #중찬 #송송례 #관례 #서원후 #감찰 #아루운 #원나라 #호광등로행상서성 참지정사 #장수지 #한림직학사 #이천영 #조서 #상서성 #요동 #강남 #효신사 #일식 #장군 #오인영 #아쿠다이 #장순룡 #수녕궁 #감찰사승 #여문취 #직사관 #진과 #개주 #충청도 지휘사 #임비 #전라도 지휘사 #좌사의대부 #최양 #지밀직사사 #나유 #충청도 도순문사 #판삼사사 #박지량 #전라도 도순문사 #홍문계 #내고 #서리 #목촌 #가뭄 #금주령 #우박 #싸락눈 #단오 #양루 #격구 #무당 #원구 #대장군 #유비 #남정 #태백성 #아루곤 #이성 #은 #옥대 #금포 #서해도 #카이두 #아단부카 #홍자번 #조인규 #봉은사 #박구 #인후 #김흔 #동지밀직사사 #채인규 #외원 #소재도량 #탐라안무사 #쿠두타르 #중서성 #청사 #분 #병 #만호 #조정군 #요양행성 #환관 #권귀 #사전 #양민 #부역 #안렴사 #권농사 #시리기 #인물도 #예리부 #고란도 #사리지 #여음도 #유배 #수강궁 #양공적 #합포 #신사전 #고려국유학제거사 #마제산 #현성사 #원경 #입조 #금자원 #추밀원 #일본 정벌 #백정인 #첨의중찬 #유경 #염승익 #안향 #사관 #사신 #궁전배 #중원후 #박의 #고니 고기 #동계 #방수군 #왜적 #연화도 #저전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충정왕
    충정왕 2년(1350) 경인년
    충정왕 2년(1350) 경인년
    봄 정월 경오일. 부왕의 기일을 맞아 왕이 신효사(神孝寺)에 갔다. 경진일. 왕이 사부(師傅)인 상의(商議) 민사평(閔思平), 시학(侍學) 신덕린(申德隣) 신덕린(?~?) 본관은 고령(高靈)이며 자는 불고(不孤)이다.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 …
    #신효사 #상의 #민사평 #시학 #신덕린 #안길상 #봉질 #손규 #왜적 #고성 #죽림 #거제 #합포 #천호 #최선 #도령 #양관 #최용생 #경상도 안렴사 #환관 #원나라 #어향사 #주울제이테무르 #김유겸 #권겸 #오자순 #연경궁 #왜적기양법석 #이권 #경상도 #전라도 #도지휘사 #첨의 #유탁 #양광도 #도순문사 #순천부 #남원 #구례 #영광 #장흥 #조운선 #영빈관 #도첨의 #최유 #조유 #참리 #최천택 #지도첨의사 #강득룡 #삼사우사 #한중례 #정당문학 #한대순 #판밀직사사 #윤전 #이견 #황순 #지밀직사사 #김구년 #동지밀직사사 #홍유 #김승한 #김상린 #이춘부 #고충 #밀직부사 #곽균 #밀직제학 #윤시언 #지신사 #이거경 #좌대언 #윤척 #손득수 #우좌부대언 #회원 #장흥부 #안양향 #민천사 #천녕부원군 #김광재 #손홍량 #복천부원군 #이태보 #성산군 #진사문 #창양군 #계성군 #박연준 #청원군 #금교 #강안전 #영보도량 #동래군 #염제신 #윤신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공민왕
    공민왕 7년(1358) 무술년
    공민왕 7년(1358) 무술년
    봄 2월 무자일. 성원규(成元揆) 성원규(?~1382) 충목왕~우왕 때 강릉도 존무사(存撫使)․전주도 병마사(兵馬使)․나주도 병마사(兵馬使)․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문하평리(門下評理)를 역임한 관료이다. 공민왕 때에는 명나라에 성절사(聖節使)로 다…
    #강릉도존무사 #해주목사 #존무사 #원의 #염제신 #문하시중 #황석기 #김용 #중서시랑 #문하평장사 #전보문 #김일봉 #중서평장사 #경천흥 #지문하정사 #이천선 #참문하정사 #안우 #참지중서정사 #정세운 #지문하사 #유인우 #최인원 #수사공 #배천경 #판추밀원사 #황상 #추밀원사 #이춘부 #지추밀원사 #유숙 #이여경 #동지추밀원사 #정휘 #김원봉 #추밀원부사 #왜적 #각산수 #첨의평리 #강지연 #형부상서 #최연 #원나라 #정주부사 #주영세 #전라도만호 #강중상 #개경 #홍건적 #가뭄 #최영 #안렴사 #이달충 #한주 #진성창 #고용현 #동북면 #방국진 #착량 #방어사 #소윤 #정지상 #찰방 #탁도경 #울제이부카 #면주 #교동 #서강병마사 #동강병마사 #호군 #이원림 #교동왜적추포부사 #12공도 #베 #재추 #상승국 #조한경 #양광도 #형부 #조천규 #서경군민만호부 #만호 #추밀원직학사 #김득배 #부관 #참지정사 #안주군민만호부 #삭방도군민만호부 #상장군 #한방신 #김승택 #승상 #장사성 #이문 #시라부카 #침향산 #수정산 #화목병 #옥대 #철장 #채단 #회수 #오나라 #항주 #태위 #강절해도방어만호 #정문빈 #황찬 #친욱 #문정 #절강성 #우부승선 #한림학사 #이색 #백저포 #흑마포 #호피 #문표피 #한림 #백고좌도량 #광명사 #전라도도진무 #유익환 #경상도진무 #우승길 #고성현령 #위양용 #검모포 #전라도 #조운선 #장인보 #도강 #당선 #화지량 #봉은사 #태조 #진전 #인주 #이암 #수문하시중 #판사천대사 #진영서 #우필흥 #수안 #곡주 #이자송 #찰리사 #어사대 #내시 #이방귀 #현덕궁 #홍사범 #인왕도량 #밀직제학 #정연 #왕균 #홍순 #인삼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공민왕
    공민왕 9년(1360) 경자년
    공민왕 9년(1360) 경자년
    봄 정월 초하루 기축일.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 정세운(鄭世雲)을 서북면 도순찰사(都巡察使)로 임명하는 한편 전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차등을 두어 은그릇, 솜과 비단, 의복을 내려주었다. 정유일. 주사충(朱思忠)이 적도들이 보낸 회답을 가지고 …
    #정세운 #은그릇 #솜 #비단 #김진 #의주 #서경 #정주 #형부상서 #환자 #김현 #어사대 #구정 #이방실 #철화 #제군 #생양역 #용강 #함종 #안주군민만호부도만호 #상만호 #김어진 #부만호 #한양 #강양백 #이승로 #수안곡주등처축성감독사 #안진 #판개성부사 #신부 #장군 #이견 #원수 #심자 #황지선 #증산현 #선주 #압록강 #이승경 #개경 #경천흥 #안우 #김득배 #서해도 #풍주 #벽달포 #덕도 #석도 #봉주 #안악군 #원당포 #황주 #비파포 #충근경절협모위원공신 #진충동덕협보공신 #추충절의정난공신 #중서평장정사 #수충보절정원공신 #정당문학 #추성협보공신 #추밀원부사 #안주 #성원포 #호부상서 #주사충 #요양 #철화포 #목사 #민후 #예주 #홍건적 #김백환 #권중화 #장사성 #서정 #베 #왜적 #사천 #각산 #경상도 #전라도 #안목 #회미 #옥구 #왕유 #양광도 #평택 #아주 #신평 #용성 #평장사 #유탁 #경기병마도통사 #판추밀원사 #이춘부 #동강도병마사 #환조 #판군기감사 #서강병마사 #윤신걸 #강화 #심몽룡 #교동현 #백악 #임진현 #남경 #한양윤 #이안 #익산군 #이공수 #환관 #방도적 #탕참 #심양 #이우승 #장국진 #침향 #비단필 #소윤 #창화사 #정자후 #윤환 #칠원후 #고흥후 #설손 #고창백 #참지정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공민왕
    공민왕 10년(1361) 신축년
    공민왕 10년(1361) 신축년
    봄 정월 무진일. 최영(崔瑩)을 서북면 도순찰사(都巡察使)로 임명했다. 2월 신묘일. 왕이 다음과 같은 교서를 내렸다. “내가 즉위한 이래로 하늘을 두려워하고 백성들을 아끼며 선조의 교훈을 규범으로 삼아 올바…
    #도순찰사 #환조 #판장작감사 #어사대 #이자춘 #동북면 #천호 #병마사 #재추 #회빈문 #호부상서 #북도 #여진족 #이제현 #서경 #전라양광도방어사 #김횡 #백악 #개경 #장사성 #옥술잔 #침향 #왕성 #왜적 #남해현 #배전 #고가노 #백고좌도량 #이겸 #고성 #울주 #거제 #낭장 #주언영 #요물고부사 #이중명 #정원 #장군 #이원립 #한방신 #동북면도병마사 #도첨의평리 #강중상 #경상도도순문진변사 #김영후 #이색 #밀직제학 #전대유 #이교 #부덕 #조바얀부카 #보인 #전등록 #동래 #조운선 #양주 #김해부 #사천 #밀성군 #주사충 #원나라 #북두성 #태조성무 #한교아 #만호 #박의 #임자부 #김천룡 #형부상서 #김진 #태조 #강계 #평장 #반성 #사유 #관선생 #주원수 #압록강 #삭주 #추밀원부사 #이방실 #동지추밀원사 #이여경 #절령 #왕서 #이성 #안우 #상원수 #정당문학 #김득배 #도병마사 #정휘 #무주 #순천 #은산 #성천 #양암 #수덕 #강동 #삼등 #상원 #홍언박 #문하시중 #지휘사 #김경제 #개주 #연주 #박주 #등주 #안주 #상장군 #이음 #조천주 #정세운 #정사도 #김규 #평장사 #이공수 #죽전 #김용 #총병관 #유연 #흥의역 #임진강 #두솔원 #시중 #이암 #경천흥 #유탁 #복야 #김일봉 #참정 #판추밀원사 #이춘부 #첨서 #김희조 #지추밀원사 #유숙 #손등 #지진사 #원송수 #승선 #김속명 #홍언유 #김달상 #병부상서 #목인길 #김원명 #이부상서 #홍사범 #간의 #김한룡 #이림 #장바얀 #원외 #김군정 #형부시랑 #곽충수 #정언 #박사신 #어사 #박대양 #시어사 #전녹생 #차비 #분수원 #안렴사 #안종원 #충주목사 #박희 #영서역 #남경유수 #최인원 #청주목사 #김성갑 #조진 #대장군 #김득제 #사평원 #개령감무 #쇄마 #광주 #경상도도순문 #전라도도순문 #최안소 #경안역 #상서우복야 #이성서 #양광도도순문 #지문하성사 #강석 #교주강릉도도순문 #이천현 #음죽현 #판각문사 #허유 #안무사 #허강 #배원경 #산원 #감무 #충주 #홍선 #유격장군 #남경윤 #양광도관군상만호 #조희고 #경주목사 #양광도부만호 #이지태 #순군 #서루 #영호루 #중서평장사 #검교중랑장 #김장수 #최영기 #행재소 #원주 #목사 #송광언 #안변부 #강화부 #비장 #왕동첨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공민왕
    공민왕 14년(1365) 을사년
    공민왕 14년(1365) 을사년
    봄 정월 무진일. 밀직부사 김유(金庾) 김유(?~1386) 김해사람으로 공민왕 때에 홍건적을 평정하고 서울을 수복한 공으로 이등공신이 되고 흥왕사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일등공신에 책봉되었다. 뒤에 원나라에 들어갔을 때 원에서 공민왕이 아들이 없다는 이…
    #김유 #원나라 #덕흥군 #요양 #지추밀원사 #카라엘지겐 #타스테무르 #정사도 #첨의평리 #이금강 #지첨의사 #홍순 #좌상시 #이성림 #판전교시사 #신익지 #덕녕공주 #최백 #좌부대언 #김정 #이자송 #백금 #안장 #교동 #강화 #동․서강 #도지휘사 #찬성사 #최영 #동강 #양백연 #소음산 #소응가 #아두라 #삭방 #이부시랑 #왕도르투 #이부주차 #호천석 #태위 #홍건적 #한방신 #비서감승 #안우경 #광문감승 #황상 #경정감승 #이구수 #태복시승 #이여경 #숭문감승 #봉훈대부 #행성 #왜적 #창릉 #세조 #김속명 #동서강도지휘사 #이공수 #도첨의시중 #경천흥 #수시중 #이수산 #판삼사사 #이인복 #송경 #이인임 #삼사좌․우사 #이순 #안우상 #판개성부사 #우제 #한휘 #김귀 #양백익 #지도첨의 #원송수 #정당문학 #박춘 #판밀직사사 #지용수 #송인적 #밀직사 #유연 #지밀직사사 #이색 #첨서밀직사사 #왕중귀 #김원명 #조희고 #동지밀직사사 #변안열 #한공의 #염지범 #홍사범 #밀직부사 #최맹손 #밀직제학 #서원군 #유숙 #서녕군 #부카테무르 #고성군 #장사성 #정릉 #김일봉 #한양윤 #김달상 #감찰대부 #전녹생 #환관 #부원군 #방절 #코케테무르 #심왕 #김선치 #예의판서 #이수 #김광조 #부천군 #화의군 #공천군 #김한귀 #편조 #이춘부 #도첨의찬성사 #임군보 #김란 #박희 #탁광무 #내서사인 #허소유 #감찰장령 #흥안부원군 #동천군 #남양군 #철원군 #계림윤 #형인추정도감 #보령군 #김군정 #좌대언 #왕복명 #우부대언 #4도감 #13색 #회원 #평리 #춘주 #광양 #예성군 #석문성 #장암 #진원부원군 #김수만 #이천 #이녕 #옥주 #유탁 #도당 #경기 #익산부원군 #청원부원군 #수춘부원군 #연안부원군 #청성군 #춘성군 #김보 #첨의찬성사 #권적 #목인길 #박원경 #홍영통 #최원우 #감찰집의 #김구수 #유원 #감찰지평 #불복장 #허유 #청주 #전공판서 #변광수 #삼척 #판사 #홍인계 #순흥 #금주 #전리판서 #허서 #전민 #전라도 #수졸 #감찰사 #호군 #우선좌 #오계남 #첨의사 #허옹 #이방 #개성윤 #평양윤 #군부판서 #성준득 #허전 #김안리 #전법판서 #임현 #박중미 #우․좌사의대부 #오승비 #허시 #좌헌납 #이득천 #이존오 #우․좌정언 #문수회 #진평후 #사도 #방국진 #첨원 #성대용 #삼사좌사 #안원숭 #우대언 #권중화 #우․좌부대언 #한홍도 #동산군 #박원 #윤환 #동서북면도통사 #도원수 #상원수 #부원수 #밀직사상의 #보내 #천추절 #대부소감 #안승 #보로테무르 #직성사인 #아툰에카이 #바이사릭 #태사우승상 #태부좌승상 #수정이순논도섭리보세공신벽상삼한삼중대광 #영도첨의사사사 #판감찰사사 #취성부원군 #제조승록사사 #판서운관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345678910Next PageLast Page총 182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