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현종
    현종 7년(1016) 병진년
    현종 7년(1016) 병진년
    7년 봄 정월 경술일. 거란의 야율세량(耶律世良)과 소굴열(蕭屈烈)이 곽주(郭州)(지금의 평안북도 곽산군)를 침공하자, 아군이 맞붙어 싸웠으나 수만 명의 전사자가 났으며 적은 군수물자를 노획하여 돌아갔다. 갑인일. 거란의 사신 10명이 압록강…
    #야율세량 #소굴열 #곽주 #압록강 #수창궁 #정신용 #상서우복야 #상주국 #주연 #장군 #임억 #중랑장 #양춘 #낭장 #손간 #상약봉어 #강승영 #태사령 #정균백 #상승봉어 #강민첨 #내사사인 #병부 #진명 #유고가 #강효 #고연적 #김은부 #호부상서 #이수화 #최충 #좌․우보궐 #이작충 #구양징 #좌․우습유 #윤징고 #중추원부사 #장영 #좌산기상시 #채충순 #예부상서 #현릉 #부아산 #향림사 #곽원 #송나라 #김노현 #채굉 #이강 #왕미 #연상 #김훈 #명복궁 #황호맹 #조은 #고홀 #이응보 #섭사헌대부 #서눌 #중승 #유소 #잡단 #조자기 #시어사헌 #김우보 #이성공 #전중시어사헌 #안재균 #이원수 #유현좌 #이회 #곽신 #이주좌 #감찰 #사헌대 #왕흠 #연경원 #상서성 #귀주 #귤선 #영몽 #요두 #중추사 #상호군 #형부시랑 #우간의대부 #황보유의 #급사중 #김맹 #중추직학사 #지보 #항춘전 #왕수 #도병마사 #고적여 #서긍 #수암 #통주 #명복전 #김현 #이주헌 #유도 #고종 #주간 #종도 #남계 #정전 #나간 #서경유수 #손몽주 #봉대 #고리 #내사시랑평장사 #유방 #형부상서 #참지정사 #광예아 #원우 #공부상서 #지채문 #우상시 #슬불달 #대중상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현종
    현종 7년(1016) 병진년
    현종 7년(1016) 병진년
    七年 春正月 庚戌 契丹耶律世良․蕭屈烈侵郭州, 我軍與戰, 死者數萬人, 獲輜重而歸. 甲寅 契丹使十人到鴨綠江, 不納. 乙卯 移御壽昌宮. 贈鄭神勇尙書右僕射上柱國, 周演將軍, 任憶中郞將, 楊春郞將, 孫簡尙藥奉御, 康承穎太史令, 授神勇子均伯, 郞將兼尙乘奉御. 戊午 以姜民…
    #야율세량 #소굴열 #곽주 #압록강 #수창궁 #정신용 #상서우복야 #상주국 #주연 #장군 #임억 #중랑장 #양춘 #낭장 #손간 #상약봉어 #강승영 #태사령 #정균백 #상승봉어 #강민첨 #내사사인 #병부 #진명 #유고가 #강효 #고연적 #김은부 #호부상서 #이수화 #최충 #좌․우보궐 #이작충 #구양징 #좌․우습유 #윤징고 #중추원부사 #장영 #좌산기상시 #채충순 #예부상서 #현릉 #부아산 #향림사 #곽원 #송나라 #김노현 #채굉 #이강 #왕미 #연상 #김훈 #명복궁 #황호맹 #조은 #고홀 #이응보 #섭사헌대부 #서눌 #중승 #유소 #잡단 #조자기 #시어사헌 #김우보 #이성공 #전중시어사헌 #안재균 #이원수 #유현좌 #이회 #곽신 #이주좌 #감찰 #사헌대 #왕흠 #연경원 #상서성 #귀주 #귤선 #영몽 #요두 #중추사 #상호군 #형부시랑 #우간의대부 #황보유의 #급사중 #김맹 #중추직학사 #지보 #항춘전 #왕수 #도병마사 #고적여 #서긍 #수암 #통주 #명복전 #김현 #이주헌 #유도 #고종 #주간 #종도 #남계 #정전 #나간 #서경유수 #손몽주 #봉대 #고리 #내사시랑평장사 #유방 #형부상서 #참지정사 #광예아 #원우 #공부상서 #지채문 #우상시 #슬불달 #대중상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오연총(吳延寵)
    오연총吳延寵
    오연총(吳延寵) 오연총(1055~1116) 삼한공신(三韓功臣)의 후손이자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로 추증된 해주 오씨(海州吳氏) 오정(吳頲)의 아들로, 예종 때 공신이 된 문신관료이다. 자신과 함께 여진(女眞)정벌에 참전하고 인종~의종 때 호부상서(戶部尙書)를 …
    #오연총 #해주 #과거에 급제 #기거랑 #병부낭중 #상서 #왕하 #송나라 #태평어람 #문고 #정사 #부사 #중서사인 #전주 #청주 #광주 #수령 #목민관 #전주목 #추밀원좌승선 #형부시랑 #지어사대사 #상서좌승 #한림시독학사 #예종 #지추밀원사 #어사대부 #한림학사승지 #동북면병마사 #행영병마사 #동계 #신기군 #재상 #추밀 #검교사공 #형부상서 #서경 #용언 #내인 #정극공 #사천소감 #최자현 #태사령 #음덕전 #오지로 #주부동정 #김위제 #양부 #재추 #장령전 #남경 #평장사 #최홍사 #태사관 #송도 #서경 용언 #문종 #조종 #여진 #윤관 #부원수 #협모동덕치원공신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어구의 말 #웅주 #도지병마영할사 #임언 #도순검사 #최홍정 #문관 #김준 #왕자지 #오음지령 #사오령 #목책 #양구진국공신 #수사도 #연영전태학사 #문덕전 #길주 #병마부사 #이관진 #공험진 #부월 #수사공 #중서시랑평장사 #조말 #노공 #맹명 #진 #목공 #수태위 #감수국사 #상주국 #판이부사 #판예부사 #판병부사 #문양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반역(叛逆)
    이자겸(李資謙)
    이자겸李資謙
    이자겸(李資謙)은 중서령(中書令) 이자연(李子淵)의 손자이자 경원백(慶源伯) 이호(李顥) 이호(?~?) 이호는 이자연(李子淵)의 여섯 번째 아들로 호부낭중(戶部郎中)을 역임하고 수사공(守司空)․경원군개국백(慶源郡開國伯)․상주국(上柱國)이 되었다. 이호는 부인 …
    #이자겸 #중서령 #이자연 #경원백 #이호 #음서 #합문지후 #순종 #예종 #참지정사 #상서좌복야 #주국 #개부의동삼사 #수사도 #중서시랑 #중서문하평장사 #수태위 #식읍 #인종 #협모안사공신 #수태사 #소성후 #대제 #김부식 #평장사 #김정준 #추밀원사 #박승중 #성왕 #주공 단 #장제 #동평왕 #의대 #안마 #금은 #폐백 #양절익명공신 #영문하상서도성사 #판이병부 #서경유수사 #조선국공 #숭덕부 #의친궁 #김치양 #이지미 #비서감 #추밀원부사 #이공의 #상서형부시랑 #이지언 #상서공부낭중 #어사잡단 #이지보 #상서호부낭중 #지다방사 #이지윤 #전중내급사 #이지원 #의장 #수좌 #건덕전 #중서성 #재추 #상참 #이수 #동지추밀원사 #허재 #시예부상서 #위위경 #주부 #소세청 #송나라 #대방공 #왕보 #경산부 #한안인 #최홍재 #문공미 #이영 #정극영 #내시 #김찬 #안보린 #지녹연 #상장군 #최탁 #오탁 #대장군 #권수 #장군 #고석 #척준경 #척준신 #병부상서 #척순 #지후 #김정분 #녹사 #전기상 #최영 #내직기두 #학문 #중랑장 #지호 #낭중 #왕의 #시랑 #최식 #이후진 #윤한 #김정황 #조순거 #문중경 #군기고 #현화사 #내탕 #시어사 #이중 #기거사인 #호종단 #최학란 #도병마녹사 #소억 #소부감 #장작감 #이숙신 #금위별장 #이작 #송행충 #산호정 #근신 #임경청 #양부 #홍입공 #유한경 #차장군 #승선 #김향 #경녕전 #백사청 #내제석원 #연덕궁 #낭장 #장성 #좌복야 #홍관 #윤성 #한경 #박영 #송인 #사유정 #오정신 #이유 #최잠 #원외랑 #박원실 #내시봉어 #왕관 #윤선 #정총진 #별장 #장성호 #이녹천 #김단 #김언 #산호 #상춘 #상화 #오자승 #고보준 #안치 #대경 #김의원 #최자성 #지석숭 #산원 #권정균 #대정 #오함 #이적선 #환관 #조령 #수사공 #호부원외랑 #재상 #내의 #최사전 #지추밀원사 #김부일 #안화사 #연경궁 #병부 #조의 #상서 #요리 #금오위 #이공수 #소경 #유원식 #천복전 #군기감 #강후현 #팔관보 #강호 #고진수 #이자덕 #김인규 #순검 #검점소 #영광 #합주 #진도 #거제 #삼척 #금주 #함종 #박표 #직장 #태사령 #양린 #동관정 #양해 #이분 #김호 #지복신 #최사염 #위호 #송용중 #대악승 #김충 #예빈경 #이자원 #전중소감 #박효렴 #이존 #울진 #정나라 #장공 #성영 #진나라 #시황제 #옹 #함양 #감천 #검교태사 #한양공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반역(叛逆)
    정중부(鄭仲夫)
    정중부鄭仲夫
    정중부 정중부(1106~1179) 정중부는 하급무신이었던 이고(李高), 이의방(李義方) 등 무인정변 주동세력에 비해 고위무신이었고 문신에 대한 숙청에서도 온건한 입장을 취했던 인물이다. 정중부는 조위총의 저항에 대한 진압과정에서 이의방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하…
    #정중부 #해주 #개경 #재상 #최홍재 #공학군 #인종 #견룡대정 #내시 #다방 #김돈중 #김부식 #의종 #교위 #어사대 #수창궁 #산원 #사직재 #상장군 #인지재 #법천사 #각예 #달영원 #좌부승선 #임종식 #기거주 #한뢰 #화평재 #견룡행수 #이의방 #이고 #연복정 #흥왕사 #보현원 #대장군 #이소응 #이복기 #김광미 #양숙 #진준 #순검군 #환관 #왕광취 #배윤재 #지유 #김석재 #승선 #이세통 #이당주 #어사잡단 #김기신 #지후 #유익겸 #사천감 #김자기 #태사령 #허자단 #행궁 #가구소 #별감 #김수장 #추밀원부사 #양순정 #음중인 #대부소경 #박보균 #감찰어사 #최동식 #내시지후 #김광 #태자궁 #행궁별감 #김거실 #원외랑 #이인보 #별상원 #판이부사 #최포칭 #허홍재 #동지추밀원사 #서순 #지추밀원사 #최온 #상서우승 #김돈시 #국자감대사성 #이지심 #비서감 #김광중 #이부시랑 #윤돈신 #위위소경 #조문귀 #최윤서 #시랑 #조문진 #내시소경 #진현광 #시어사 #박윤공 #병부낭중 #강처약 #도성낭중 #강처균 #봉어 #전치유 #배진 #배연 #응양군 #용호군 #중랑장 #수사공 #복야 #한숙 #군기감 #영은관 #거제현 #진도현 #무비 #청교역 #병부시랑 #조동희 #서해도 #동계 #철령 #탐라 #최현 #소경 #최춘 #최치 #왕호 #백자단 #영의 #유방의 #명종 #참지정사 #중서시랑평장사 #문하평장 #수성사 #진윤승 #명종 2년 #서북면병마 #판행영병마 #중군병마판사 #동북면병마사 #간의대부 #김보당 #녹사 #이경직 #장순석 #유인준 #남로병마사 #서해도병마사 #동북면지병마사 #한언국 #계림 #장군 #이의민 #박존위 #안북도호부 #진의광 #이준의 #낭장 #김부 #문하시중 #채원 #지병마사 #정균 #종참 #보제사 #승록사 #양부 #재추 #낭중 #장충의 #궤장 #예관 #한나라 #공광 #중방 #송유인 #대리 #소유 #중승 #송정 #진광인 #기두 #녹상 #장박인 #조존부 #내시 장군 #오광척 #강실 #추밀 #최충렬 #공부원외랑 #광덕리 #지병부 #천신사 #내시낭장 #유득의 #지도성사 #상서 #김이영 #경대승 #금군 #송군수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오연총(吳延寵)
    오연총吳延寵
    吳延寵, 海州人. 家世寒素, 少貧賤, 力學, 善屬文, 登第, 累遷起居郞兵部郞中. 肅宗五年, 與尙書王嘏如宋賀登極, 以朝旨購大平御覽, 宋人祕許, 延寵上表懇請, 乃得. 及還, 王曰, “此書文考嘗求之不得, 今朕得之, 使者之能也.” 使副僚佐, 並加爵賞, 拜延寵中書舍人,…
    #오연총 #해주 #과거에 급제 #기거랑 #병부낭중 #상서 #왕하 #송나라 #태평어람 #문고 #정사 #부사 #중서사인 #전주 #청주 #광주 #수령 #목민관 #전주목 #추밀원좌승선 #형부시랑 #지어사대사 #상서좌승 #한림시독학사 #예종 #지추밀원사 #어사대부 #한림학사승지 #동북면병마사 #행영병마사 #동계 #신기군 #재상 #추밀 #검교사공 #형부상서 #서경 #용언 #내인 #정극공 #사천소감 #최자현 #태사령 #음덕전 #오지로 #주부동정 #김위제 #양부 #재추 #장령전 #남경 #평장사 #최홍사 #태사관 #송도 #서경 용언 #문종 #조종 #여진 #윤관 #부원수 #협모동덕치원공신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어구의 말 #웅주 #도지병마영할사 #임언 #도순검사 #최홍정 #문관 #김준 #왕자지 #오음지령 #사오령 #목책 #양구진국공신 #수사도 #연영전태학사 #문덕전 #길주 #병마부사 #이관진 #공험진 #부월 #수사공 #중서시랑평장사 #조말 #노공 #맹명 #진 #목공 #수태위 #감수국사 #상주국 #판이부사 #판예부사 #판병부사 #문양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반역(叛逆)
    이자겸(李資謙)
    이자겸李資謙
    李資謙, 中書令子淵之孫, 慶源伯顥之子, 以門蔭, 進爲閤門祗候. 女弟爲順宗妃, 順宗薨, 與宮奴通, 資謙坐免官. 睿宗納資謙第二女爲妃, 由是驟貴. 至叅知政事尙書左僕射柱國, 進開府儀同三司守司徒中書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 尋加守大尉, 賜翼聖功臣號. 封其母金氏通義國大夫人, …
    #이자겸 #중서령 #이자연 #경원백 #이호 #음서 #합문지후 #순종 #예종 #참지정사 #상서좌복야 #주국 #개부의동삼사 #수사도 #중서시랑 #중서문하평장사 #수태위 #식읍 #인종 #협모안사공신 #수태사 #소성후 #대제 #김부식 #평장사 #김정준 #추밀원사 #박승중 #성왕 #주공 단 #장제 #동평왕 #의대 #안마 #금은 #폐백 #양절익명공신 #영문하상서도성사 #판이병부 #서경유수사 #조선국공 #숭덕부 #의친궁 #김치양 #이지미 #비서감 #추밀원부사 #이공의 #상서형부시랑 #이지언 #상서공부낭중 #어사잡단 #이지보 #상서호부낭중 #지다방사 #이지윤 #전중내급사 #이지원 #의장 #수좌 #건덕전 #중서성 #재추 #상참 #이수 #동지추밀원사 #허재 #시예부상서 #위위경 #주부 #소세청 #송나라 #대방공 #왕보 #경산부 #한안인 #최홍재 #문공미 #이영 #정극영 #내시 #김찬 #안보린 #지녹연 #상장군 #최탁 #오탁 #대장군 #권수 #장군 #고석 #척준경 #척준신 #병부상서 #척순 #지후 #김정분 #녹사 #전기상 #최영 #내직기두 #학문 #중랑장 #지호 #낭중 #왕의 #시랑 #최식 #이후진 #윤한 #김정황 #조순거 #문중경 #군기고 #현화사 #내탕 #시어사 #이중 #기거사인 #호종단 #최학란 #도병마녹사 #소억 #소부감 #장작감 #이숙신 #금위별장 #이작 #송행충 #산호정 #근신 #임경청 #양부 #홍입공 #유한경 #차장군 #승선 #김향 #경녕전 #백사청 #내제석원 #연덕궁 #낭장 #장성 #좌복야 #홍관 #윤성 #한경 #박영 #송인 #사유정 #오정신 #이유 #최잠 #원외랑 #박원실 #내시봉어 #왕관 #윤선 #정총진 #별장 #장성호 #이녹천 #김단 #김언 #산호 #상춘 #상화 #오자승 #고보준 #안치 #대경 #김의원 #최자성 #지석숭 #산원 #권정균 #대정 #오함 #이적선 #환관 #조령 #수사공 #호부원외랑 #재상 #내의 #최사전 #지추밀원사 #김부일 #안화사 #연경궁 #병부 #조의 #상서 #요리 #금오위 #이공수 #소경 #유원식 #천복전 #군기감 #강후현 #팔관보 #강호 #고진수 #이자덕 #김인규 #순검 #검점소 #영광 #합주 #진도 #거제 #삼척 #금주 #함종 #박표 #직장 #태사령 #양린 #동관정 #양해 #이분 #김호 #지복신 #최사염 #위호 #송용중 #대악승 #김충 #예빈경 #이자원 #전중소감 #박효렴 #이존 #울진 #정나라 #장공 #성영 #진나라 #시황제 #옹 #함양 #감천 #검교태사 #한양공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반역(叛逆)
    정중부(鄭仲夫)
    정중부鄭仲夫
    鄭仲夫, 海州人. 容貌雄偉, 方瞳廣顙. 白晳美鬚髥, 身長七尺餘, 望之可畏. 初州上軍籍, 封其臂送京, 宰相崔弘宰選軍, 見而異之, 解其封慰勉, 充控鶴禁軍. 仁宗朝, 始補牽龍隊正. 除夕, 設儺禮, 呈雜技, 王臨視. 內侍․茶房․牽龍等, 交相騰躍爲樂, 內侍金敦中, 年少…
    #정중부 #해주 #개경 #재상 #최홍재 #공학군 #인종 #견룡대정 #내시 #다방 #김돈중 #김부식 #의종 #교위 #어사대 #수창궁 #산원 #사직재 #상장군 #인지재 #법천사 #각예 #달영원 #좌부승선 #임종식 #기거주 #한뢰 #화평재 #견룡행수 #이의방 #이고 #연복정 #흥왕사 #보현원 #대장군 #이소응 #이복기 #김광미 #양숙 #진준 #순검군 #환관 #왕광취 #배윤재 #지유 #김석재 #승선 #이세통 #이당주 #어사잡단 #김기신 #지후 #유익겸 #사천감 #김자기 #태사령 #허자단 #행궁 #가구소 #별감 #김수장 #추밀원부사 #양순정 #음중인 #대부소경 #박보균 #감찰어사 #최동식 #내시지후 #김광 #태자궁 #행궁별감 #김거실 #원외랑 #이인보 #별상원 #판이부사 #최포칭 #허홍재 #동지추밀원사 #서순 #지추밀원사 #최온 #상서우승 #김돈시 #국자감대사성 #이지심 #비서감 #김광중 #이부시랑 #윤돈신 #위위소경 #조문귀 #최윤서 #시랑 #조문진 #내시소경 #진현광 #시어사 #박윤공 #병부낭중 #강처약 #도성낭중 #강처균 #봉어 #전치유 #배진 #배연 #응양군 #용호군 #중랑장 #수사공 #복야 #한숙 #군기감 #영은관 #거제현 #진도현 #무비 #청교역 #병부시랑 #조동희 #서해도 #동계 #철령 #탐라 #최현 #소경 #최춘 #최치 #왕호 #백자단 #영의 #유방의 #명종 #참지정사 #중서시랑평장사 #문하평장 #수성사 #진윤승 #명종 2년 #서북면병마 #판행영병마 #중군병마판사 #동북면병마사 #간의대부 #김보당 #녹사 #이경직 #장순석 #유인준 #남로병마사 #서해도병마사 #동북면지병마사 #한언국 #계림 #장군 #이의민 #박존위 #안북도호부 #진의광 #이준의 #낭장 #김부 #문하시중 #채원 #지병마사 #정균 #종참 #보제사 #승록사 #양부 #재추 #낭중 #장충의 #궤장 #예관 #한나라 #공광 #중방 #송유인 #대리 #소유 #중승 #송정 #진광인 #기두 #녹상 #장박인 #조존부 #내시 장군 #오광척 #강실 #추밀 #최충렬 #공부원외랑 #광덕리 #지병부 #천신사 #내시낭장 #유득의 #지도성사 #상서 #김이영 #경대승 #금군 #송군수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지리지(地理志)
    왕경(王京) 개성부(開城府)
    왕경王京 개성부開城府
    본래 고구려의 부소갑(扶蘇岬)인데 신라에서 송악군(松嶽郡)으로 고쳤다. 태조 2년(919)에 송악(松嶽)의 남쪽에 도읍을 정하여 개주(開州)라 하고 궁궐을 창건하였다. 【회경전(會慶殿) 회경전 고려 왕궁의 정전(正殿). 창합문(閶閤門) 안에 있었다. 이곳에서 …
    #고구려 #부소갑 #신라 #송악군 #태조 #송악 #개주 #회경전 #승경전 #응건전 #봉원전 #장령전 #천령전 #함경전 #향복전 #건명전 #저상전 #명경전 #금명전 #건덕전 #대관전 #문덕전 #수문전 #연영전 #집현전 #선정전 #광인전 #선명전 #목청전 #함원전 #정덕전 #만수전 #영수전 #중광전 #강안전 #연친전 #목친전 #오성전 #영헌전 #자화전 #집희전 #정양궁 #서화전 #수춘궁 #여정전 #망운루 #관상루 #의춘루 #소휘루 #신봉문 #의봉문 #춘덕문 #체통문 #대초문 #태정문 #창합문 #운룡문 #회일문 #이빈문 #창덕문 #흥례문 #개경문 #황극문 #금마문 #연수문 #천복문 #자신문 #통천문 #영통문 #경양문 #양화문 #안우문 #순우문 #좌우승천문 #통가문 #좌우선경문 #부우문 #좌우연우문 #봉명문 #교화문 #장녕문 #조인문 #선화문 #통인문 #흥태문 #분방문 #양춘문 #광양문 #대평문 #중화문 #백복문 #보화문 #통경문 #성덕문 #동화문 #경도문 #서화문 #향성문 #대청문 #청태문 #영안문 #흥안문 #시전 #방리 #5부 #광종 #개경 #황도 #성종 #개성부 #적현 #기현 #현종 #현령 #정주 #덕수 #강음 #장단현령 #송림 #임진 #토산 #임강 #적성 #파평 #마전 #상서도성 #경기 #경성 #안정방 #봉향방 #영창방 #송령방 #양제방 #창령방 #홍인방 #덕수방 #덕풍방 #안흥방 #덕산방 #안신방 #삼송방 #오정방 #건복방 #진안방 #향천방 #정원방 #법왕방 #흥국방 #오관방 #자운방 #왕륜방 #제상방 #사내방 #사자암방 #내천왕방 #남계방 #흥원방 #홍도방 #앵계방 #유암방 #변양방 #광덕방 #성화방 #나성 #정부 #나각 #자안문 #안화문 #성도문 #영창문 #안정문 #숭인문 #홍인문 #선기문 #덕산문 #장패문 #덕풍문 #영동문 #회빈문 #선계문 #태안문 #앵계문 #선엄문 #광덕문 #건복문 #창신문 #보태문 #선의문 #산예문 #영평문 #통덕문 #황성 #광화문 #통양문 #주작문 #남훈문 #안상문 #귀인문 #영추문 #장평문 #건화문 #금요문 #태화문 #상동문 #화평문 #조종문 #선인문 #청양문 #현무문 #북소문 #공장 #문종 #지개성부사 #도성 #서해도 #평주 #우봉군 #충렬왕 #부윤 #개성현 #공민왕 #송도 #공양왕 #장단 #개성 #해풍 #우봉 #양광도 #한양 #사천 #교하 #고봉 #풍양 #심악 #행주 #해주 #견주 #포주 #봉성 #김포 #양천 #부평 #동성 #석천 #황조 #황어 #부원 #과주 #인주 #안산 #금주 #남양 #수안 #교주도 #영흥 #안협 #승령 #삭령 #철원 #연안 #백주 #협주 #신은 #통진 #안주 #봉주 #서흥 #서원 #영평 #이천 #연주 #삭녕 #강화 #교동 #곡주 #재령 #협계 #도관찰출척사 #수령관 #왕도 #진산 #숭악전 #신사 #용수산 #진봉산 #동강 #서강 #예성강 #벽란도 #속군 #속현 #동비홀 #경덕왕 #개성군 #개성현령 #대정 #의조 #용녀 #기평도 #우잠군 #우령 #수지의 #예종 #감무 #구룡산 #국조 #성골장군 #성거산 #박연 #상연 #하연 #가뭄 #기우제 #이영간 #승천부 #지부사 #충선왕 #해풍군 #백마산 #장원정 #도선 #송악명당기 #태사령 #김종윤 #병악 #하원도 #중방제 #중방 #반주 #덕물현 #인물현 #흥왕사 #치소 #조강도 #인녕도 #굴압현 #강서 #영현 #인종 #장천성현 #야야 #야아 #목종 #시중 #한언공 #단주 #장단도 #가곡 #장항현 #고사야홀차 #장단현 #영통사 #송경 #아간 #강충 #보육 #마아갑 #오사함달현 #진임성현 #오아홀 #남경 #한양윤 #이안 #태묘 #임진도 #약지두치현 #지섬 #삭두 #여비 #고려 #불일사 #오관산 #문충 #악부 #오관산곡 #마전천현 #이사파홀 #임단 #적성현 #칠중성 #중성 #내소군 #감악 #소사 #거란 #당나라 #설인귀 #산신 #파해평사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지(禮志)길례대사(吉禮大祀)
    1. 원구(圜丘)
    圜丘
    ○ 원구단(圜丘壇) 원구단 원구(圜丘)․圓丘․園丘․원단(圜壇)이라고도 하며, 천자나 국왕이 하늘에 제사지내던 하늘 모양의 둥근 제단이다. 천원지방설에 따라 중앙에는 둥근 단을, 밖에는 방형을 쌓았다. 한나라 때에는 원구단(圓丘壇)이라 하다가 송나라 때에는 원구…
    #원구단 #요단 #신단 #축판 #창벽 #사규유저 #청제 #청규 #적제 #적장 #황제 #황종 #백제 #백호 #흑제 #현황 #오방제 #섭사 #친사 #공 #후 #백 #태위 #재신 #광록경 #태상경 #행사집사관 #상서성 #감찰어사 #원구 #산재 #별전 #치재 #정전 #재궁 #정침 #본사 #청재 #악공 #문무 #무무 #태조 #제위 #상사국 #대차 #소차 #수궁서 #시신 #막차 #행사배사관 #찬만 #교사령 #권화 #장생령 #태악령 #봉례 #음복위 #사관 #집사자 #악현 #협률랑 #악거 #망료위 #시단 #종사관 #문외위 #생방 #창생 #청생 #적생 #황생 #백생 #현생 #서리 #태축 #축사 #성생위 #어사 #태사령 #위판 #상제 #신좌 #보 #궤 #변 #두 #등 #조 #포작 #태준 #범제 #착준 #예제 #사준 #앙제 #산뢰 #현주 #청주 #상준 #제제 #호준 #침제 #사주 #석주 #준 #작점 #축점 #폐비 #세위 #작 #사비 #아헌관 #종헌관 #대가 #노부 #대인 #내장 #추밀 #대관전 #자황포 #명편 #금위 #사인 #각문 #시중 #판주 #흥례문 #의봉문 #승황령 #천우 #태복경 #경필 #난가 #황문시랑 #승평문 #거우 #상장군 #현무대 #집례 #집사관 #조복 #산 #선 #화개 #시위 #숙위 #통사사인 #집례관 #알자 #찬인 #태관 #태관령 #재인 #난도 #뇌 #생수반 #양온령 #옥 #비 #영사 #무공 #사공 #행궁 #곤룡포 #면류관 #태상박사 #박사 #합문관 #상의봉어 #환규 #전중감 #휘 #축 #황종궁 #정안지곡 #어 #헌가 #협종궁 #경안지곡 #황종각 #대주치 #고선우 #정안지곡」 #중서령 #규 #등가 #대려궁 #가안지곡 #인안지곡 #사도 #풍안지곡 #오제 #뇌세위 #내시관 #희안지곡 #좨주 #내시 #숭안지곡 #재랑 #무안지곡 #향악 #숙안지곡 #영안지곡 #주악 #집사위 #재전 #의장 #악부 #강사포 #어가 #천우위 #제지 #친사의 #통섭 #공복 #유문 #재방 #무표 #헌관 #신위 #제기 #술병 #받침 #채반 #덮개 #명수 #명화 #인안지곡」 #복주 #숭안지곡」 #기우제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3Next PageLast Page총 28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