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현종
    현종 7년(1016) 병진년
    현종 7년(1016) 병진년
    7년 봄 정월 경술일. 거란의 야율세량(耶律世良)과 소굴열(蕭屈烈)이 곽주(郭州)(지금의 평안북도 곽산군)를 침공하자, 아군이 맞붙어 싸웠으나 수만 명의 전사자가 났으며 적은 군수물자를 노획하여 돌아갔다. 갑인일. 거란의 사신 10명이 압록강…
    #야율세량 #소굴열 #곽주 #압록강 #수창궁 #정신용 #상서우복야 #상주국 #주연 #장군 #임억 #중랑장 #양춘 #낭장 #손간 #상약봉어 #강승영 #태사령 #정균백 #상승봉어 #강민첨 #내사사인 #병부 #진명 #유고가 #강효 #고연적 #김은부 #호부상서 #이수화 #최충 #좌․우보궐 #이작충 #구양징 #좌․우습유 #윤징고 #중추원부사 #장영 #좌산기상시 #채충순 #예부상서 #현릉 #부아산 #향림사 #곽원 #송나라 #김노현 #채굉 #이강 #왕미 #연상 #김훈 #명복궁 #황호맹 #조은 #고홀 #이응보 #섭사헌대부 #서눌 #중승 #유소 #잡단 #조자기 #시어사헌 #김우보 #이성공 #전중시어사헌 #안재균 #이원수 #유현좌 #이회 #곽신 #이주좌 #감찰 #사헌대 #왕흠 #연경원 #상서성 #귀주 #귤선 #영몽 #요두 #중추사 #상호군 #형부시랑 #우간의대부 #황보유의 #급사중 #김맹 #중추직학사 #지보 #항춘전 #왕수 #도병마사 #고적여 #서긍 #수암 #통주 #명복전 #김현 #이주헌 #유도 #고종 #주간 #종도 #남계 #정전 #나간 #서경유수 #손몽주 #봉대 #고리 #내사시랑평장사 #유방 #형부상서 #참지정사 #광예아 #원우 #공부상서 #지채문 #우상시 #슬불달 #대중상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현종
    현종 7년(1016) 병진년
    현종 7년(1016) 병진년
    七年 春正月 庚戌 契丹耶律世良․蕭屈烈侵郭州, 我軍與戰, 死者數萬人, 獲輜重而歸. 甲寅 契丹使十人到鴨綠江, 不納. 乙卯 移御壽昌宮. 贈鄭神勇尙書右僕射上柱國, 周演將軍, 任憶中郞將, 楊春郞將, 孫簡尙藥奉御, 康承穎太史令, 授神勇子均伯, 郞將兼尙乘奉御. 戊午 以姜民…
    #야율세량 #소굴열 #곽주 #압록강 #수창궁 #정신용 #상서우복야 #상주국 #주연 #장군 #임억 #중랑장 #양춘 #낭장 #손간 #상약봉어 #강승영 #태사령 #정균백 #상승봉어 #강민첨 #내사사인 #병부 #진명 #유고가 #강효 #고연적 #김은부 #호부상서 #이수화 #최충 #좌․우보궐 #이작충 #구양징 #좌․우습유 #윤징고 #중추원부사 #장영 #좌산기상시 #채충순 #예부상서 #현릉 #부아산 #향림사 #곽원 #송나라 #김노현 #채굉 #이강 #왕미 #연상 #김훈 #명복궁 #황호맹 #조은 #고홀 #이응보 #섭사헌대부 #서눌 #중승 #유소 #잡단 #조자기 #시어사헌 #김우보 #이성공 #전중시어사헌 #안재균 #이원수 #유현좌 #이회 #곽신 #이주좌 #감찰 #사헌대 #왕흠 #연경원 #상서성 #귀주 #귤선 #영몽 #요두 #중추사 #상호군 #형부시랑 #우간의대부 #황보유의 #급사중 #김맹 #중추직학사 #지보 #항춘전 #왕수 #도병마사 #고적여 #서긍 #수암 #통주 #명복전 #김현 #이주헌 #유도 #고종 #주간 #종도 #남계 #정전 #나간 #서경유수 #손몽주 #봉대 #고리 #내사시랑평장사 #유방 #형부상서 #참지정사 #광예아 #원우 #공부상서 #지채문 #우상시 #슬불달 #대중상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지(禮志)흉례(凶禮)
    1. 국상[(國恤)]
    國恤
    고려 사람들은 국상에 관련된 의례를 따로 정해두지 않았다. 나라에 대고(大故) 대고 대상(大喪)이라고도 하며, 천자․국왕․황후․세자의 죽음이나 상을 말한다.가 생기면 그 때마다 임시로 널리 옛 전적을 참고하여 전례에 따라 일을 치렀는데, 일이 끝나고 나면 의례…
    #대고 #신덕전 #학사 #김악 #유조 #백관 #내의성 #유언 #혜종 #거애 #상정전 #빈소 #조전 #태상경 #시책 #섭시중 #원보 #행예빈령 #왕인택 #대뢰 #태조 #현릉 #상장 #원릉 #한 #위 #상복 #주상 #대상 #서경 #안동 #안남 #등주 #정침 #영릉 #성종 #중광전 #덕종 #현종 #선릉 #수라 #양암 #반곡 #당 #태묘 #합사 #선덕전 #순종 #문종 #경릉 #주 #진 #선종 #성릉 #혼전 #대릉 #요 #왕정 #천자 #제후 #삼년상 #사대부 #장례 #심상 #하절사 #인예태후 #반혼전 #소상제 #신주 #본전 #장평문 #어련 #서화문 #연영전 #목 #예종 #숙종 #우궁 #숭릉 #궐정 #전송 #선정전 #인종 #유릉 #우제 #보화전 #의종 #장릉 #대상제 #이의민 #계림 #희릉 #의창궁 #순릉 #미륵사 #졸곡 #예관 #상례 #중서성 #상제 #연등회 #연등대회 #국상 #금 #제전사 #태부감 #완안고 #서교정 #접반사 #대장군 #장박인 #문상례 #무도 #사신 #화연 #기복 #채붕 #연상 #금나라 #팔관회 #구정 #하례 #참지정사 #문극겸 #국기 #명종 #창락궁 #재추 #상참관 #종실 #사서인 #흰옷 #장례도감 #호부시랑 #이중원 #대관전 #좌승선 #우승경 #조서 #풍악 #정전 #지릉 #최충헌 #경순왕후 #강화도 #천령전 #희종 #정안궁 #예부 #상기 #신종 #양릉 #수창궁 #고종 #강종 #후릉 #관 #유경 #원종 #희생 #몽고 #가대 #지대 #검정 가죽띠 #홍릉 #원 #봉은사 #일산 #부월 #제왕 #문무 #강안전 #길복 #붉은 가죽 띠 #소상 #번진 #현 #중국 #과거 #혼인 #제상궁 #심왕 #원나라 #빈전 #황포 #충렬왕 #참최 #마질 #소릉 #경령전 #안평공주 #현성사 #수령궁 #고릉 #신효사 #심양왕충선왕 #제문 #시립 #대렴 #장사 #관아 #장지로 #향로 #십천교 #영진전 #침원 #섭태위 #대령군 #최유엄 #재계 #섭사도 #정승 #유청신 #전의판사 #이지저 #제관 #축판 #의장 #밀직 #섭상호군 #내시 #태위 #사도 #상석 #수레 #가마 #주악 #재랑 #배위 #고유 #집례 #정실 #초헌 #아헌 #종헌 #계국대장공주 #어사대 #상여 #영안궁 #태위왕 #연경 #삼사사 #윤신걸 #강융 #평양 #영구 #숙비궁 #충선왕 #덕릉 #악양현 #충혜왕 #충정왕 #강화 #총릉 #선명전 #휘의공주 #빈전도감 #국장도감 #조묘도감 #산소영반색 #법위의색 #상유색 #이거색 #제기색 #상복색 #반혼색 #복완색 #소조색 #관곽색 #묘실색 #포진색 #진영색 #정릉 #반혼 #홍륜 #보방 #우왕 #재신 #추신 #공민왕 #연복사 #선의문 #산릉 #보원고 #정순숙의공주 #공복 #혼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선거지(選擧志)전주(銓注)
    ○ 향직(鄕職)
    鄕職
    향직 1품은 삼중대광(三重大匡) 삼중대광 고려시대 1품에서 9품에 이르는 16등위의 향직(鄕職) 하나로, 가운데 1품․1등위이다. 그런데 충렬왕 24년(1298) 충선왕 즉위년에 고친 문산계의 품계 가운데 정1품의 삼중대광도 있다. 위의 향직 주석항목 참조.과…
    #향직 #삼중대광 #중대광 #대광 #정광 #대승 #좌승 #대상 #원보 #정보 #원윤 #좌윤 #정조 #정위 #보윤 #군윤 #중윤 #이직 #병부 #사병 #창부 #사창 #당대등 #호장 #대등 #부호장 #낭중 #호정 #원외랑 #부호정 #집사 #사 #병부경 #병정 #연상 #부병정 #유내 #병사 #창부경 #창정 #부창정 #창사 #공수사 #식록사 #객사사 #약점사 #사옥사 #객창사 #방어사 #진장 #현령 #최사위 #향리 #향 #부곡 #진 #역 #장리 #전지 #후단사 #공수정 #식록정 #객사정 #약점정 #사옥정 #승려 #별장 #교위 #대정 #제단정 #궁과 #오위 #과거 #개경 #호구 #향역 #잡과 #향읍 #좌사의 #권근 #명서업 #지리업 #의업 #율업 #수령 #동당시[ #감시 #명경과 #우왕 #조준 #공패 #성균관 #전교 #전법 #전의 #첨설직 #봉익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지(禮志)흉례(凶禮)
    1. 국상[(國恤)]
    國恤
    高麗人不立國恤之儀. 至國有大故, 則皆臨時采掇附比, 以從事, 事已, 則諱而不傳, 故其見於史者, 特梗槩而已. 太祖二十六年五月丙午 王疾大漸, 御神德殿, 命學士金岳, 草遺詔, 有頃而薨. 太子․諸王及宗室․近臣…
    #대고 #신덕전 #학사 #김악 #유조 #백관 #내의성 #유언 #혜종 #거애 #상정전 #빈소 #조전 #태상경 #시책 #섭시중 #원보 #행예빈령 #왕인택 #대뢰 #태조 #현릉 #상장 #원릉 #한 #위 #상복 #주상 #대상 #서경 #안동 #안남 #등주 #정침 #영릉 #성종 #중광전 #덕종 #현종 #선릉 #수라 #양암 #반곡 #당 #태묘 #합사 #선덕전 #순종 #문종 #경릉 #주 #진 #선종 #성릉 #혼전 #대릉 #요 #왕정 #천자 #제후 #삼년상 #사대부 #장례 #심상 #하절사 #인예태후 #반혼전 #소상제 #신주 #본전 #장평문 #어련 #서화문 #연영전 #목 #예종 #숙종 #우궁 #숭릉 #궐정 #전송 #선정전 #인종 #유릉 #우제 #보화전 #의종 #장릉 #대상제 #이의민 #계림 #희릉 #의창궁 #순릉 #미륵사 #졸곡 #예관 #상례 #중서성 #상제 #연등회 #연등대회 #국상 #금 #제전사 #태부감 #완안고 #서교정 #접반사 #대장군 #장박인 #문상례 #무도 #사신 #화연 #기복 #채붕 #연상 #금나라 #팔관회 #구정 #하례 #참지정사 #문극겸 #국기 #명종 #창락궁 #재추 #상참관 #종실 #사서인 #흰옷 #장례도감 #호부시랑 #이중원 #대관전 #좌승선 #우승경 #조서 #풍악 #정전 #지릉 #최충헌 #경순왕후 #강화도 #천령전 #희종 #정안궁 #예부 #상기 #신종 #양릉 #수창궁 #고종 #강종 #후릉 #관 #유경 #원종 #희생 #몽고 #가대 #지대 #검정 가죽띠 #홍릉 #원 #봉은사 #일산 #부월 #제왕 #문무 #강안전 #길복 #붉은 가죽 띠 #소상 #번진 #현 #중국 #과거 #혼인 #제상궁 #심왕 #원나라 #빈전 #황포 #충렬왕 #참최 #마질 #소릉 #경령전 #안평공주 #현성사 #수령궁 #고릉 #신효사 #심양왕충선왕 #제문 #시립 #대렴 #장사 #관아 #장지로 #향로 #십천교 #영진전 #침원 #섭태위 #대령군 #최유엄 #재계 #섭사도 #정승 #유청신 #전의판사 #이지저 #제관 #축판 #의장 #밀직 #섭상호군 #내시 #태위 #사도 #상석 #수레 #가마 #주악 #재랑 #배위 #고유 #집례 #정실 #초헌 #아헌 #종헌 #계국대장공주 #어사대 #상여 #영안궁 #태위왕 #연경 #삼사사 #윤신걸 #강융 #평양 #영구 #숙비궁 #충선왕 #덕릉 #악양현 #충혜왕 #충정왕 #강화 #총릉 #선명전 #휘의공주 #빈전도감 #국장도감 #조묘도감 #산소영반색 #법위의색 #상유색 #이거색 #제기색 #상복색 #반혼색 #복완색 #소조색 #관곽색 #묘실색 #포진색 #진영색 #정릉 #반혼 #홍륜 #보방 #우왕 #재신 #추신 #공민왕 #연복사 #선의문 #산릉 #보원고 #정순숙의공주 #공복 #혼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선거지(選擧志)전주(銓注)
    ○ 향직(鄕職)
    鄕職
    一品曰三重大匡․重大匡, 二品曰大匡․正匡, 三品曰大丞․佐丞, 四品曰大相․元甫, 五品曰正甫, 六品曰元尹․佐尹, 七品曰正朝․正位, 八品曰甫尹, 九品曰軍尹․中尹. 成宗二年 改州府郡縣吏職, 以兵部爲司兵, 倉部爲…
    #향직 #삼중대광 #중대광 #대광 #정광 #대승 #좌승 #대상 #원보 #정보 #원윤 #좌윤 #정조 #정위 #보윤 #군윤 #중윤 #이직 #병부 #사병 #창부 #사창 #당대등 #호장 #대등 #부호장 #낭중 #호정 #원외랑 #부호정 #집사 #사 #병부경 #병정 #연상 #부병정 #유내 #병사 #창부경 #창정 #부창정 #창사 #공수사 #식록사 #객사사 #약점사 #사옥사 #객창사 #방어사 #진장 #현령 #최사위 #향리 #향 #부곡 #진 #역 #장리 #전지 #후단사 #공수정 #식록정 #객사정 #약점정 #사옥정 #승려 #별장 #교위 #대정 #제단정 #궁과 #오위 #과거 #개경 #호구 #향역 #잡과 #향읍 #좌사의 #권근 #명서업 #지리업 #의업 #율업 #수령 #동당시[ #감시 #명경과 #우왕 #조준 #공패 #성균관 #전교 #전법 #전의 #첨설직 #봉익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Next PageLast Page총 6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