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현종
    현종 16년(1025) 을축년
    현종 16년(1025) 을축년
    16년 봄 정월 경인일. 여진(女眞)의 회화장군(懷化將軍) 야고가(耶古伽)와 귀덕장군(歸德將軍) 아골타로(阿骨陁老) 등이 입조해오자, 각각 작위와 의복과 물품을 내려주었다. 을미일. 유방(庾方)을 판상서병부사(判尙書兵部事)로, 채충순(蔡忠順)…
    #회화장군 #야고가 #귀덕장군 #아골타로 #유방 #판상서병부사 #채충순 #판상서예부사 #피위종 #병부낭중 #야율살할 #예빈주부 #정민의 #모일라 #대광 #곽원 #추성문리공신 #상주국 #이가도 #치성공신 #김맹 #의춘현개국남 #나민 #치군문덕공신 #유소 #동지중추사 #내전 #상참 #흰 기운 #연경궁주 #정전 #영남도 #광평군 #하빈현 #지진 #내사문하성 #감문위 #대장군 #한순 #한수량 #시어사 #김충찬 #유백인 #전중시어사 #김석지 #한연조 #최연하 #김영기 #감찰어사 #경주 #상주 #청주 #안동 #밀성 #태자빈객 #만하 #선나자 #태사 #최충 #한림학사 #내사사인 #지제고 #직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정종
    정종 2년(1036) 병자년
    정종 2년(1036) 병자년
    2년 봄 정월 초하루 경진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을유일. 동번(東蕃)의 회화장군(懷化將軍) 사라(沙羅) 등 83명이 입조해왔다. 갑오일. 도형(徒刑) 이하의 형을 받은 관리들과 장형(杖刑) 이하의 형을 받은 개인 및 벌금을 …
    #회화장군 #사라 #지신 #정전 #녹패 #유소 #문하시랑 동 내사문하평장사 #최제안 #상서좌복야 #중추원사 #이작충 #이부상서 #한림학사승지 #태위 #이응보 #수령 #대신 #영새장군 #아골 #장군 #개로 #이주좌 #우산기상시 #진현석 #위위경 #좌간의대부 #원태진 #기거랑 #한연조 #시어사 #삼척현 #동진 #문사명 #어사중승 #황보유의 #유징필 #참지정사 #서경유수사 #삼각산 #귀정 #북육 #서육 #우박 #오부하 #서리 #태사 #아도간 #정보 #문하시랑평장사 #채충순 #기우제 #이공 #문한직 #영통사 #숭법사 #보원사 #동화사 #문덕전 #도량 #초제 #개경 #동경 #상주 #광주 #안변부 #지진 #문하시중 #유방 #중추원 #문하성 #진량 #지중추사 #병부상서 #김충찬 #공정 #태사승 #강승영 #군기소감 #강화 #일본 #겸준 #혜비 #진봉 #고주사 #상서우승 #김원충 #송나라 #옹진 #황보영 #곽신 #어사대부 #구정 #형부 #직문하성 #김영기 #임유간 #좌․우간의 #박양명 #서유걸 #상서좌사낭중 #우승선 #금주 #밀성 #봉국장군 #요야 #팔관회 #동여진 #탐라 #오을야 #봉국대장군 #요을도 #태묘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명종
    명종 24년(1194) 갑인년
    명종 24년(1194) 갑인년
    24년 봄 정월 기묘일. 금나라에서 대리경(大理卿) 흘석렬정(紇石烈珵)을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신사일. 대관전(大觀殿)에서 금나라 사신을 위해 잔치를 열었다. 2월 계사일. 남적(南賊)의 괴수 김사미(金沙彌)가…
    #금나라 #대리경 #흘석렬정 #대관전 #사신 #남적 #김사미 #장군 #사량주 #좌도병마사 #최인 #강릉성 #문하시랑평장사 #민영모 #봉어 #유택 #권신 #천수절 #남로병마사 #밀성 #저전촌 #김군수 #급제 #우도병마사 #태사 #인종 #묘통사 #이순 #대정 #유배 #이광정 #참지정사 #최유가 #묵형 #서해도 #상장군 #고용지 #반적의 괴수 #효심 #조영인 #수태위 #상주국 #손석 #신보지 #수사공 #좌복야 #이인성 #동지추밀원사 #어사대부 #유공권 #기홍수 #추밀원부사 #형부상서 #공부 상서 #문적 #우산기상시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신종
    신종 3년(1200) 경신년
    신종 3년(1200) 경신년
    3년 봄 정월 초하루 무자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하였다. ○ 예빈소경(禮賓少卿) 백원식(白元軾)을 금나라에 보내 신년을 하례하게 했다. 기유일. 최충헌(崔忠獻)이, 전국에 수감되어 있는 죄수들을 감형시켜 주고 또한 유배 중인 죄수 가…
    #예빈소경 #백원식 #금나라 #최충헌 #유배 #태백성 #원자 #왕연 #왕덕 #중서평장사 #이문충 #궁주 #보제사 #우박 #왕태자 #한사 #상사 #왕서 #덕양후 #묘통사 #소부감 #조통 #중랑장 #이당적 #진주 #안무사 #밀성 #관노 #은그릇 #운문 #이의민 #경주 #안찰사 #전원균 #방수 #별장 #통인 #금주 #부사 #이적유 #팔관회 #예부시랑 #유공헌 #함성절 #세종 #대정 #대관전 #사신 #최선 #수태위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판이부사 #기홍수 #수태사 #주국 #임유 #수태부 #문하시랑평장사 #상주국 #안유부 #우부승선 #중서사인 #조준 #호부시랑 #우간의대부 #경주부유수 #방응교 #낭중 #위돈겸 #최무 #경주 수령 #이사경 #이백유 #이직재 #최용웅 #최대의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원종
    원종 12년(1271) 신미년
    원종 12년(1271) 신미년
    12년 봄 정월 기사일. 공유(孔愉) 공유(?~?) 원종~충렬왕 때 대장군․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전법판서․판삼사사 등을 역임한 무신관료이다. 원종 11년(1270)에는 삼별초 항쟁군의 공격으로부터 금성(錦城)(지금의 전라남도 나주시)지역을 방어하…
    #공유 #안세정 #아카이 #장군 #인공수 #몽고 #문하시중 #이장용 #참지정사 #최영 #임연 #모의 #박천주 #진도 #벽파정 #홍다구 #복야 #홍백수 #추밀원부사 #부카 #맹기 #추밀원사 #김련 #표문 #남송 #송나라 #일본 #시중 #중서성 #둔전경략사 #둔전 #강화도 #권농사 #낭장 #이영 #사천감 #오윤부 #김희목 #사신 #일본국신사 #비서감 #조양필 #쿠룸치 #왕국창 #조서 #국신사 #금주 #홍복원 #강윤소 #반행객사 #두원외 #밀성군 #방보 #계년 #박평 #박공 #박경순 #경기 #부사 #이이 #공국병마사 #청도감무 #임종 #최양재 #청도군 #밀성 #조천 #일선현령 #청도 #손일 #안찰사 #이오 #이숙진 #금주방어사 #김훤 #경주판관 #엄수안 #평장사 #유경 #애도 #유배 #관노 #숭겸 #공덕 #다루가치 #대정 #송사균 #최문본 #조자일 #합문지후 #신좌선 #재추 #승선 #중방 #내시 #다방 #지추밀원사 #이현원 #상장군 #정자여 #톡토르 #섭별장 #은병 #나견 #착량 #대부도 #반란 #수주부사 #안열 #도병마사 #녹과전 #이분희 #김자정 #이분성 #전원 #영송고 #당리 #최승적 #삼별초 #장흥부 #방어도령 #진정 #유학 #충청도 안찰사 #홍자번 #교주도 안찰사 #노문좌 #연등회 #봉은사 #저시교 #연등 #태조 #장일 #경상도 #주열 #전라도 #곽여필 #충청도 #소재도량 #보성 #천호 #충청 #전라 #우부승선 #홍문계 #은 #박지량 #수로방호사 #힌두 #사추 #둔전군 #행경략사 #봉주 #동경 #경략사 #동계안집사 #양주 #장세 #김세 #수령 #향리 #천서 #화주 #조휘 #지양주사 #합포 #감무 #봉주경략사 #남산궁 #동래군 #단사관 #심혼 #유천우 #전중감 #쟁기 #경상도 금주 #남해 #창선 #거제 #공부 #농무별감 #황주 #관등 #방호 장군 #박보 #별초 #영광부사 #김수 #추토사 #김방경 #배중손 #영녕공 #왕희 #왕옹 #당성 #홍택 #참수 #홍균비 #장형 #역리 #방수군 #주부개 #바얀 #관민 #도령 #지유 #경군 #초제 #변량 #이수심 #토벌 #문하시랑평장사 #김전 #몽고 사신 #승화후 #김통정 #탐라 #국자감시 #초천익 #지비케 #취납관 #개경 #서경 #대경 #민방 #상서좌승 #왕심 #질자 #상서우승 #송분 #군기감 #설공검 #호부낭중 #김서 #이창경 #보살계 #이황수 #임유무 #송송례 #나주 #전민 #승상 #대장군 #국자박사 #위문개 #비칙치 #카라쿠룩 #이추 #금칠 #청등 #팔랑충 #비목 #노태목 #오매 #화리 #등석 #승천부 #금요도 #비자 열매 #동백 열매 #교동군 #해죽 #동백 #죽점 #서해도 #은파장 #삼진강 #두련가국왕 #호적 #백호 #복대 #일식 #채정 #토번 #선의문 #원수 #과시적 #관인 #찰살적 #수령관 #영사 #오산 #왕륜사 #사면령 #참형 #교수형 #제주 #고여림 #경별초 #외별초 #직전 #전정 #잡류인 #현문혁 #직학 #정문감 #금강법석 #부다루가치 #염주 #문선열 #수태위 #중서시랑평장사 #백주 #대원 #원나라 #제수대보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충렬왕
    충렬왕 5년(1279) 기묘년
    충렬왕 5년(1279) 기묘년
    봄 정월 ○ 왕이 원나라에 머물렀다. 신해일. 황제가 왕에게 멸망한 송(남송)나라의 보물, 봉황이 그려진 병, 옥으로 만든 피리 등 90종의 물품을 내려주고, 다음 날 또 왕과 수행한 신하들에게 채색비단을 내려주었다. 을묘일. 재추들이 …
    #원나라 #송(남송)나라 #재추 #교위 #이응주 #강위성 #역서 #조서 #어사대부 #우레렌 #추밀 #보라 #비칙치 #쿠툭케르 #도올 #힌두 #홍다구 #진변종전군 #동정원수부 #장조전 #노영 #연경 #소윤 #조유 #동녕부 #서해도 #수강궁 #경원공 #김방경 #세자부 #허공 #지첨의부사 #홍자번 #판밀직사사 #한강 #밀직사 #기홍석 #동지밀직사사 #감찰제헌 #임익 #송분 #이존비 #밀직부사 #강안전 #초제 #죽판동 #낭장 #은홍순 #화문석 #대방공 #뚤루게 #김흔 #원부 #원정 #박항 #박원굉 #허평 #홍순 #한사기 #설공검 #설지충 #이우 #김주정 #김심 #윤수 #전라도 #원경 #경상도 #이정 #충청도 #박의 #왕지사용별감 #마제산 #전민 #쿠치 삼번 #계점사 #소송 #좌사의 #권단 #장군 #최유엄 #별감 #감찰사 #전법사 #도평의사 #호구 #염호 #동천 #안동 #탕목읍 #부사 #송유의 #홍정 #왕자 #충청도 아주 #동심사 #중랑장 #정공 #송현 #이리간 #사나사 #참형 #교수형 #사면 #현성사 #감찰시사 #김홍미 #좌사간 #이행검 #유배 #취와 #수구관음사 #중서성 #사신 #악도인 #왕외랑 #첨의부 #도성 #예부 #동인 #정귀 #주석 #좌사의대부 #진주목부사 #최참 #장순룡 #경녕궁 #정화원 #조간 #급제 #심주 #요양 #압록강 #경상도 안렴사 #장사 #조천 #일선현령 #밀성 #승지 #조인규 #인후 #정인경 #도당 #원수부 #원수 #김백균 #원나라 사신 #김종의 #객관 #상좌 #일충 #일본 #서찬 #지선 #증산 #도지휘사 #주열 #곽여필 #우준충 #최유후 #동계 #교주도 #김윤부 #적전 #해청원패 #묘곶 #우단치 #타나 #카바나 #번윤 #역참 #강윤소 #이지저 #목장제령 #광평공 #소재도량 #도원역 #사판궁 #정복균 #인삼 #낭기아다이 #회회 #왕륜사 #대성 #제주 #다루가치 #보현원 #관노비 #도관 #김자정 #사패 #신흥창 #교방 #대장군 #유홍신 #김광취 #동수국사 #지밀직사사 #박구 #삼사사 #감찰시승 #대청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충렬왕
    충렬왕 30년(1304) 갑진년
    충렬왕 30년(1304) 갑진년
    30년 봄 정월 초하루 계축일. 왕이 제안공(齊安公)의 집에 머물렀는데, 몸이 편찮아 신년 하례의식을 생략했다. 갑인일. 혜성(彗星)이 규성좌(奎星座)에 나타났다. ○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로 은퇴한 오윤부(伍允孚)가 죽었다. …
    #제안공 #혜성 #규성좌 #도첨의찬성사 #오윤부 #진주 #나주 #명주 #인주 #영광 #밀성 #판관 #조강 #하원 #구당사 #나주도 #관역사 #타차르 #왕약 #오연 #유배 #송린 #밀직부사 #김심 #사신 #오기 #표문 #상서 #학사 #이지저 #민훤 #자의도첨의찬성사 #정해 #판삼사사 #이혼 #판밀직사사 #권영 #밀직사사 #지밀직사사 #고세 #동지밀직사사 #박전 #김원상 #지신사 #홍경 #우승지 #묘련사 #안우기 #우부승지 #원나라 #투쿠다 #에센티무르 #조서 #연등회 #봉은사 #황포 #황산 #내료 #호군 #송균 #송방영 #순군 #이현 #백금 #병부상서 #바이바 #유학사 #행성 #대호군 #야선단 #중랑장 #김장 #태백성 #수녕궁 #내고 #무당 #중찬 #한희유 #찬성사 #최유엄 #유비 #원나라 중서성 #자의도첨의중찬 #참지정사 #쿠린 #한림직학사 #임원 #석천보 #일식 #양루 #격구 #안향 #국학 #섬학전 #대성전 #가요 #밀직사 #애일잠 #생도 #안서왕 #환관 #금강산도 #재추 #첨의우중찬 #중국 강남 #승려 #소경 #승지 #철산 #천수절 #과거 #심양 #김유 #고여주 #장형 #요양행성 #참정 #김선 #개경 #안서 #이숙 #어향 #영빈관 #허성좌 #위성좌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우왕
    우왕 즉위년(1374) 갑인년
    우왕 즉위년(1374) 갑인년
    10월 초하루 계사일. 태묘에 전 왕의 초상이 난 것을 고했다. 임인일. 번개가 치고 우박이 쏟아졌다. 정미일. 우왕이 전국에 사면령을 내리며 교서를 반포했다. “불행하게도 하늘이 우리나라를 돕지 않아 선고께서 홀연 신민…
    #태묘 #번개 #우박 #사면령 #교서 #환관 #최만생 #홍륜 #권진 #홍관 #한안 #노선 #김흥경 #처형 #신돈 #사면 #현릉 #천둥 #순정왕후 #밀직사 #장자온 #전공판서 #민백훤 #명나라 #시호 #왕전 #팔관회 #인덕태후 #광암사 #나하추 #문카라부카 #임밀 #채빈 #개주참 #호송관 #김의 #북원 #삼사좌사 #이희필 #서북면상원수 #판밀직사사 #김서 #왜적 #밀성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우왕
    우왕 원년(1375) 을묘년
    우왕 원년(1375) 을묘년
    원년 정월 ○ 우왕이 보제사(普濟寺)에 가서 백일재(百日齋)를 올리고 상복을 벗었다. ○ 판종부시사(判宗簿寺事) 최원(崔源)을 명나라 조정으로 보내 국상을 알리고 전 왕의 시호와 왕위 계승의 승인을 요청했다. ○ 우왕이 처음으로 서연(…
    #보제사 #판종부시사 #최원 #명나라 #시호 #우왕 #서연 #전녹생 #이무방 #왜적 #밀성 #만호 #장군 #최인철 #나하추 #북원 #공민왕 #심왕 #왕호 #동지밀직 #한방언 #양광도 부원수 #순문사 #판전객시사 #나흥유 #흑점 #판사 #손천용 #자명전 #인화전 #경양현 #양광도 도순문사 #흉년 #금주령 #우박 #판밀직 #이자송 #서북면 도순문사 #평양윤 #찬성사 #지윤 #서북면 도원수 #문하평리 #유연 #동북면 도원수 #판밀직사사 #이성림 #서북면 선위사 #밀직부사 #조사민 #동북면 선위사 #충정왕 #태묘 #최공철 #이성상원수 #탐라 #금 #허리띠 #은그릇 #소재도량 #서연청 #이보림 #사헌부대사헌 #서연관 #대사헌 #사헌부 #사신 #황상 #서북면 도체찰사 #좌부대언 #성석린 #체찰사 #판전의시사 #전보 #세공마 #공창 #장래흥 #손군우 #일식 #낙안 #보성 #도성 #경상도 부원수 #윤승순 #서운관 #판삼사사 #최영 #이성만호 #김의 #진봉사 #김서 #신주 #지문하부사 #임견미 #서경상원수 #밀직부사상의 #경보 #도순문사 #문하평리상의 #양백연 #안주상원수 #이원규 #원수 #나세 #서해도 상원수 #박보로 #부원수 #도체찰사 #조인벽 #동북면원수 #변안열 #이성원수 #덕적도 #자연도 #양광도 #전라도 #경상도 #우리 태조 #지인주사 #전수 #삼사좌사 #이희필 #도지휘사 #이림 #동화사 #신효사 #영주 #목주 #서주 #결성 #강론 #환관 #김현 #양광도 안무사 #정비 #예의판서 #박인계 #하윤원 #하을지 #전라도 원수 #제주 #차현유 #안무사 #임완 #목사 #박윤청 #마축사 #김계생 #문신보 #성주 #고실개 #진무 #임언 #천호 #고덕우 #대학 #우부대언 #윤방언 #시경 #왜구 #판전의사사 #김사보 #병마사 #김보생 #교동도 #천둥 #안개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우왕
    우왕 3년(1377) 정사년
    우왕 3년(1377) 정사년
    정월 ○ 왜적이 회원창(會原倉) 회원창 합포(合浦)의 석두창(石頭倉)을 말한다. 합포는 일본정벌의 전진기지로 그 위상이 강화되어 충렬왕 8년(1282)에 회원으로 이름을 바꾸고 현령을 두었다.을 털어갔다. ○ 지용기(池湧奇)를 양광도 부원수(副…
    #왜적 #회원창 #지용기 #양광도 부원수 #나하추 #인해 #신평현 #양광도 도순문사 #홍인계 #북원 #한림승지 #보라데이 #모니노 #세조 #바얀테무르 #톡토부카 #정동성좌승상 #고려국왕 #윤환 #평장사 #문카라부카 #두마달 #경효대왕 #선광 #경양 #평택현 #우왕 #지밀직사사 #조희고 #전라도 도병마사 #방호 #지정 #지윤 #삼사좌사 #이자송 #진왕 #좌상 #해동청 #순 #세조황제 #백금 #저포 #백저포 #황저포 #홍저포 #중서성 #태사 #코코테무르 #태보 #카라장 #태위 #만자 #흑마포 #평장 #참정 #대대부 #내관 #소신 #예의판서 #문천식 #호상 #표피 #병풍 #두마대 #녹봉포 #사면령 #홍륜 #사헌부 #금주령 #해주 #수미사 #문수도량 #착량 #강화 #개경 #최영 #6도도통사 #이희필 #동강도원수 #목인길 #임견미 #부장 #수성도통사 #경복흥 #의창군 #서강도원수 #우리 태조 #양백연 #변안열 #경기도통사 #이인임 #경산 #양광도 #교주 #서해 #평양도 #승려 #울주 #계림 #홍중선 #문하찬성사 #목충 #동지밀직 #왕빈 #밀직부사 #판군기감사 #이광보 #용진 #전함 #양주 #밀성 #지밀직 #이림 #경상도 조전원수 #언양현 #계림부윤 #윤승순 #안동도부원수 #서성군 #강릉도원수 #서강 #도당 #김현 #경의 #서경도순문사 #서북면 부원수 #성석연 #김건 #폭우 #우박 #가뭄 #교수형 #참형 #안동조전원수 #기우제 #진전 #정당문학 #권중화 #철원 #지리산 #남양현 #안성현 #종덕현 #시전 #원수 #덕녕공주 #신효사 #충혜왕 #경상도 도순문사 #우인열 #배극렴 #최인철 #사신 #장형 #영주 #김속명 #서해도 #안주 #김공세 #장택현 #지문하 #박보로 #서해도 조전원수 #사은사 #원나라 #이인립 #서경부원수 #판밀직 #한방언 #안주원수 #판전객시사 #안길상 #만호 #김용 #정이대장군 #나흥유 #구주 #제주 #전라도 수군도만호 #정용 #윤인우 #영강현 #장연현 #풍주 #안악 #함종현 #삼화현 #강서현 #재상 #야성군 #김자 #한산 #숭경부윤 #진영세 #연주 #선휘원사 #테리테무르 #정요위 #서해도 상원수 #부사 #조천옥 #진천군 #계품사 #찬성사 #양백익 #서해도 원수 #신주 #문화 #봉주 #나세 #도순문사 #심덕부 #유만수 #홍징 #조전원수 #태조 #대우전 #김사훈 #노현수 #이만중 #일본국 #신홍 #삼사우사 #최공철 #의주원수 #영광 #장사 #모평 #함풍 #평주 #김득제 #박수년 #조사민 #강영 #유영 #유실 #박수경 #배언 #화평부윤 #강인유 #문전성 #대참정 #장해마 #승상 #군부판서 #악양현 #대사성 #정몽주 #일본 #명나라 #대장군 #판사 #최무선 #화통도감 #이원 #동래현 #함열현 #서연 #정관정요 #위징 #당나라 #태종 #상원수 #개성윤 #황숙경 #청주옥 #이산 #월식 #팔관회 #장녕공주 #지신사 #양이시 #부여 #정산 #홍산 #김해 #의창 #수안현 #동성현 #통진현 #한산군 #이색 #당태종 #백자비 #순흥군 #중랑장 #지우연 #판서 #민백훤 #판도사 #판도정랑 #이양중 #합포 #도관정랑 #순군 #정언 #달명 #충숙왕 #덕흥군 #판개성부사 #경보 #선주 #왕가물 #충정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3456Next PageLast Page총 54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