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종예종 3년(1108) 무자년예종 3년(1108) 무자년3년 봄 정월 갑인일. 요나라에서 숭록경(崇祿卿) 조용의(曹勇義)를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병진일. 요나라 사신을 위해 건덕전(乾德殿)에서 잔치를 베풀었다. 정묘일. 급사중(給事中) 이…#요나라 #숭록경 #조용의 #건덕전 #급사중 #이자겸 #문․무 상참관 #고주사 #호부시랑 #왕유 #송나라 #수춘궁 #집사관 #신봉루 #사면령 #참형 #교수형 #개경 #서경 #남반 #정․잡로 #동정직 #상책도감 #장고 #초입사 #책함 #의장 #책문 #안락도량도감 #태묘 #압물사 #곤성전 #숭명부 #연덕궁 #명복궁 #급사 #궁부 #서자 #산사 #의사 #진봉장리 #무산계 #승천부 #진봉호장 #명경과 #제술과 #여진 #웅주 #최홍정 #상서 #유택 #함주대도호부사 #영주 #복주 #길주 #공험진 #연등회 #봉은사 #장염 #낙기복 #소량 #이인흡 #청안군절도사 #익주관내관찰사 #봉책사 #부사 #면류관 #수레 #관복 #포백 #안장 갖춘 말 #왕우 #우이 #수태위 #중서령 #윤관 #사신 #영주성 #의주 #통태 #평융 #남계 #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 #지군국중사 #오연총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내시낭중 #한교여 #고신 #자줏빛 수를 놓은 안장 #말 #신묘 #영릉 #웅주성 #고취군 #대방후 #왕보 #제안후 #왕서 #경령전 #부월 #문덕전 #창릉 #유배 #도형 #참수형 #체례도감 #예사 #향관 #원리 #현릉 #숙종 #부제 #품계 #향직 #내시급사 #왕부 #구사 #견룡 #초직 #시위급사 #병마부원수 #유향 #궁검 #약사경 #재추 #근시 #문무 #회경전 #초제 #진사시 #복시 #노현용 #대성 #시신 #지제고 #보제사 #보살계 #신중원 #행영병마원수 #토산현 #감무 #고영신 #서북면병마사 #최연 #동북면병마사 #서보 #좌우위 #고의화 #병부상서 #김여진 #섭호부상서 #박신 #섭공부상서 #행영병마판관어사 #신현 #영인진 #형부상서 #김상우 #예부시랑 #동계 #문두루도량 #진정사 #사천왕도량 #비사문사 #중광전 #정주 #등주 #행영병마사 #병마판관 #왕자지 #척준경 #함주 #점군사 #유익 #장군 #송충 #신기군 #박회절 #병부시랑 #지어사대사 #상장군 #서여진 #추장 #노호 #패강도 #영평현개국백 #양구진국공신 #장령전 #행영병마판관 #사지령 #남경 #흥왕사 #대시원 #이덕우 #천흥절 #강경법회 #승가굴 #연흥전 #반야경 #재림사 #인수사 #황원도 #낙기복사 #봉성현 #재보 #최지 #약사원 #불은사 #서우 #팔관회 #법왕사 #횡선사 #검교사도 #야율영
-
충렬왕충렬왕 8년(1282) 임오년충렬왕 8년(1282) 임오년봄 정월 을해일. 원나라가 토라다이[闍刺䚟]와 뭉쿠부카[蒙古不花]를 보내 탐라(耽羅) 방수군(防守軍)이 한 해 동안에 소비하는 군량과 말 사료의 총량을 문의했다. 정축일. 왕과 공주가 현화사(玄化寺)에 행차했다. 경진일. 상장군 인후(…#원나라 #토라다이 #뭉쿠부카 #탐라 #방수군 #현화사 #상장군 #인후 #장순룡 #응방 #죽판궁 #정동행중서성 #쿠치 #마제산 #연등회 #봉은사 #흥왕사 #수강궁 #왕륜사 #판삼사사 #한강 #밀직부사 #김백균 #재추소 사존 #초제 #소재도량 #개경 #불복장리 #부바스 #풍원길 #합포현 #동지밀직사사 #박구 #좌랑 #이행검 #황칠 #가뭄 #부채 #백좌법석 #교서 #참형 #교수형 #사면 #송악 #명산 #대천 #덕호 #태조 #도선국사 #문창후 #홍유후 #정 #잡로 #동정직 #파사부 #장군 #정오부 #정인경 #차득규 #이지저 #대부윤 #김응문 #낭장 #김의광 #대장군 #나유 #지윤보 #임비 #총랑 #이승연 #김부윤 #중랑장 #황취 #섭주석 #양저 #정랑 #백좌명 #전우 #김위량 #전민 #종신 #별장 #김심백 #유복화 #전전승지 #최중경 #상식칠품 #정승오 #양루 #격구 #은병 #재추 #금교역 #금원 #장공 #이평 #적석사 #박의 #매 #만군 #총파 #심총 #일본 #명주 #카라다이 #일본군 #유비 #신효사 #참문학사 #허공 #일식 #산원 #고세 #법화도량 #제안후 #사원 #대부시 #납거 #감찰사 #곽응 #내시별감 #강지원 #순마소 #무당 #연덕신 #의사 #내료 #고종수 #순마천호 #금패 #표문 #저탄 #길상사 #오백성재 #부마국왕 #금인 #복령사 #충청도 #홍자한 #탐라방호부사 #보로칸 #친종장군 #요양 #심양 #정복균 #동녕부 #행종도감 #유밀과 #수령 #공암현 #안남 #충청도 안렴사 #국성윤 #승려 #견명 #뚤루게 #김흔 #숭경당 #인왕도량 #최백륜 #급제 #독혼 #하중겸 #전함 #지밀직사사 #송분 #경상도 #전라도 #우준충 #판사재시사 #김지경 #서해도 #유홍신 #광명사 #일본정벌 #봉성현 #갱생 #백호 #역관 #정지연 #진수군 #이영주 #상주사록 #권만기 #안동사록 #임운 #진도현령 #조득주
-
예종예종 3년(1108) 무자년예종 3년(1108) 무자년三年 春正月 甲寅 遼遣崇祿卿曹勇義, 來賀生辰. 丙辰 宴遼使于乾德殿. 丁卯 納給事中李資謙女, 爲妃. 戊寅 尊母柳氏爲王太后. 翌日, 諸王宰輔文武常叅官以上進賀, 賜群臣宴. 二月 丙戌 告奏使戶部侍郞王維如宋. 曲宴諸王․宰樞․近臣于壽春宮, 文武常叅官及封…#요나라 #숭록경 #조용의 #건덕전 #급사중 #이자겸 #문․무 상참관 #고주사 #호부시랑 #왕유 #송나라 #수춘궁 #집사관 #신봉루 #사면령 #참형 #교수형 #개경 #서경 #남반 #정․잡로 #동정직 #상책도감 #장고 #초입사 #책함 #의장 #책문 #안락도량도감 #태묘 #압물사 #곤성전 #숭명부 #연덕궁 #명복궁 #급사 #궁부 #서자 #산사 #의사 #진봉장리 #무산계 #승천부 #진봉호장 #명경과 #제술과 #여진 #웅주 #최홍정 #상서 #유택 #함주대도호부사 #영주 #복주 #길주 #공험진 #연등회 #봉은사 #장염 #낙기복 #소량 #이인흡 #청안군절도사 #익주관내관찰사 #봉책사 #부사 #면류관 #수레 #관복 #포백 #안장 갖춘 말 #왕우 #우이 #수태위 #중서령 #윤관 #사신 #영주성 #의주 #통태 #평융 #남계 #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 #지군국중사 #오연총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내시낭중 #한교여 #고신 #자줏빛 수를 놓은 안장 #말 #신묘 #영릉 #웅주성 #고취군 #대방후 #왕보 #제안후 #왕서 #경령전 #부월 #문덕전 #창릉 #유배 #도형 #참수형 #체례도감 #예사 #향관 #원리 #현릉 #숙종 #부제 #품계 #향직 #내시급사 #왕부 #구사 #견룡 #초직 #시위급사 #병마부원수 #유향 #궁검 #약사경 #재추 #근시 #문무 #회경전 #초제 #진사시 #복시 #노현용 #대성 #시신 #지제고 #보제사 #보살계 #신중원 #행영병마원수 #토산현 #감무 #고영신 #서북면병마사 #최연 #동북면병마사 #서보 #좌우위 #고의화 #병부상서 #김여진 #섭호부상서 #박신 #섭공부상서 #행영병마판관어사 #신현 #영인진 #형부상서 #김상우 #예부시랑 #동계 #문두루도량 #진정사 #사천왕도량 #비사문사 #중광전 #정주 #등주 #행영병마사 #병마판관 #왕자지 #척준경 #함주 #점군사 #유익 #장군 #송충 #신기군 #박회절 #병부시랑 #지어사대사 #상장군 #서여진 #추장 #노호 #패강도 #영평현개국백 #양구진국공신 #장령전 #행영병마판관 #사지령 #남경 #흥왕사 #대시원 #이덕우 #천흥절 #강경법회 #승가굴 #연흥전 #반야경 #재림사 #인수사 #황원도 #낙기복사 #봉성현 #재보 #최지 #약사원 #불은사 #서우 #팔관회 #법왕사 #횡선사 #검교사도 #야율영
-
충렬왕충렬왕 8년(1282) 임오년충렬왕 8년(1282) 임오년八年 春正月 乙亥 元遣闍刺䚟․蒙古不花, 問耽羅防守軍粮, 草粮歲攴之數. 丁丑 王與公主, 如玄化寺. 庚辰 上將軍印侯․張舜龍等, 與鷹坊, 享王于竹坂宮. 是月, 元罷征東行中書省. 二月 癸巳 忽赤享王于竹坂宮. …#원나라 #토라다이 #뭉쿠부카 #탐라 #방수군 #현화사 #상장군 #인후 #장순룡 #응방 #죽판궁 #정동행중서성 #쿠치 #마제산 #연등회 #봉은사 #흥왕사 #수강궁 #왕륜사 #판삼사사 #한강 #밀직부사 #김백균 #재추소 사존 #초제 #소재도량 #개경 #불복장리 #부바스 #풍원길 #합포현 #동지밀직사사 #박구 #좌랑 #이행검 #황칠 #가뭄 #부채 #백좌법석 #교서 #참형 #교수형 #사면 #송악 #명산 #대천 #덕호 #태조 #도선국사 #문창후 #홍유후 #정 #잡로 #동정직 #파사부 #장군 #정오부 #정인경 #차득규 #이지저 #대부윤 #김응문 #낭장 #김의광 #대장군 #나유 #지윤보 #임비 #총랑 #이승연 #김부윤 #중랑장 #황취 #섭주석 #양저 #정랑 #백좌명 #전우 #김위량 #전민 #종신 #별장 #김심백 #유복화 #전전승지 #최중경 #상식칠품 #정승오 #양루 #격구 #은병 #재추 #금교역 #금원 #장공 #이평 #적석사 #박의 #매 #만군 #총파 #심총 #일본 #명주 #카라다이 #일본군 #유비 #신효사 #참문학사 #허공 #일식 #산원 #고세 #법화도량 #제안후 #사원 #대부시 #납거 #감찰사 #곽응 #내시별감 #강지원 #순마소 #무당 #연덕신 #의사 #내료 #고종수 #순마천호 #금패 #표문 #저탄 #길상사 #오백성재 #부마국왕 #금인 #복령사 #충청도 #홍자한 #탐라방호부사 #보로칸 #친종장군 #요양 #심양 #정복균 #동녕부 #행종도감 #유밀과 #수령 #공암현 #안남 #충청도 안렴사 #국성윤 #승려 #견명 #뚤루게 #김흔 #숭경당 #인왕도량 #최백륜 #급제 #독혼 #하중겸 #전함 #지밀직사사 #송분 #경상도 #전라도 #우준충 #판사재시사 #김지경 #서해도 #유홍신 #광명사 #일본정벌 #봉성현 #갱생 #백호 #역관 #정지연 #진수군 #이영주 #상주사록 #권만기 #안동사록 #임운 #진도현령 #조득주
-
제신(諸臣)유금필(庾黔弼)유금필庾黔弼유금필(庾黔弼) 유금필(?~941) 평산 유씨(平山庾氏)로, 패강진(浿江鎭)의 본영이 있던 평주(平州)(지금의 황해북도 평산)지역의 군진(軍鎭)세력출신이다. 궁예의 축출에 직접 참여하지 않았으나, 궁예 말년에는 왕건세력이 되어 태조 추대세력과 입장을 같이 하였…#유금필 #평주 #태조 #마군장군 #대광 #북계 #골암진 #개정군 #정서 #후백제 #연산진 #길환 #임존군 #견훤 #조물군 #전투 #탕정군 #김훤 #애식 #한장 #청주 #서원 #독기진 #중원부 #동수 #신숭겸 #김락 #고창군 #예안진 #대상 #공훤 #홍유 #죽령 #저수봉 #곡도 #해군 장군 #상애 #대우도 #왕만세 #포을도 #정남 #의성부 #신라 #능장 #영주 #열궁 #총희 #혜산성 #아불진 #사탄 #통군 #신검 #자도 #금달 #환궁 #운주 #우장군 #술사 #종훈 #의사 #훈겸 #용장 #상달 #최필 #웅진 #나주 #견서 #권직 #인일 #박술희 #제궁 #도통대장군 #예성강 #충절 #태사 #유긍 #유관 #유유 #유경
-
제신(諸臣)유금필(庾黔弼)유금필庾黔弼庾黔弼, 平州人. 事太祖, 爲馬軍將軍, 累轉大匡. 太祖以北界鶻岩鎭, 數爲北狄所侵, 會諸將議曰, “今南兇未滅, 北狄可憂, 朕寤寐憂懼. 欲遣黔弼, 鎭之如何?” 僉曰, “可.” 乃命之, 黔弼卽日, 率開定軍三千以行. 至鶻岩, 於東山, 築大城以居, 招集北蕃酋長三百餘人,…#유금필 #평주 #태조 #마군장군 #대광 #북계 #골암진 #개정군 #정서 #후백제 #연산진 #길환 #임존군 #견훤 #조물군 #전투 #탕정군 #김훤 #애식 #한장 #청주 #서원 #독기진 #중원부 #동수 #신숭겸 #김락 #고창군 #예안진 #대상 #공훤 #홍유 #죽령 #저수봉 #곡도 #해군 장군 #상애 #대우도 #왕만세 #포을도 #정남 #의성부 #신라 #능장 #영주 #열궁 #총희 #혜산성 #아불진 #사탄 #통군 #신검 #자도 #금달 #환궁 #운주 #우장군 #술사 #종훈 #의사 #훈겸 #용장 #상달 #최필 #웅진 #나주 #견서 #권직 #인일 #박술희 #제궁 #도통대장군 #예성강 #충절 #태사 #유긍 #유관 #유유 #유경
-
牧都護知州員同坐儀목(牧)․도호부(都護府)의 판관 이상과 지주방어부사(知州防禦副使)․판관 이상은 함께 대청에 앉고, 목․도호부의 장서기(掌書記)․법조(法曹) 법조 고려시대 사록(司祿)․장서기(掌書記)와 함께 개성부(開城府)․서경(西京)(지금의 평양특별시)․동경(東京)(지금의 경…
-
鹵簿【法駕鹵簿, 燃燈鹵簿, 八關鹵簿, 巡幸奉迎鹵簿, 宣赦鹵簿․小駕鹵簿, 王太子鹵簿, 百官儀從, 外官衙從】법가노부(法駕鹵簿) 의종(毅宗)조. 다음과 같이 상정하였다. 제1인(引)은 개성령(開城令)이 길 가운데 서고 청도공학(靑道共鶴) 청도공학 어가의 행렬에 앞서 길을 정리하는 공학군사를 말한다. 1명【삽각(挿角)모자에 자의(紫衣)를…#개성령 #청도공학 #금락봉의군 #냉리군 #산수군 #개성윤 #어사대부 #지휘의장사 #정랑 #지휘원 #청도전리 #홍문대기 #인장교 #협군사 #오방기 #주작중기 #채기 #백택기 #황기린중기 #백상대기 #용기 #백룡대기 #천하태평대기 #사해영청대기 #백택대기 #이의교태대기 #오방룡중기 #쌍무선인대기 #적룡대기 #공작대기 #좌청룡중기 #우백호중기 #벽봉대기 #금계기 #보주기 #화주기 #적표기 #호인기 #황룡대기 #군왕만세중기 #각단기 #백상기 #현학기 #봉기 #보주선인대기 #난대기 #백기린기 #신구함주기 #난기 #황사자기 #적사자기 #용마대기 #흑사자기 #백사자기 #청사자기 #기린기 #오색룡기 #황룡부도기 #공작기 #천록기 #신룡함주기 #벽사도기 #백학기 #악작기 #주잡기 #삼각수기 #용마기 #흑기 #현기 #일각수기 #흑대기 #궁전 #군사 #표미창 #금정 #강고 #도고 #은간창 #반검 #가서봉 #은작자 #등장자 #월부 #와마번 #은장장도 #영장교 #상원 #봉은사 #진전 #일각수대기 #추아대기 #천록대기 #봉보주선인대기 #교룡대기 #악작대기 #은간소기창 #작자 #등장 #유석 #도금장장도 #중동 #간악전 #궁전대 #인기장교 #취각 #소기은간창 #흑간작자 #소룡기 #백사자대기 #호인대기 #청룡대기 #적상대기 #채봉대기 #황사자대기 #가구선인대기 #백기린대기 #냉리 #와마번창 #의봉루 #사면령 #의장군 #봉예군 #반거군 #지유장교 #대정 #오방중기 #인구취번 #천하태평기 #이두궁전 #금쟁 #요고창 #조준대기 #은창 #도금장도 #예사 #대가 #위위시 #첨사부 #선배대 #백택중기 #삼각수중기 #백사자중기 #추아중기 #잡채기 #은골타자대 #은장장도대 #행로 #다담 #교상 #수관자 #서함 #필연안 #은작자대 #도지반 #행수 #중금반 #대산 #공학군 #청양산 #견룡반지유 #우산 #다방 #의방 #공군사 #현무대 #식목도감 #승 #사직 #녹사 #어가 #재추 #일산 #수태사 #태부 #태보 #구사 #수태위 #수사도 #사공 #공 #후 #백 #자 #남 #중서령 #문하시중 #문하중서시랑평장사 #참지정사 #지문하성사 #정당문학 #좌우상시 #직문하성사 #급사중 #좌우간의 #기거주 #기거사인 #좌우사간 #좌우정언 #상서령 #좌우복야 #지상서성사 #좌우승 #좌우사랑중 #좌우사원외랑 #판추밀원사 #추밀원사 #지추밀원사 #동지추밀원사 #추밀원부사 #밀직학사 #추밀원지주사 #승선 #육상서관 #판사 #육상서 상장군 #전중감 #근장 #대장군 #경 #감 #좨주 #지부사 #장군 #시랑 #중랑장 #낭중 #낭장 #원외랑 #판삼사사 #삼사사 #지삼사사 #삼사부사 #삼사 #판관 #판어사대사 #지어사대사 #중승 #어사잡단 #시어사 #전중시어사 #감찰어사 #판비서성사 #판전중시사 #판예빈성사 #판위위시사 #판사재시사 #판태복시사 #판태부사 #판소부사 #판장작감사 #판국자감사 #소경 #소감 #사업 #비서승 #전중승 #내급사 #국자박사 #판한림원사 #한림학사승지 #한림학사 #한림시강학사 #한림시독학사 #사관감수국사 #수국사 #수찬관 #판군기감사 #판태의감사 #판합문사 #합문인진사 #지합문사 #합문사 #합문부사 #합문통사사인 #합문지후 #첨사 #소첨사 #지상식국사 #지상의국사 #지상사국사 #지상승국사 #지상약국사 #판태사국 #지태사국사 #태사령 #판사천대사 #사천감 #사천소감 #사관정 #능 #태묘 #영 #참외 #별장 #동반 #남반 #산원 #권무관 #갑과 #동과 #태정문 #체통문 #정덕전 #강안전 #시위장군 #직한림사관 #유원교감 #권무 #양반 #치사원 #문하시랑평장사 #재신 #추밀원 #수삼공 #상서 #상장군 #판보문각학사 #직보문각학사 #보문각대제 #직보문각 #예의사 #시중 #성재 #밀직 #육부판서 #대언 #반주 #포도순작관 #사모 #양부 #통헌 #산기상시 #대 #성 #원선 #학령선 #고정모 #수령 #대도호부 #목 #사 #부사 #사록 #법조 #의사 #문사 #중도호부사 #방어진사 #현령 #진장 #부장 #위 #유수관 #윤 #참군 #대도호부사 #목관 #지주사 #감무
-
西京留守官태조 원년에 평양대도호부를 두면서 중신(重臣) 2명을 보내 지키게 하고 참좌(參佐) 4, 5명을 두었다. 성종14년에 지서경유수사(知西京留守事) 1명을 두어 3품 이상, 부유수(副留守)는 1명으로 4품 이상, 판관(判官)은 2명으로 하되 6품 이상, 사…#서경유수관 #태조 #평양대도호부 #중신 #참좌 #성종 #지서경유수사 #부유수 #판관 #사록참군사 #장서기 #법조 #소윤 #인종 #서경 #유수사 #명종 #사록 #서기 #녹사 #상경 #영사 #서령사 #기관 #서수 #산사 #인직 #전리 #고종 #충선왕 #평양부 #윤 #참군 #충숙왕 #안정도 #평양부윤 #공민왕 #경관 #평양 #낭관 #조설 #시중 #시랑 #낭중 #상사 #사 #아관 #호막 #구단 #경 #감 #찬 #이결 #평찰 #병부령 #대사 #납화부 #진각성 #내천부령 #내천부 #국천부령 #관택사 #도항사 #대어부 #수서원 #어사 #선관 #예종 #제학사원 #분사국자감 #판사 #좨주 #소감 #사업 #원외랑 #박사 #조교 #각루원 #분사대사국 #지사 #상참 #참외 #의학원 #분사대의감 #판감 #지감 #예의사 #전례사 #지사사 #열악원 #지원 #권무 #개경 #관반 #감군 #분사어사대 #의조 #병조 #호조 #창조 #보조 #공조 #영 #승 #팔관도감 #부사 #동남면 #서북면도감 #성용전 #기사 #정설원 #팔관보 #영송도감 #5부 #사재시 #화천무 #병부 #군기감 #내구사 #좌우영 #사면도감 #대부 #소부 #진설사 #능라점 #도화원 #대창 #대관 #양온 #염점 #영선점 #함화점 #잡재 #영작원 #법조사 #쇄장 #문사 #서자 #약점 #의사 #의생 #공양왕 #도당
-
東京留守官성종 때 경주를 동경(東京)이라 하면서 다음과 같은 관원을 두었다. 유수사 1명을 두어 3품 이상, 부유수는 1명으로 4품 이상, 판관은 1명으로 6품 이상, 사록참군사(司錄參軍事) 1명과 장서기(掌書記) 1명은 다같이 7품 이상, 법조(法曹)는 1명으로 8품…
-
예종 3년(1108) 무자년3년 봄 정월 갑인일. 요나라에서 숭록경(崇祿卿) 조용의(曹勇義)를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병진일. 요나라 사신을 위해 건덕전(乾德殿)에서 잔치를 베풀었다. 정묘일. 급사중(給事中) 이…
-
충렬왕 8년(1282) 임오년봄 정월 을해일. 원나라가 토라다이[闍刺䚟]와 뭉쿠부카[蒙古不花]를 보내 탐라(耽羅) 방수군(防守軍)이 한 해 동안에 소비하는 군량과 말 사료의 총량을 문의했다. 정축일. 왕과 공주가 현화사(玄化寺)에 행차했다. 경진일. 상장군 인후(…
-
예종 3년(1108) 무자년三年 春正月 甲寅 遼遣崇祿卿曹勇義, 來賀生辰. 丙辰 宴遼使于乾德殿. 丁卯 納給事中李資謙女, 爲妃. 戊寅 尊母柳氏爲王太后. 翌日, 諸王宰輔文武常叅官以上進賀, 賜群臣宴. 二月 丙戌 告奏使戶部侍郞王維如宋. 曲宴諸王․宰樞․近臣于壽春宮, 文武常叅官及封…
-
충렬왕 8년(1282) 임오년八年 春正月 乙亥 元遣闍刺䚟․蒙古不花, 問耽羅防守軍粮, 草粮歲攴之數. 丁丑 王與公主, 如玄化寺. 庚辰 上將軍印侯․張舜龍等, 與鷹坊, 享王于竹坂宮. 是月, 元罷征東行中書省. 二月 癸巳 忽赤享王于竹坂宮. …
-
유금필庾黔弼유금필(庾黔弼) 유금필(?~941) 평산 유씨(平山庾氏)로, 패강진(浿江鎭)의 본영이 있던 평주(平州)(지금의 황해북도 평산)지역의 군진(軍鎭)세력출신이다. 궁예의 축출에 직접 참여하지 않았으나, 궁예 말년에는 왕건세력이 되어 태조 추대세력과 입장을 같이 하였…
-
유금필庾黔弼庾黔弼, 平州人. 事太祖, 爲馬軍將軍, 累轉大匡. 太祖以北界鶻岩鎭, 數爲北狄所侵, 會諸將議曰, “今南兇未滅, 北狄可憂, 朕寤寐憂懼. 欲遣黔弼, 鎭之如何?” 僉曰, “可.” 乃命之, 黔弼卽日, 率開定軍三千以行. 至鶻岩, 於東山, 築大城以居, 招集北蕃酋長三百餘人,…
-
牧都護知州員同坐儀목(牧)․도호부(都護府)의 판관 이상과 지주방어부사(知州防禦副使)․판관 이상은 함께 대청에 앉고, 목․도호부의 장서기(掌書記)․법조(法曹) 법조 고려시대 사록(司祿)․장서기(掌書記)와 함께 개성부(開城府)․서경(西京)(지금의 평양특별시)․동경(東京)(지금의 경…
-
鹵簿【法駕鹵簿, 燃燈鹵簿, 八關鹵簿, 巡幸奉迎鹵簿, 宣赦鹵簿․小駕鹵簿, 王太子鹵簿, 百官儀從, 外官衙從】법가노부(法駕鹵簿) 의종(毅宗)조. 다음과 같이 상정하였다. 제1인(引)은 개성령(開城令)이 길 가운데 서고 청도공학(靑道共鶴) 청도공학 어가의 행렬에 앞서 길을 정리하는 공학군사를 말한다. 1명【삽각(挿角)모자에 자의(紫衣)를…
-
西京留守官태조 원년에 평양대도호부를 두면서 중신(重臣) 2명을 보내 지키게 하고 참좌(參佐) 4, 5명을 두었다. 성종14년에 지서경유수사(知西京留守事) 1명을 두어 3품 이상, 부유수(副留守)는 1명으로 4품 이상, 판관(判官)은 2명으로 하되 6품 이상, 사…
-
東京留守官성종 때 경주를 동경(東京)이라 하면서 다음과 같은 관원을 두었다. 유수사 1명을 두어 3품 이상, 부유수는 1명으로 4품 이상, 판관은 1명으로 6품 이상, 사록참군사(司錄參軍事) 1명과 장서기(掌書記) 1명은 다같이 7품 이상, 법조(法曹)는 1명으로 8품…