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종현종 7년(1016) 병진년현종 7년(1016) 병진년7년 봄 정월 경술일. 거란의 야율세량(耶律世良)과 소굴열(蕭屈烈)이 곽주(郭州)(지금의 평안북도 곽산군)를 침공하자, 아군이 맞붙어 싸웠으나 수만 명의 전사자가 났으며 적은 군수물자를 노획하여 돌아갔다. 갑인일. 거란의 사신 10명이 압록강…#야율세량 #소굴열 #곽주 #압록강 #수창궁 #정신용 #상서우복야 #상주국 #주연 #장군 #임억 #중랑장 #양춘 #낭장 #손간 #상약봉어 #강승영 #태사령 #정균백 #상승봉어 #강민첨 #내사사인 #병부 #진명 #유고가 #강효 #고연적 #김은부 #호부상서 #이수화 #최충 #좌․우보궐 #이작충 #구양징 #좌․우습유 #윤징고 #중추원부사 #장영 #좌산기상시 #채충순 #예부상서 #현릉 #부아산 #향림사 #곽원 #송나라 #김노현 #채굉 #이강 #왕미 #연상 #김훈 #명복궁 #황호맹 #조은 #고홀 #이응보 #섭사헌대부 #서눌 #중승 #유소 #잡단 #조자기 #시어사헌 #김우보 #이성공 #전중시어사헌 #안재균 #이원수 #유현좌 #이회 #곽신 #이주좌 #감찰 #사헌대 #왕흠 #연경원 #상서성 #귀주 #귤선 #영몽 #요두 #중추사 #상호군 #형부시랑 #우간의대부 #황보유의 #급사중 #김맹 #중추직학사 #지보 #항춘전 #왕수 #도병마사 #고적여 #서긍 #수암 #통주 #명복전 #김현 #이주헌 #유도 #고종 #주간 #종도 #남계 #정전 #나간 #서경유수 #손몽주 #봉대 #고리 #내사시랑평장사 #유방 #형부상서 #참지정사 #광예아 #원우 #공부상서 #지채문 #우상시 #슬불달 #대중상부
-
공민왕공민왕 16년(1367) 정미년공민왕 16년(1367) 정미년봄 정월 정해일. 원나라에서 전 요양이문(遼陽理問) 쿠두테무르[忽都帖木兒]를 보내 영릉(永陵)(충혜왕)에게는 터성선충숭인병덕협공인량공신(攄城宣忠崇仁秉德協恭寅亮功臣)의 칭호와 충혜(忠惠)라는 시호를, 명릉(明陵)(충목왕)에게는 협성보리연덕선혜봉화보경공신…#요양이문 #쿠두테무르 #영릉 #터성선충숭인병덕협공인량공신 #명릉 #협성보리연덕선혜봉화보경공신 #총릉 #수성이정좌리익순보의적경공신 #충숙왕 #바얀쿠둑공주 #숙공휘녕공주 #공민왕 #부다시리 #노국휘익대장공주 #이린지발공주 #정순숙의공주 #혜성 #원나라 #교방 #재추 #태부경 #대도려 #환관 #윤충좌 #고대비 #채색비단 #금견 #목호 #목사 #만호 #김유 #만호부 #제주 #신돈 #집현전대학사 #백한룡 #동지밀직사사 #왕중귀 #강화부 #연복사 #문수회 #금향로 #평장 #홍보보 #지요양연해행추밀원사 #에산테무르 #영안군 #도관좌랑 #견사제 #평양 #임박 #봉선사 #하남왕 #익비 #정비 #고라리 #첨의평리 #한휘 #국학 #중서성 #직성사인 #걸철 #이강 #밀직부사 #염흥방 #밀직지신사 #이운목 #전리판서 #김한귀 #지용수 #이성림 #이제현 #문묘 #왕륜사 #영전 #산타시리 #울제이테무르 #좌승상 #운암사 #정릉 #안화사 #장추사소경 #토오린테무르 #코케테무르 #총병관 #낙산사 #길상사 #박연 #나하추 #시중 #경천흥 #지도첨의 #오인택 #평리 #목인길 #삼사우사 #안우경 #삼사좌사 #김원명 #조희고 #판개성부사 #이순 #상호군 #조린 #윤승순 #유인재 #강원보 #대호군 #한덕경 #좌사의 #신덕린 #헌납 #박진손 #이준 #정언 #정리 #안면 #이색 #성군관대사성 #도첨의평리 #상의회의도감사
-
공민왕공민왕 17년(1368) 무신년공민왕 17년(1368) 무신년봄 정월 초하루 임신일. 신년하례행사를 거행하지 않았다. 병술일. 왕이 도보로 신돈의 집을 찾아갔다. 무자일. 일본국에서 승려 범탕(梵盪) 범탕(?~?) 공민왕 15년(1366)에 검교중랑장(檢校中郞將) 김일(金逸)을 일본에 보내어 …#신돈 #범탕 #범류 #김일 #요양성 #평장 #홍보보 #카라부카 #객성대사 #바얀테무르 #명나라 #법왕사 #왕륜사 #영전 #혜성 #현릉 #의릉 #선릉 #정릉 #묘련사 #연등화산 #9재 #이첨 #연복사 #문수회 #이강 #복원궁 #마암 #42도부 #정비궁 #이운목 #에산테무르 #강구사 #이하생 #대마도 #봉선사 #소재도량 #유탁 #첨서밀직 #정사도 #순군 #이춘부 #좌상시 #조민수 #의주 #정주 #안위사 #전리판서 #임견미 #안주순무사 #이금강 #광암사 #김지수 #원나라 #통주 #상도 #김달상 #홍주 #청주 #반야 #문천식 #천추절 #요양 #숭종경 #장자온 #오왕 #6부 #어사대 #강안전 #이용감태경 #만자한 #행성 #시어궁 #이성서 #도첨의우시중 #이인임 #좌시중
-
현종현종 7년(1016) 병진년현종 7년(1016) 병진년七年 春正月 庚戌 契丹耶律世良․蕭屈烈侵郭州, 我軍與戰, 死者數萬人, 獲輜重而歸. 甲寅 契丹使十人到鴨綠江, 不納. 乙卯 移御壽昌宮. 贈鄭神勇尙書右僕射上柱國, 周演將軍, 任憶中郞將, 楊春郞將, 孫簡尙藥奉御, 康承穎太史令, 授神勇子均伯, 郞將兼尙乘奉御. 戊午 以姜民…#야율세량 #소굴열 #곽주 #압록강 #수창궁 #정신용 #상서우복야 #상주국 #주연 #장군 #임억 #중랑장 #양춘 #낭장 #손간 #상약봉어 #강승영 #태사령 #정균백 #상승봉어 #강민첨 #내사사인 #병부 #진명 #유고가 #강효 #고연적 #김은부 #호부상서 #이수화 #최충 #좌․우보궐 #이작충 #구양징 #좌․우습유 #윤징고 #중추원부사 #장영 #좌산기상시 #채충순 #예부상서 #현릉 #부아산 #향림사 #곽원 #송나라 #김노현 #채굉 #이강 #왕미 #연상 #김훈 #명복궁 #황호맹 #조은 #고홀 #이응보 #섭사헌대부 #서눌 #중승 #유소 #잡단 #조자기 #시어사헌 #김우보 #이성공 #전중시어사헌 #안재균 #이원수 #유현좌 #이회 #곽신 #이주좌 #감찰 #사헌대 #왕흠 #연경원 #상서성 #귀주 #귤선 #영몽 #요두 #중추사 #상호군 #형부시랑 #우간의대부 #황보유의 #급사중 #김맹 #중추직학사 #지보 #항춘전 #왕수 #도병마사 #고적여 #서긍 #수암 #통주 #명복전 #김현 #이주헌 #유도 #고종 #주간 #종도 #남계 #정전 #나간 #서경유수 #손몽주 #봉대 #고리 #내사시랑평장사 #유방 #형부상서 #참지정사 #광예아 #원우 #공부상서 #지채문 #우상시 #슬불달 #대중상부
-
공민왕공민왕 16년(1367) 정미년공민왕 16년(1367) 정미년十六年 春正月 丁亥 元遣前遼陽理問忽都帖木兒, 追錫永陵曰攄誠宣忠崇仁秉德恊恭寅亮功臣, 謚忠惠, 明陵曰恊誠輔理演德宣惠奉化保慶功臣, 謚忠穆, 聰陵曰守誠履正佐理翊順保義迪慶功臣, 謚忠定. 忠肅王妃伯顔忽都公主曰肅恭徽寧公主, 王妃寶塔實里公主曰魯國徽翼大長公主, 封永陵妃亦憐眞班…#요양이문 #쿠두테무르 #영릉 #터성선충숭인병덕협공인량공신 #명릉 #협성보리연덕선혜봉화보경공신 #총릉 #수성이정좌리익순보의적경공신 #충숙왕 #바얀쿠둑공주 #숙공휘녕공주 #공민왕 #부다시리 #노국휘익대장공주 #이린지발공주 #정순숙의공주 #혜성 #원나라 #교방 #재추 #태부경 #대도려 #환관 #윤충좌 #고대비 #채색비단 #금견 #목호 #목사 #만호 #김유 #만호부 #제주 #신돈 #집현전대학사 #백한룡 #동지밀직사사 #왕중귀 #강화부 #연복사 #문수회 #금향로 #평장 #홍보보 #지요양연해행추밀원사 #에산테무르 #영안군 #도관좌랑 #견사제 #평양 #임박 #봉선사 #하남왕 #익비 #정비 #고라리 #첨의평리 #한휘 #국학 #중서성 #직성사인 #걸철 #이강 #밀직부사 #염흥방 #밀직지신사 #이운목 #전리판서 #김한귀 #지용수 #이성림 #이제현 #문묘 #왕륜사 #영전 #산타시리 #울제이테무르 #좌승상 #운암사 #정릉 #안화사 #장추사소경 #토오린테무르 #코케테무르 #총병관 #낙산사 #길상사 #박연 #나하추 #시중 #경천흥 #지도첨의 #오인택 #평리 #목인길 #삼사우사 #안우경 #삼사좌사 #김원명 #조희고 #판개성부사 #이순 #상호군 #조린 #윤승순 #유인재 #강원보 #대호군 #한덕경 #좌사의 #신덕린 #헌납 #박진손 #이준 #정언 #정리 #안면 #이색 #성군관대사성 #도첨의평리 #상의회의도감사
-
공민왕공민왕 17년(1368) 무신년공민왕 17년(1368) 무신년十七年 春正月 壬申朔 放朝賀. 丙戌 王步幸辛旽家. 戊子 日本國遣僧梵盪․梵鏐, 偕金逸來報聘. 遼陽省平章洪寶寶․哈刺不花等, 遣客省大使卜顔帖木兒來諭, “大明兵勢甚盛, 請悉心備禦.” 二月 丁未 幸法王․王輪二寺, 遂幸影殿. 己未 彗見于西方, 長丈餘, 乙…#신돈 #범탕 #범류 #김일 #요양성 #평장 #홍보보 #카라부카 #객성대사 #바얀테무르 #명나라 #법왕사 #왕륜사 #영전 #혜성 #현릉 #의릉 #선릉 #정릉 #묘련사 #연등화산 #9재 #이첨 #연복사 #문수회 #이강 #복원궁 #마암 #42도부 #정비궁 #이운목 #에산테무르 #강구사 #이하생 #대마도 #봉선사 #소재도량 #유탁 #첨서밀직 #정사도 #순군 #이춘부 #좌상시 #조민수 #의주 #정주 #안위사 #전리판서 #임견미 #안주순무사 #이금강 #광암사 #김지수 #원나라 #통주 #상도 #김달상 #홍주 #청주 #반야 #문천식 #천추절 #요양 #숭종경 #장자온 #오왕 #6부 #어사대 #강안전 #이용감태경 #만자한 #행성 #시어궁 #이성서 #도첨의우시중 #이인임 #좌시중
-
제신(諸臣)이암(李嵒)이암李嵒이암(李嵒) 이암(1297~1364) 본관은 고성(固城)(지금의 경상남도 고성군)이며 아버지는 이우(李瑀)이고 어머니는 함양 박씨 박지량(朴之亮)의 딸이다. 이우는 뚤루게[禿魯花]로 몽고에 갔으며 고위 관직에 오르지는 못하였다. 이암은 충선왕(忠宣王) 5년(1…#이암 #고운 #이군해 #이존비 #이인성 #백문절 #과거 #내시 #국학박사 #직한림원 #이부시랑 #상서우승 #사의대부 #좌승지 #좌부승지 #김주정 #비칙치 #밀직부사 #일본 정벌 #도순문사 #판밀직사사 #감찰대부 #세자원빈 #이우 #철원군 #충선왕 #충숙왕 #부인 #비성교감 #도관정랑 #밀직대언 #겸 감찰집의 #충혜왕 #지신사 #동지추밀원사 #정당문학 #첨의평리 #한용규 #전교부령 #충목왕 #찬성사 #제학 #정사도 #정방 #제조 #환관 #고용보 #밀성 #광양 #충정왕 #원나라 #정방제조 #추성수의동덕찬화공신 #좌승상 #청평산 #수문하시중 #홍건적 #서북면도원수 #박거사 #평장사 #이승경 #철성부원군 #추성수의동덕찬화익조공신 #문정 #태갑편 #이강 #이인 #이숭 #이음 #고성군 #상장군
-
제신(諸臣)이암(李嵒) 부 이강(李岡)이암李嵒 부 이강李岡이강(李岡) 이강(1333~1368) 이암의 아들로 처음 이름은 이강(李綱)이었으나 피휘하여 이강(李岡)으로 고쳤다. 15살에 과거에 급제한 후 그 능력을 인정받아 관직이 밀직부사(密直副使)에 이르렀으며 이색(李穡), 염흥방(廉興邦), 한수(韓脩)와 교유하였다…
-
제신(諸臣)이암(李嵒)이암李嵒李嵒, 字古雲, 初名君侅. 祖尊庇, 初名仁成, 早孤, 學於其舅白文節. 善屬文, 工隷書. 元宗初登第, 籍內侍, 遷國學博士直翰林院, 累轉吏部侍郞. 忠烈朝, 歷尙書右丞司議大夫, 拜左承旨. 時左副承旨金周鼎建議, 新置必闍赤, 委機務. 尊庇正直, 初不與其議故, 不在選中,…#이암 #고운 #이군해 #이존비 #이인성 #백문절 #과거 #내시 #국학박사 #직한림원 #이부시랑 #상서우승 #사의대부 #좌승지 #좌부승지 #김주정 #비칙치 #밀직부사 #일본 정벌 #도순문사 #판밀직사사 #감찰대부 #세자원빈 #이우 #철원군 #충선왕 #충숙왕 #부인 #비성교감 #도관정랑 #밀직대언 #겸 감찰집의 #충혜왕 #지신사 #동지추밀원사 #정당문학 #첨의평리 #한용규 #전교부령 #충목왕 #찬성사 #제학 #정사도 #정방 #제조 #환관 #고용보 #밀성 #광양 #충정왕 #원나라 #정방제조 #추성수의동덕찬화공신 #좌승상 #청평산 #수문하시중 #홍건적 #서북면도원수 #박거사 #평장사 #이승경 #철성부원군 #추성수의동덕찬화익조공신 #문정 #태갑편 #이강 #이인 #이숭 #이음 #고성군 #상장군
-
제신(諸臣)이암(李嵒) 부 이강(李岡)이암李嵒 부 이강李岡岡, 字思卑. 少好學, 年十五登第. 忠定時, 選充侍讀, 及王遜于江都, 岡從之. 恭愍卽位, 召見奇之, 授典儀注簿, 掌符璽, 常在左右, 愈久愈謹. 爲吏部郞中, 當遷, 岡奏曰, “臣執筆注臣名, 臣實不敢.” 王益重之. 出爲慶尙道按廉使, 王之南幸也, 迎候盡禮, 供億甚盛…
-
현종 7년(1016) 병진년7년 봄 정월 경술일. 거란의 야율세량(耶律世良)과 소굴열(蕭屈烈)이 곽주(郭州)(지금의 평안북도 곽산군)를 침공하자, 아군이 맞붙어 싸웠으나 수만 명의 전사자가 났으며 적은 군수물자를 노획하여 돌아갔다. 갑인일. 거란의 사신 10명이 압록강…
-
공민왕 16년(1367) 정미년봄 정월 정해일. 원나라에서 전 요양이문(遼陽理問) 쿠두테무르[忽都帖木兒]를 보내 영릉(永陵)(충혜왕)에게는 터성선충숭인병덕협공인량공신(攄城宣忠崇仁秉德協恭寅亮功臣)의 칭호와 충혜(忠惠)라는 시호를, 명릉(明陵)(충목왕)에게는 협성보리연덕선혜봉화보경공신…
-
공민왕 17년(1368) 무신년봄 정월 초하루 임신일. 신년하례행사를 거행하지 않았다. 병술일. 왕이 도보로 신돈의 집을 찾아갔다. 무자일. 일본국에서 승려 범탕(梵盪) 범탕(?~?) 공민왕 15년(1366)에 검교중랑장(檢校中郞將) 김일(金逸)을 일본에 보내어 …
-
현종 7년(1016) 병진년七年 春正月 庚戌 契丹耶律世良․蕭屈烈侵郭州, 我軍與戰, 死者數萬人, 獲輜重而歸. 甲寅 契丹使十人到鴨綠江, 不納. 乙卯 移御壽昌宮. 贈鄭神勇尙書右僕射上柱國, 周演將軍, 任憶中郞將, 楊春郞將, 孫簡尙藥奉御, 康承穎太史令, 授神勇子均伯, 郞將兼尙乘奉御. 戊午 以姜民…
-
공민왕 16년(1367) 정미년十六年 春正月 丁亥 元遣前遼陽理問忽都帖木兒, 追錫永陵曰攄誠宣忠崇仁秉德恊恭寅亮功臣, 謚忠惠, 明陵曰恊誠輔理演德宣惠奉化保慶功臣, 謚忠穆, 聰陵曰守誠履正佐理翊順保義迪慶功臣, 謚忠定. 忠肅王妃伯顔忽都公主曰肅恭徽寧公主, 王妃寶塔實里公主曰魯國徽翼大長公主, 封永陵妃亦憐眞班…
-
공민왕 17년(1368) 무신년十七年 春正月 壬申朔 放朝賀. 丙戌 王步幸辛旽家. 戊子 日本國遣僧梵盪․梵鏐, 偕金逸來報聘. 遼陽省平章洪寶寶․哈刺不花等, 遣客省大使卜顔帖木兒來諭, “大明兵勢甚盛, 請悉心備禦.” 二月 丁未 幸法王․王輪二寺, 遂幸影殿. 己未 彗見于西方, 長丈餘, 乙…
-
이암李嵒이암(李嵒) 이암(1297~1364) 본관은 고성(固城)(지금의 경상남도 고성군)이며 아버지는 이우(李瑀)이고 어머니는 함양 박씨 박지량(朴之亮)의 딸이다. 이우는 뚤루게[禿魯花]로 몽고에 갔으며 고위 관직에 오르지는 못하였다. 이암은 충선왕(忠宣王) 5년(1…
-
이암李嵒 부 이강李岡이강(李岡) 이강(1333~1368) 이암의 아들로 처음 이름은 이강(李綱)이었으나 피휘하여 이강(李岡)으로 고쳤다. 15살에 과거에 급제한 후 그 능력을 인정받아 관직이 밀직부사(密直副使)에 이르렀으며 이색(李穡), 염흥방(廉興邦), 한수(韓脩)와 교유하였다…
-
이암李嵒李嵒, 字古雲, 初名君侅. 祖尊庇, 初名仁成, 早孤, 學於其舅白文節. 善屬文, 工隷書. 元宗初登第, 籍內侍, 遷國學博士直翰林院, 累轉吏部侍郞. 忠烈朝, 歷尙書右丞司議大夫, 拜左承旨. 時左副承旨金周鼎建議, 新置必闍赤, 委機務. 尊庇正直, 初不與其議故, 不在選中,…
-
이암李嵒 부 이강李岡岡, 字思卑. 少好學, 年十五登第. 忠定時, 選充侍讀, 及王遜于江都, 岡從之. 恭愍卽位, 召見奇之, 授典儀注簿, 掌符璽, 常在左右, 愈久愈謹. 爲吏部郞中, 當遷, 岡奏曰, “臣執筆注臣名, 臣實不敢.” 王益重之. 出爲慶尙道按廉使, 王之南幸也, 迎候盡禮, 供億甚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