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종성종 9년(990) 경인년성종 9년(990) 경인년9년 여름 6월 ○ 송나라에서 광록경(光祿卿) 시성무(柴成務)와 태상소경(太常少卿) 조화성(趙化成) 등을 보내 왕을 추성순화공신(推誠順化功臣)으로 올려 책봉하고 식읍 1천호․식실봉 4백호를 더 주었으며 나머지는 종전대로 했다. 왕이 책명을 받자 교수형 …#광록경 #시성무 #태상소경 #조화성 #추성순화공신 #삼황 오제 #양인 #왕상 #전주 #구례현 #손순흥 #운제현 #기불역 #차달 #서도 #박광렴 #남해 #낭산도 #능선 #함부 #경주 #연일현 #정강준 #자이 #경성 #송흥방 #절충부별장 #조영 #정문 #역 #기거랑 #김심언 #은청광록대부 #검교시어 #사헌좌무후 #위익부낭장 #태조 #서경 #웅도 #요성 #악관 #서도유수관 #진 #순 #태산 #낙양 #월령 #주현 #평양부 #개주 #평주 #황주 #동주 #안주 #봉주 #신주 #백주 #정주 #염주 #해주 #우봉현 #토산현 #수안현 #십곡현 #협계현 #덕수현 #강음현 #임진현 #옹진현 #함종현 #군악현 #안성역 #복두 #경관 #동경 #왕송 #개령군 #주나라 #한나라 #숭덕궁 #정사 #공관어사 #지도성사 #박양유 #부사 #전중감 #조광 #진시황 #무제 #심약 #비서성 #장화 #백호관 #개경 #수서원 #병관시랑 #한언공 #송나라
-
문종문종 2년(1048) 무자년문종 2년(1048) 무자년2년 봄 정월 초하루 경오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을해일. 동여진의 회화장군(懷化將軍) 구라마리불(仇羅麻里弗) 등 40명이 와서 명마를 바치므로 차등을 두어 물품을 내려주었다. 윤정월 초하루 경자일. 태묘(太廟…
-
예종예종 3년(1108) 무자년예종 3년(1108) 무자년3년 봄 정월 갑인일. 요나라에서 숭록경(崇祿卿) 조용의(曹勇義)를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병진일. 요나라 사신을 위해 건덕전(乾德殿)에서 잔치를 베풀었다. 정묘일. 급사중(給事中) 이…#요나라 #숭록경 #조용의 #건덕전 #급사중 #이자겸 #문․무 상참관 #고주사 #호부시랑 #왕유 #송나라 #수춘궁 #집사관 #신봉루 #사면령 #참형 #교수형 #개경 #서경 #남반 #정․잡로 #동정직 #상책도감 #장고 #초입사 #책함 #의장 #책문 #안락도량도감 #태묘 #압물사 #곤성전 #숭명부 #연덕궁 #명복궁 #급사 #궁부 #서자 #산사 #의사 #진봉장리 #무산계 #승천부 #진봉호장 #명경과 #제술과 #여진 #웅주 #최홍정 #상서 #유택 #함주대도호부사 #영주 #복주 #길주 #공험진 #연등회 #봉은사 #장염 #낙기복 #소량 #이인흡 #청안군절도사 #익주관내관찰사 #봉책사 #부사 #면류관 #수레 #관복 #포백 #안장 갖춘 말 #왕우 #우이 #수태위 #중서령 #윤관 #사신 #영주성 #의주 #통태 #평융 #남계 #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 #지군국중사 #오연총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내시낭중 #한교여 #고신 #자줏빛 수를 놓은 안장 #말 #신묘 #영릉 #웅주성 #고취군 #대방후 #왕보 #제안후 #왕서 #경령전 #부월 #문덕전 #창릉 #유배 #도형 #참수형 #체례도감 #예사 #향관 #원리 #현릉 #숙종 #부제 #품계 #향직 #내시급사 #왕부 #구사 #견룡 #초직 #시위급사 #병마부원수 #유향 #궁검 #약사경 #재추 #근시 #문무 #회경전 #초제 #진사시 #복시 #노현용 #대성 #시신 #지제고 #보제사 #보살계 #신중원 #행영병마원수 #토산현 #감무 #고영신 #서북면병마사 #최연 #동북면병마사 #서보 #좌우위 #고의화 #병부상서 #김여진 #섭호부상서 #박신 #섭공부상서 #행영병마판관어사 #신현 #영인진 #형부상서 #김상우 #예부시랑 #동계 #문두루도량 #진정사 #사천왕도량 #비사문사 #중광전 #정주 #등주 #행영병마사 #병마판관 #왕자지 #척준경 #함주 #점군사 #유익 #장군 #송충 #신기군 #박회절 #병부시랑 #지어사대사 #상장군 #서여진 #추장 #노호 #패강도 #영평현개국백 #양구진국공신 #장령전 #행영병마판관 #사지령 #남경 #흥왕사 #대시원 #이덕우 #천흥절 #강경법회 #승가굴 #연흥전 #반야경 #재림사 #인수사 #황원도 #낙기복사 #봉성현 #재보 #최지 #약사원 #불은사 #서우 #팔관회 #법왕사 #횡선사 #검교사도 #야율영
-
성종성종 9년(990) 경인년성종 9년(990) 경인년九年 夏六月 宋遣光祿卿柴成務, 太常少卿趙化成等來, 加冊王推誠順化功臣, 食邑一千戶․食實封四百戶, 餘如故. 王受冊, 赦絞罪以下. 秋九月 丙子 敎曰, “凡理國家, 必先務本, 務本莫過於孝. 三皇五帝之本務, 而萬事之紀, 百善之主也. 由是, 漢皇嘉楊引之尊…#광록경 #시성무 #태상소경 #조화성 #추성순화공신 #삼황 오제 #양인 #왕상 #전주 #구례현 #손순흥 #운제현 #기불역 #차달 #서도 #박광렴 #남해 #낭산도 #능선 #함부 #경주 #연일현 #정강준 #자이 #경성 #송흥방 #절충부별장 #조영 #정문 #역 #기거랑 #김심언 #은청광록대부 #검교시어 #사헌좌무후 #위익부낭장 #태조 #서경 #웅도 #요성 #악관 #서도유수관 #진 #순 #태산 #낙양 #월령 #주현 #평양부 #개주 #평주 #황주 #동주 #안주 #봉주 #신주 #백주 #정주 #염주 #해주 #우봉현 #토산현 #수안현 #십곡현 #협계현 #덕수현 #강음현 #임진현 #옹진현 #함종현 #군악현 #안성역 #복두 #경관 #동경 #왕송 #개령군 #주나라 #한나라 #숭덕궁 #정사 #공관어사 #지도성사 #박양유 #부사 #전중감 #조광 #진시황 #무제 #심약 #비서성 #장화 #백호관 #개경 #수서원 #병관시랑 #한언공 #송나라
-
문종문종 2년(1048) 무자년문종 2년(1048) 무자년二年春正月 庚午朔 放朝賀. 乙亥 東女眞懷化將軍仇羅麻里弗等四十人來, 獻名馬, 賜物有差. 閏月 庚子朔 告朔于太廟. 丙午 東女眞歸德將軍沙伊羅, 柔遠將軍沙時賀等三十五人來, 獻土馬. 庚戌 東女眞懷化將軍都仇羅等三十八人來, 獻土物. 辛亥 西女眞寧塞將軍高之智…
-
예종예종 3년(1108) 무자년예종 3년(1108) 무자년三年 春正月 甲寅 遼遣崇祿卿曹勇義, 來賀生辰. 丙辰 宴遼使于乾德殿. 丁卯 納給事中李資謙女, 爲妃. 戊寅 尊母柳氏爲王太后. 翌日, 諸王宰輔文武常叅官以上進賀, 賜群臣宴. 二月 丙戌 告奏使戶部侍郞王維如宋. 曲宴諸王․宰樞․近臣于壽春宮, 文武常叅官及封…#요나라 #숭록경 #조용의 #건덕전 #급사중 #이자겸 #문․무 상참관 #고주사 #호부시랑 #왕유 #송나라 #수춘궁 #집사관 #신봉루 #사면령 #참형 #교수형 #개경 #서경 #남반 #정․잡로 #동정직 #상책도감 #장고 #초입사 #책함 #의장 #책문 #안락도량도감 #태묘 #압물사 #곤성전 #숭명부 #연덕궁 #명복궁 #급사 #궁부 #서자 #산사 #의사 #진봉장리 #무산계 #승천부 #진봉호장 #명경과 #제술과 #여진 #웅주 #최홍정 #상서 #유택 #함주대도호부사 #영주 #복주 #길주 #공험진 #연등회 #봉은사 #장염 #낙기복 #소량 #이인흡 #청안군절도사 #익주관내관찰사 #봉책사 #부사 #면류관 #수레 #관복 #포백 #안장 갖춘 말 #왕우 #우이 #수태위 #중서령 #윤관 #사신 #영주성 #의주 #통태 #평융 #남계 #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 #지군국중사 #오연총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내시낭중 #한교여 #고신 #자줏빛 수를 놓은 안장 #말 #신묘 #영릉 #웅주성 #고취군 #대방후 #왕보 #제안후 #왕서 #경령전 #부월 #문덕전 #창릉 #유배 #도형 #참수형 #체례도감 #예사 #향관 #원리 #현릉 #숙종 #부제 #품계 #향직 #내시급사 #왕부 #구사 #견룡 #초직 #시위급사 #병마부원수 #유향 #궁검 #약사경 #재추 #근시 #문무 #회경전 #초제 #진사시 #복시 #노현용 #대성 #시신 #지제고 #보제사 #보살계 #신중원 #행영병마원수 #토산현 #감무 #고영신 #서북면병마사 #최연 #동북면병마사 #서보 #좌우위 #고의화 #병부상서 #김여진 #섭호부상서 #박신 #섭공부상서 #행영병마판관어사 #신현 #영인진 #형부상서 #김상우 #예부시랑 #동계 #문두루도량 #진정사 #사천왕도량 #비사문사 #중광전 #정주 #등주 #행영병마사 #병마판관 #왕자지 #척준경 #함주 #점군사 #유익 #장군 #송충 #신기군 #박회절 #병부시랑 #지어사대사 #상장군 #서여진 #추장 #노호 #패강도 #영평현개국백 #양구진국공신 #장령전 #행영병마판관 #사지령 #남경 #흥왕사 #대시원 #이덕우 #천흥절 #강경법회 #승가굴 #연흥전 #반야경 #재림사 #인수사 #황원도 #낙기복사 #봉성현 #재보 #최지 #약사원 #불은사 #서우 #팔관회 #법왕사 #횡선사 #검교사도 #야율영
-
제신(諸臣)최응(崔凝)최응崔凝최응(崔凝) 최응(898~932) 토산(土山)(지금의 황해북도 토산군)지역의 유력자인 토산 최씨(土山崔氏) 최우달(崔祐達)의 아들이다. 궁예 때부터 한림랑(翰林郞)․장주(掌奏)를 지내면서 왕건의 지지세력이 되었다가 고려가 건국된 후 지원봉성사(知元奉省事)․광평…
-
제신(諸臣)이주헌(李周憲)이주헌李周憲이주헌(李周憲) 이주헌(?~1022) 토산 이씨[土山李氏․祥原李氏]로, 성종~현종 때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참지정사(叅知政事)를 역임한 문신관료이다. 이 집안은 국초 공신의 후손으로 이주헌과 이징망(李徵望) 부자가 각각 상서좌복야와 경(卿)의 벼슬을 역임하면…
-
제신(諸臣)안소광(安紹光)안소광安紹光안소광(安紹光)은 동주(洞州)(지금의 황해북도 서흥군) 토산현(土山縣)(지금의 개경직할시 개풍군) 사람으로, 집안은 대대로 무관을 지냈다. 체모가 웅위하고 기세가 당당했으며 매와 말을 좋아하였다. 목종이 즉위하자 자신을 왕으로 추대한 공로를 인정해 숙위의 임무…
-
제신(諸臣)최응(崔凝)최응崔凝崔凝, 黃州土山人, 父大相祐達. 初凝母有娠, 家有黃瓜蔓, 忽結甛瓜. 邑人以告弓裔, 裔卜之曰, “生男則不利於國, 愼勿擧.” 父母匿而養之. 自幼力學, 旣長, 通五經, 善屬文. 爲裔翰林郞, 草制誥, 誥 『고려사』 모든 판본이 ‘힐(詰)’자이나 ‘고(誥)’자가 옳다.…
-
성종 9년(990) 경인년9년 여름 6월 ○ 송나라에서 광록경(光祿卿) 시성무(柴成務)와 태상소경(太常少卿) 조화성(趙化成) 등을 보내 왕을 추성순화공신(推誠順化功臣)으로 올려 책봉하고 식읍 1천호․식실봉 4백호를 더 주었으며 나머지는 종전대로 했다. 왕이 책명을 받자 교수형 …
-
문종 2년(1048) 무자년2년 봄 정월 초하루 경오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을해일. 동여진의 회화장군(懷化將軍) 구라마리불(仇羅麻里弗) 등 40명이 와서 명마를 바치므로 차등을 두어 물품을 내려주었다. 윤정월 초하루 경자일. 태묘(太廟…
-
예종 3년(1108) 무자년3년 봄 정월 갑인일. 요나라에서 숭록경(崇祿卿) 조용의(曹勇義)를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병진일. 요나라 사신을 위해 건덕전(乾德殿)에서 잔치를 베풀었다. 정묘일. 급사중(給事中) 이…
-
성종 9년(990) 경인년九年 夏六月 宋遣光祿卿柴成務, 太常少卿趙化成等來, 加冊王推誠順化功臣, 食邑一千戶․食實封四百戶, 餘如故. 王受冊, 赦絞罪以下. 秋九月 丙子 敎曰, “凡理國家, 必先務本, 務本莫過於孝. 三皇五帝之本務, 而萬事之紀, 百善之主也. 由是, 漢皇嘉楊引之尊…
-
문종 2년(1048) 무자년二年春正月 庚午朔 放朝賀. 乙亥 東女眞懷化將軍仇羅麻里弗等四十人來, 獻名馬, 賜物有差. 閏月 庚子朔 告朔于太廟. 丙午 東女眞歸德將軍沙伊羅, 柔遠將軍沙時賀等三十五人來, 獻土馬. 庚戌 東女眞懷化將軍都仇羅等三十八人來, 獻土物. 辛亥 西女眞寧塞將軍高之智…
-
예종 3년(1108) 무자년三年 春正月 甲寅 遼遣崇祿卿曹勇義, 來賀生辰. 丙辰 宴遼使于乾德殿. 丁卯 納給事中李資謙女, 爲妃. 戊寅 尊母柳氏爲王太后. 翌日, 諸王宰輔文武常叅官以上進賀, 賜群臣宴. 二月 丙戌 告奏使戶部侍郞王維如宋. 曲宴諸王․宰樞․近臣于壽春宮, 文武常叅官及封…
-
최응崔凝최응(崔凝) 최응(898~932) 토산(土山)(지금의 황해북도 토산군)지역의 유력자인 토산 최씨(土山崔氏) 최우달(崔祐達)의 아들이다. 궁예 때부터 한림랑(翰林郞)․장주(掌奏)를 지내면서 왕건의 지지세력이 되었다가 고려가 건국된 후 지원봉성사(知元奉省事)․광평…
-
이주헌李周憲이주헌(李周憲) 이주헌(?~1022) 토산 이씨[土山李氏․祥原李氏]로, 성종~현종 때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참지정사(叅知政事)를 역임한 문신관료이다. 이 집안은 국초 공신의 후손으로 이주헌과 이징망(李徵望) 부자가 각각 상서좌복야와 경(卿)의 벼슬을 역임하면…
-
안소광安紹光안소광(安紹光)은 동주(洞州)(지금의 황해북도 서흥군) 토산현(土山縣)(지금의 개경직할시 개풍군) 사람으로, 집안은 대대로 무관을 지냈다. 체모가 웅위하고 기세가 당당했으며 매와 말을 좋아하였다. 목종이 즉위하자 자신을 왕으로 추대한 공로를 인정해 숙위의 임무…
-
최응崔凝崔凝, 黃州土山人, 父大相祐達. 初凝母有娠, 家有黃瓜蔓, 忽結甛瓜. 邑人以告弓裔, 裔卜之曰, “生男則不利於國, 愼勿擧.” 父母匿而養之. 自幼力學, 旣長, 通五經, 善屬文. 爲裔翰林郞, 草制誥, 誥 『고려사』 모든 판본이 ‘힐(詰)’자이나 ‘고(誥)’자가 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