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종원종 5년(1264) 갑자년원종 5년(1264) 갑자년5년 봄 정월 초하루 정축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임진일. 왕이 친히 내전(內殿)에서 인왕도량(仁王道場)을 열었다. 기해일. 내전에서 태일성(太一星) 태일성 북쪽 하늘의 자미궁(紫微宮)과 창합문(閶闔門) 사이에 있는 별로, 전…#인왕도량 #태일성 #초제 #개경 #지진 #연등회 #봉은사 #한취 #몽고 #서역 비단 #역서 #사신 #중통 #소재도량 #현성사 #건성사 #복령사 #보제사 #묘통사 #예빈경 #김녹연 #태백성 #관인 #쿠투 #다을자 #예부원외랑 #조태 #강화상 #조서 #대관전 #상도 #몽고 사신 #국자좨주 #장일 #낭장 #강윤소 #표문 #금술잔 #금그릇 #백은술잔 #은그릇 #자줏빛 비단 #김주정 #장봉궁 #삼랑성 #대불정오성도량 #횡천현 #홍천현 #요가대 #야별초지휘 #야별초 #충청도 #오성도량 #묘지사 #마리산 #참성 #신니동 #혈구사 #대일왕도량 #참형 #교수형 #사면 #대부영 #혜성 #유천우 #지어사대사 #유홍휴 #전중감 #삼한 #사직 #도형 #유배형 #교지 #인왕반야경 #강화경 #사자좌 #법연 #김준 #인왕법회 #구사 #진배파령 #복두 #참지정사 #교정별감 #수사공 #좌복야 #박송비 #추밀원사 #이응소 #제왕 #문․무 백관 #제포 #정당문학 #정지 #장헌 #연경 #중서성 #상장군 #신사전 #지원 #만수산전 #낙타 #박성재 #최영 #장평 #추밀원부사 #의주 #어가 #제포관 #국학 #박사 #학유 #학정 #학록 #칠관 #사학 #교도 #진사 #생도 #재추 #팔방상 #양부 #채붕 #백금 #임자충 #액정내시백 #임자보
-
원종사신의 논평사신의 논평사신(史臣)은 다음과 같이 논평한다. “원종이 세자로 있을 당시 권신이 모든 권력을 잡고 불법을 자행하면서 상국의 처벌을 두려워한 나머지 기꺼이 복속하려 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몽고군이 해마다 국경지역을 압박해와 온 나라가 소란스러웠다. 이때…
-
충렬왕충렬왕 4년(1278) 무인년충렬왕 4년(1278) 무인년봄 정월 기해일. 연등회(燃燈會) 참석차 왕이 봉은사(奉恩寺)에 갔으나 가무잡희는 중지시켰다. 임인일. 왕이 봉은사(奉恩寺)에 행차하여 힌두[忻都] 및 홍다구(洪茶丘)와 함께 김방경과 그 아들 김흔(金忻)을 국문했다. 국문했다 『원사』에는 김방…#연등회 #봉은사 #힌두 #홍다구 #김방경 #김흔 #참지정사 #박송비 #낭장 #이인 #역서 #조서 #원나라 #흥국사 #대청도 #백령도 #유배 #초제 #장군 #인후 #유경 #판전리사사 #김구 #참문학사 #강수형 #지첨의부사 #허공 #판밀직사사 #이분희 #밀직사사 #한강 #홍자번 #지밀직사사 #박항 #동지밀직사사 #기홍석 #장위 #밀직부사 #위득유 #상장군 #노진의 #탐라 #다루가치 #다라치 #해동청 #대부소윤 #조유 #동녕부 #경상도 군료별감 #유현 #충청도 왕지사용별감 #황수명 #전라도 안렴사 #이홍의 #권농별감 #코코다이 #제왕 #권무 #환철장 #쿠노 #환도 #태백성 #강화도 #입조 #안동 #경산부 #공부 #대부 #영송 #소부 #원성전 #청주판관 #당성감무 #담선법회 #중서성 #장순룡 #중랑장 #백거 #사신 #술사 #사심관 #원부 #송빈 #강윤소 #낭사 #고신 #서명 #쿠치 #최숭 #사의대부 #백문절 #행종도감 #은 #봉주둔전천호 #박뭉구다이 #낙타 #은폐 #모시 #압록강 #전라도 #토토카순 #서경 #성용전 #어가 #의주 #서북 #정주 #인주 #요양총관 #합포총관 #유뭉구다이 #원수 #예쉬데르 #북경동지 #영녕공 #사공 #왕희 #왕옹 #애두참 #요양 #대장군 #윤수 #북경 #강희민 #과요관 #행성우승 #보로칸 #장언택 #첨성 #아루딘 #총관안찰 #치중 #케타 #개평부 #장로 #향아 #토곤 #뭉케타이 #아이케치 #궁려 #영부 #도당 #탑자포 #김련 #일본 #몽고군 #한족군대 #요 #순 #우 #탕 #송나라 #도종 #가사도 #임연 #장형 #총재 #몽고[ #평장정사 #카베 #개경 #낭기아다이 #복식 제도 #몽고 #조인규 #재추 #처간 #전호 #내오르도 #국사원 #외오르도 #관군관 #종전군 #동정원수부 #역마 #조세 #나주 #해남 #자무치 #최탄 #동경로 #진도 #부마 #서해도 #곡주 #수안 #타차르 #기리다이 #투하 #은율현 #대정 #순마소 #주장남 #정교 #달달다화 #사미채 #고루사 #양탁 #야오나 #왕삼 #곽상 #고을마 #동경총관부 #추밀부사 #보라 #금탑자 #주사 #합포진수군 #징기스 #몽고인 #부마금인 #동궁 #케식텐 #안독구 #톡토르 #토군 #김주정 #경상도 #김천고 #내시 #별장 #이봉 #승지 #지신사 #이습 #시무 #가주채 #은쟁반 #동경 #쿠르간[ #박의 #영암군 #피면도 #보성군 #내로도 #상도 #오숙부 #동계 #경력 #장국강 #제안공 #대방공 #한양공 #공유 #석말천구 #계권 #해유 #교위 #최기 #지진 #광평공 #좌승지 #설공검 #일관 #문창유 #오윤부 #찬성사 #동명묘 #왕륜사 #첨의중찬 #판감찰사사 #유민 #호적 #밀직사 #조홀도 #소윤 #수안군 #상인 #마엽 #내정 #청주목사 #손세정 #산원 #장기 #녹사 #지득룡 #유종 #중찬 #송분 #밀직사지신사 #박구 #우승지 #좌부승지 #참형 #교수형 #사면 #내료 #김흥예 #응방심검별감 #비칙치 #신문색 #마제산 #은율 #김진 #이궁 #수강궁 #제주 #삼사사 #주열 #국자좨주 #권단 #판소부사 #최유 #충청도 #전중 #최유후 #교주 #판사 #우준충 #계점사 #이정 #태묘 #노영 #표문 #김준 #좌복야 #이주 #차신 #태 #안동부 #국학대사성 #곽여필 #유홍진 #쉬루게 #진수군 #우부승지
-
충렬왕충렬왕 6년(1280) 경진년충렬왕 6년(1280) 경진년봄 정월 갑진일. 주열(朱悅)과 곽여필(郭汝弼)을 파직 파직 경상도 계점사(計點使)와 전라도 계점사로 각각 파견된 주열과 곽여필이 내고(內庫)의 처간(處干)을 사역시키지 말도록 하는 명령을 따르지 않다가 파면된 사실을 말한다. 이 사건에 대해서는 『고려…#주열 #곽여필 #참형 #교수형 #사면 #대장군 #인후 #장군 #고천백 #타나 #원나라 #동지 #관음사 #덕천사 #익장 #영춘현 #현리 #창기 #옥진 #원종 #쿠치 #친종장군 #박연 #중랑장 #이인 #동녕부 #공장 #교위 #정지연 #환도 #낭기아다이 #응방 #카바나 #유거 #대부 #내부 #수강궁 #사판궁 #밀직부사 #이존비 #전라도 #전함 #현화사 #승지 #염승익 #절령참 #옹진현 #주기 #개경 #사신 #회회 #조인규 #검교대장군 #오광찰 #명인전 #시위장군 #홍정 #동복현 #승려 #조영 #서해도 #전수미 #절령도 #초제 #제왕 #재추 #유경 #황보기 #최영 #송송례 #변윤 #감찰사 #강화경 #공부 #좌창 #우창 #대방주 #칠색 #안색 #아칙치 #양반 #노복 #녹패 #안렴사 #별감 #명주 #모시 #가죽 #돈 #포 #과실 #명표지 #시사 #심양 #숭문관 #잡단 #진척 #문응 #유배 #전중시사 #이승휴 #김일 #시승 #낭장 #우천석 #좌랑 #민훤 #광주판관 #이인정 #지후 #민지 #장경도량 #백문절 #반부 #곽예 #카야 #번국 #유사 #과거 #국자감 #사재윤 #김제 #정랑 #최옹 #좌사간 #방유 #통사사인 #유연 #권지지후 #설조 #이극 #오한경 #경사교수 #조윤통 #중서성 #담선법회 #서리 #간유지 #평장정사 #아카마 #홍원사 #진전직 #장인경 #길상사 #지선 #능묘 #가뭄 #부채 #삿갓 #이백기 #급제 #시부 #서적점녹사 #조간 #황패 #내시 #왜적 #고성군 #칠포 #한희유 #순마 #영부 #경상도 #합포현 #격구 #양루 #우박 #전시 #대제 #유비 #누리 #응경궁 #한벽루 #태통문 #박의 #원경 #첨의중찬 #김방경 #정가신 #서해도 계점사 #우준충 #도지휘사 #김주정 #쌍성 #민호 #한신 #덕광 #연첩아 #차관 #위문개 #전호 #개원로 #선위사 #탐라 #다루가치 #주철 #아야치 #대청도 #창의현 #영녕공 #상도 #차간노르 #일본 정벌 #입조 #힌두 #홍다구 #범문호 #일본 #한족 연합군 #남송군 #강남 #이끼도 #고려군 #한족군 #토리티무르 #몽고군 #동정성사 #군관 #패면 #안찰사 #승상 #안톤 #북경 #강수형 #송정 #정동원수부 #진무 #예쉬데르 #관자 #우승 #좌승 #이정 #행중서성 #선원 #최인저 #북경로 #요양로 #수달단 #일본정벌 #지휘사 #판관 #녹사 #도평의사사 #궁인 #아시감찰 #팔관회 #표문 #마제산 #정동행성 #자모아란 #두목 #중찬 #정동군사 #일본국 #정벌 #추밀원 #아후룩 #관군두목 #카비치바가투르 #두목관령 #군중 #차사 #친관두목 #순초 #군호 #행추밀원 #도원수 #초토만호 #관군관 #수령관 #진무인 #제형안찰사관 #노예 #관총사 #총사 #시위친군 #구구 #친관두목관령 #관군 #신부군인 #카비치 #양양부 #군역 #장정 #두목군인 #종파군관 #전량관 #본관두목인 #방리정 #향사 #천호 #백호 #패자 #총파관원 #전고인 #관군관원 #관군관리 #차 #소금 #술 #세국 #중서행성 #만호 #관군총관 #총파 #관사 #원수 #총관 #산군 #좌우부원수 #사만호 #부만호 #총관소관군 #부총관 #천호소관군 #부천호 #총관파소관군 #원수부 #경력 #지사 #영사 #역사 #통사 #지인 #가각고관 #진무소 #만호부 #총관소 #제령안독 #탄압 #천호소 #지관 #지인탄압 #총파소 #백호소 #사리 #3관 #총랑 #김원 #조윤번 #우승지 #요나라 #금나라 #개부의동삼사 #특진 #상주국 #행성 #자관 #차부 #부마 #두련가 #국왕 #쿠테치 #정토군 #일본 정벌군 #타포호 #진도 #상장군 #박지량 #문수 #나유 #조규 #정수기 #이신 #박보 #노정유 #안사 #조변 #안적재 #허홍재 #김덕지 #서정 #임개 #김신정 #이정익 #박익환 #유보 #김천록 #이신백 #신혁 #최공절 #여문취 #안흥 #이순 #김복대 #차공윤 #이당공 #박성진 #고세화 #송인윤 #옥환 #계부 #김천고 #서광순 #함익심 #충청도 #교주도 #동계 #병선 #원정 #정장 #동경로 #호두패 #수수군 #두령 #박구 #토토카순 #추고관두목 #회동관사 #장헌 #이부주사 #에센카야 #일관 #정인경 #허공 #참문학사 #세자보 #홍자번 #지첨의부사 #세자이사 #한강 #좌상시 #송분 #지밀직사사 #세자원빈 #동지밀직사사 #김백균 #채인평 #삼사사 #판도판서 #조서 #서문 #중서좌승상 #행중서성사 #인신 #중봉대부 #관령고려군도원수 #소용대장군 #좌우부도통 #호두금패 #선무장군 #왕경단사관 #금패 #무덕장군 #관군천호 #소신교위 #관군총파 #은패 #김중성 #충현교위
-
충렬왕충렬왕 20년(1294) 갑오년충렬왕 20년(1294) 갑오년봄 정월 초하루 임자일. 왕이 원나라에 계속 머물렀다. 왕이 공주와 함께 (황태자비) 쿠케진[闊闊眞]의 궁전을 찾아가 백마(白馬) 아홉 필을 선물했다. 계유일. 세조(世祖) 황제가 죽었다. 왕이 공주와 함께 양(羊) 열 마리와 말 한 필로 빈전…#원나라 #쿠케진 #백마 #세조 #빈전 #찬성사 #정가신 #상례 #입조 #일본 정벌 #홍군상 #승상 #울제이 #일본정벌 #나윤재 #동지밀직사사 #안향 #동남도 병마사 #합포 #상도 #성종 #금잔 #은루규화잔 #금병 #금루은존 #호 #탕병 #주병 #반루은준 #호병 #은우 #은종 #자라 #모시 #표범가죽 #수달가죽 #제왕 #부마 #표문 #하 #우 #문왕 #태임 #진 #한 #서리 #우박 #은 #쿠투카이 #밍케 #사면령 #태백성 #탐라 #쿠케다이 #뭉쿠다이 #타쿠바투 #사신 #요양행성 #한림학사 #사라만 #태조성무황제 #대세국 #금나라 #금산왕자 #대요 #중도 #강동성 #카치운 #차라 #고왕 #조충 #김취려 #태조 #경도호사 #일식 #심주 #안평공주 #대장군 #오인영 #전라도 지휘사 #유석 #그제스파바가스 #숙릉사 #그제스파 #번승 #바가스 #번사 #진도군 #삼별초 #서림현 #교동현 #유승 #직사관 #권한공 #유종 #다루가치 #케시리 #육십 #조서 #장군 #민보 #윤안비 #급제 #의주 #호천궁 #도사 #현진대사 #이도실 #이도화 #윤도명 #개경 #원명통도동현진인 #정지현명강경대사 #수강궁 #왕자 #문창유 #성주 #고인단 #붉은 가죽띠 #상아로 만든 홀 #관모 #일산 #뇌방 #우승지 #유비 #직보문서 #유인명 #묘련사 #중서사인 #아야치 #일본 #강남 #강화도 #요양 #심양 #좌복야 #박의 #서북면 도지휘사 #낭장 #백견 #고니 고기 #하양 #영주 #연호 #원정 #쿠두카이 #홍자번 #첨의중찬 #인후 #첨의찬성사 #김지숙 #판밀직사사 #차신 #밀직사 #지밀직사사 #장순룡
-
충렬왕충렬왕 26년(1300) 경자년충렬왕 26년(1300) 경자년26년 봄 정월 신묘일. 원나라에서 코케부카[闊闊不花]를 보내 황후(皇后)를 책봉한 조서(詔書)를 반포했다. ○ 이 달에 홍자번(洪子藩)을 판중군사(判中軍事) 판중군사 고려의 군사력을 총괄하던 비상(非常)의 직책으로 보인다. 앞서 충렬왕을 대…#원나라 #코케부카 #조서 #홍자번 #판중군사 #연등회 #봉은사 #이현궁 #오인영 #지밀직사사 #전리판서 #유복화 #동지밀직사사 #판도판서 #홍선 #밀직부사 #제안궁 #수녕궁 #설경성 #민훤 #도첨의참리 #이첩 #지도첨의사사 #승려 #천고 #혜숙사 #고리기스 #동경유수 #나윤 #정동행성 #상장군 #고세 #원나라 상도 #종전 #지손연 #제왕 #부마 #부두연 #대장군 #송방영 #쌍연곡 #단판 #빈전 #환관 #승상 #울제이 #인후 #김흔 #우승상 #고려국왕 #해동청 #새매 #금단 #활과 칼 #말안장 #상도 #우중찬 #송분 #추성찬화안사공신 #설영임 #판삼사사 #송화 #곽응 #군부판서 #좌부승지 #상락공 #부지밀직사사 #홍자한 #김연수 #금교 #개경 #한희유 #이영주 #유거 #오기 #밀직사지신사 #지감찰사사 #장군 #민구 #왕륜사 #평양공 #이자세 #급제 #이승휴 #노비 #다루가치 #이백초 #인삼 #선의문 #찬성사 #최유엄 #외원 #소재도량 #원외랑 #이희실 #표문 #유욱 #암도라 #평장사 #중서성 #유민 #입조 #원경 #양인 #정동행중서성 #도성 #성회 #도첨의시랑찬성사 #판군부사사 #김지숙 #도첨의찬성사 #판감찰사사 #판판도사사 #김부윤 #황원길 #윤만비 #삼사좌․우사 #유보 #평주 #바얀쿠툭부카 #향 #필단 #견 #초 #장경 #서북면 도지휘사 #묘련사 #자운사
-
충숙왕충숙왕 3년(1316) 병진년충숙왕 3년(1316) 병진년봄 2월 병자일. 공주의 영구가 원나라로부터 도착하자 백관들이 검은 관과 소복차림으로 도성 바깥에서 맞아다가 영안궁(永安宮)에 빈소를 차렸다. 경인일. 공주의 장례를 치렀다. 상왕이 황제에게 왕의 혼인을 허락해 달라고 황제에게 요청함에 따라 …
-
충숙왕충숙왕 15년(1328) 무진년충숙왕 15년(1328) 무진년봄 2월 정사일. 세자(世子) 왕정(王禎)(충혜왕)을 원나라에 보내 황제를 숙위(宿衛)하게 하는 한편 좌상시(左常侍) 윤신걸(尹莘傑)을 보내 동녀(童女)를 바치게 했다. 여름 4월 갑오일. 윤석(尹碩)을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왕정 #원나라 #좌상시 #윤신걸 #해평부원군 #정방길 #첨의정승 #강융 #임중연 #전영보 #찬성사 #손기 #최준 #평리 #토리테무르 #이자성 #화평군 #김심 #다마시리 #인종황제 #내수 #서해도 #목촌 #고원사 #백주 #이규 #평장정사 #매려 #사인 #이트미시부카 #흥례군 #박중인 #조적 #조운경 #상호군 #고자영 #심왕 #유청신 #오잠 #중서성 #상왕 #왕도 #왕호 #영종 #바얀투그스 #김이 #세조황제 #무종황제 #홍중희 #토번 #세조 #의주 #강남 #영성 #선성 #불가노 #윤석 #순군옥 #최안도 #평양 #금은 #능라 #모시베 #윤환 #종이 #지공 #연복정 #계림부 사록 #이광순 #성황당 #태정황제 #능침 #제기 #예성강 #이노개 #밀직부사 #김취기 #군부판사 #응양군 #평주 #조식 #김온 #권하 #전굉 #순군 #김지겸 #영해부사 #판사 #김천일 #전리 #만호 #홍수 #회왕 #상도 #문종 #좌산기상시 #윤신계 #홍바얀부카 #이능간 #김승용
-
공민왕공민왕 17년(1368) 무신년공민왕 17년(1368) 무신년봄 정월 초하루 임신일. 신년하례행사를 거행하지 않았다. 병술일. 왕이 도보로 신돈의 집을 찾아갔다. 무자일. 일본국에서 승려 범탕(梵盪) 범탕(?~?) 공민왕 15년(1366)에 검교중랑장(檢校中郞將) 김일(金逸)을 일본에 보내어 …#신돈 #범탕 #범류 #김일 #요양성 #평장 #홍보보 #카라부카 #객성대사 #바얀테무르 #명나라 #법왕사 #왕륜사 #영전 #혜성 #현릉 #의릉 #선릉 #정릉 #묘련사 #연등화산 #9재 #이첨 #연복사 #문수회 #이강 #복원궁 #마암 #42도부 #정비궁 #이운목 #에산테무르 #강구사 #이하생 #대마도 #봉선사 #소재도량 #유탁 #첨서밀직 #정사도 #순군 #이춘부 #좌상시 #조민수 #의주 #정주 #안위사 #전리판서 #임견미 #안주순무사 #이금강 #광암사 #김지수 #원나라 #통주 #상도 #김달상 #홍주 #청주 #반야 #문천식 #천추절 #요양 #숭종경 #장자온 #오왕 #6부 #어사대 #강안전 #이용감태경 #만자한 #행성 #시어궁 #이성서 #도첨의우시중 #이인임 #좌시중
-
공민왕공민왕 18년(1369) 기유년공민왕 18년(1369) 기유년봄 정월 신축일. 요양성(遼陽省)의 나하추[納哈出]와 평장(平章) 홍보보(洪寶寶)가 사자를 보내 왕을 예방했다. 임인일. 왕이 친히 공주 혼전(魂殿)에 제사를 지내면서 생시처럼 매우 즐겁게 춤추고 노래하게 했다. 덕녕공주(德寧公主)와 신돈도 …#나하추 #평장 #홍보보 #덕녕공주 #신돈 #정릉 #왕륜사 #중서성 #우승 #투르칸 #금띠 #우승상 #왕중귀 #상도 #방숙 #소호 #주나라 #곽자의 #이광필 #당나라 #원나라 #재추 #연복사 #영전 #왕유 #부보랑 #설사 #사라 #비단필 #숭인문 #송나라 #한족 #회수 #진우량 #고소 #오왕 #민월 #금릉 #설손 #우제 #회왕 #인삼 #고라리 #홍상재 #감문위 #상호군 #이하생 #명나라 #순 #탕 #환관 #김여연 #진나라 #기주 #농서 #유연 #내사감승 #상장군 #노숙 #대호군 #정희계 #헌부 #노정 #동경 #잡단 #민수생 #여흥 #남해현 #불은사 #흥국사 #법왕사 #평양 #금강산 #충주 #의주 #정주 #이성 #강계 #만호 #천호 #이궁 #진영서 #태백성 #성준득 #대장군 #김갑우 #공부상서 #공덕천도량 #북원 #태위승상 #기평장 #쌍합달왕 #천병신중도량 #마암 #주현 #도목수 #원세 #제주도 #재상 #제주 #박윤청 #목사 #최백 #유운 #시중 #김일봉 #왜적 #영주 #온수 #예산 #면주 #조운선 #거제도 #태조 #동북면원수 #지문하성사 #지용수 #서북면원수 #평양윤 #유탁 #서원군 #노은 #황주 #송광미 #수문하시중 #이인임 #서북면도통사 #대청관 #마제 #황교 #밀직부 #양백안 #부원수 #원수 #동녕부
-
원종 5년(1264) 갑자년5년 봄 정월 초하루 정축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임진일. 왕이 친히 내전(內殿)에서 인왕도량(仁王道場)을 열었다. 기해일. 내전에서 태일성(太一星) 태일성 북쪽 하늘의 자미궁(紫微宮)과 창합문(閶闔門) 사이에 있는 별로, 전…
-
사신의 논평사신(史臣)은 다음과 같이 논평한다. “원종이 세자로 있을 당시 권신이 모든 권력을 잡고 불법을 자행하면서 상국의 처벌을 두려워한 나머지 기꺼이 복속하려 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몽고군이 해마다 국경지역을 압박해와 온 나라가 소란스러웠다. 이때…
-
충렬왕 4년(1278) 무인년봄 정월 기해일. 연등회(燃燈會) 참석차 왕이 봉은사(奉恩寺)에 갔으나 가무잡희는 중지시켰다. 임인일. 왕이 봉은사(奉恩寺)에 행차하여 힌두[忻都] 및 홍다구(洪茶丘)와 함께 김방경과 그 아들 김흔(金忻)을 국문했다. 국문했다 『원사』에는 김방…
-
충렬왕 6년(1280) 경진년봄 정월 갑진일. 주열(朱悅)과 곽여필(郭汝弼)을 파직 파직 경상도 계점사(計點使)와 전라도 계점사로 각각 파견된 주열과 곽여필이 내고(內庫)의 처간(處干)을 사역시키지 말도록 하는 명령을 따르지 않다가 파면된 사실을 말한다. 이 사건에 대해서는 『고려…
-
충렬왕 20년(1294) 갑오년봄 정월 초하루 임자일. 왕이 원나라에 계속 머물렀다. 왕이 공주와 함께 (황태자비) 쿠케진[闊闊眞]의 궁전을 찾아가 백마(白馬) 아홉 필을 선물했다. 계유일. 세조(世祖) 황제가 죽었다. 왕이 공주와 함께 양(羊) 열 마리와 말 한 필로 빈전…
-
충렬왕 26년(1300) 경자년26년 봄 정월 신묘일. 원나라에서 코케부카[闊闊不花]를 보내 황후(皇后)를 책봉한 조서(詔書)를 반포했다. ○ 이 달에 홍자번(洪子藩)을 판중군사(判中軍事) 판중군사 고려의 군사력을 총괄하던 비상(非常)의 직책으로 보인다. 앞서 충렬왕을 대…
-
충숙왕 3년(1316) 병진년봄 2월 병자일. 공주의 영구가 원나라로부터 도착하자 백관들이 검은 관과 소복차림으로 도성 바깥에서 맞아다가 영안궁(永安宮)에 빈소를 차렸다. 경인일. 공주의 장례를 치렀다. 상왕이 황제에게 왕의 혼인을 허락해 달라고 황제에게 요청함에 따라 …
-
충숙왕 15년(1328) 무진년봄 2월 정사일. 세자(世子) 왕정(王禎)(충혜왕)을 원나라에 보내 황제를 숙위(宿衛)하게 하는 한편 좌상시(左常侍) 윤신걸(尹莘傑)을 보내 동녀(童女)를 바치게 했다. 여름 4월 갑오일. 윤석(尹碩)을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
-
공민왕 17년(1368) 무신년봄 정월 초하루 임신일. 신년하례행사를 거행하지 않았다. 병술일. 왕이 도보로 신돈의 집을 찾아갔다. 무자일. 일본국에서 승려 범탕(梵盪) 범탕(?~?) 공민왕 15년(1366)에 검교중랑장(檢校中郞將) 김일(金逸)을 일본에 보내어 …
-
공민왕 18년(1369) 기유년봄 정월 신축일. 요양성(遼陽省)의 나하추[納哈出]와 평장(平章) 홍보보(洪寶寶)가 사자를 보내 왕을 예방했다. 임인일. 왕이 친히 공주 혼전(魂殿)에 제사를 지내면서 생시처럼 매우 즐겁게 춤추고 노래하게 했다. 덕녕공주(德寧公主)와 신돈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